與 가덕신공항 '쐐기'…"특별법으로 예타 면제 추진"
[뉴스리뷰]
[앵커]
김해신공항이 백지화 수순을 밟게 됐지만, 그 대안으로 추진되는 부산 가덕도 신공항 건설까지는 넘어야 할 산이 많습니다.
가덕신공항을 전폭적으로 지원하기로 한 여당은 우선, 절차 단축을 위한 특별법 제정을 서두르고 있습니다.
박초롱 기자입니다.
[기자]
부산 가덕도에 신공항을 짓기 위해선 먼저, 국토부가 다음 달 확정하는 '제6차 공항개발종합계획'에 건설 계획이 포함돼야 합니다.
이후 사전·예비타당성 조사와 기본·실시계획 등의 절차를 밟는 게 통상의 수순.
갈 길이 바쁜 민주당은 특별법을 제정해 가덕신공항을 최대한 빨리 건설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특별법의 핵심은 보통 2년 정도가 소요되는 예비 타당성 조사 면제 등 각종 행정 절차 간소화입니다.
이달 중 특별법을 발의해 다음 달 9일 끝나는 정기국회 안에 통과시키는 '속도전'을 예고했습니다.
<전재수 / 더불어민주당 의원> "이제 중요한 것은 속도입니다. 2030년 부산 세계등록엑스포의 필수 조건인 국제관문공항의 조기 착공을 서둘러야 합니다."
특별법을 통해 내년에 신공항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2024년 착공에 들어가면 부산이 유치를 추진 중인 2030년 엑스포 전 공항 문을 열 수 있다는 겁니다.
가덕도는 4년 전 박근혜 정부 때 신공항 입지 후보지 중 가장 낮은 점수를 받았던 곳.
당시 조사 결과에 대해선 "박근혜 정부가 김해신공항 추진을 미리 정해 놓고 평가 기준을 바꿔 내린 정치적 결정"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선거를 의식한 결정이라는 비판에는 "정파가 아닌 부산·울산·경남 생존의 문제"라며 이 지역 국회의원 전원이 기자회견을 열어 지지를 호소했습니다.
야당과의 특별법 공동 발의도 모색하며 총력전에 나선 민주당, 잇따른 선거를 앞두고 가덕신공항 추진 계획이 급물살을 타는 모습입니다.
연합뉴스TV 박초롱 기자입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뉴스리뷰]
[앵커]
김해신공항이 백지화 수순을 밟게 됐지만, 그 대안으로 추진되는 부산 가덕도 신공항 건설까지는 넘어야 할 산이 많습니다.
가덕신공항을 전폭적으로 지원하기로 한 여당은 우선, 절차 단축을 위한 특별법 제정을 서두르고 있습니다.
박초롱 기자입니다.
[기자]
부산 가덕도에 신공항을 짓기 위해선 먼저, 국토부가 다음 달 확정하는 '제6차 공항개발종합계획'에 건설 계획이 포함돼야 합니다.
이후 사전·예비타당성 조사와 기본·실시계획 등의 절차를 밟는 게 통상의 수순.
갈 길이 바쁜 민주당은 특별법을 제정해 가덕신공항을 최대한 빨리 건설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특별법의 핵심은 보통 2년 정도가 소요되는 예비 타당성 조사 면제 등 각종 행정 절차 간소화입니다.
이달 중 특별법을 발의해 다음 달 9일 끝나는 정기국회 안에 통과시키는 '속도전'을 예고했습니다.
<전재수 / 더불어민주당 의원> "이제 중요한 것은 속도입니다. 2030년 부산 세계등록엑스포의 필수 조건인 국제관문공항의 조기 착공을 서둘러야 합니다."
특별법을 통해 내년에 신공항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2024년 착공에 들어가면 부산이 유치를 추진 중인 2030년 엑스포 전 공항 문을 열 수 있다는 겁니다.
가덕도는 4년 전 박근혜 정부 때 신공항 입지 후보지 중 가장 낮은 점수를 받았던 곳.
당시 조사 결과에 대해선 "박근혜 정부가 김해신공항 추진을 미리 정해 놓고 평가 기준을 바꿔 내린 정치적 결정"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선거를 의식한 결정이라는 비판에는 "정파가 아닌 부산·울산·경남 생존의 문제"라며 이 지역 국회의원 전원이 기자회견을 열어 지지를 호소했습니다.
야당과의 특별법 공동 발의도 모색하며 총력전에 나선 민주당, 잇따른 선거를 앞두고 가덕신공항 추진 계획이 급물살을 타는 모습입니다.
연합뉴스TV 박초롱 기자입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1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