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포커스] 10호 태풍 '하이선' 북상…강한 중형급 세력
<출연 : 김승배 한국기상산업협회 본부장·백승주 열린사이버대 소방방재학과 교수>
10호 태풍 하이선이 강력한 비바람을 동반한 채 빠르게 북상중입니다.
하이선이 통과한 제주 등 남부지역은 이로 인한 대규모 정전과 낙하물 피해사고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앞으로 하이선의 진행 방향과 대비책, 김승배 한국기상산업협회본부장, 백승주 열린사이버대 소방방재학과 교수와 함께 알아봅니다.
어서오십시오,
<질문 1> 강력한 비바람을 동반한 10호 태풍 하이선이 북상중입니다. 현재 태풍 위치와 위력은 어느 정도 입니까?
<질문 1-1> 하이선, 동쪽으로 조금 밀리는가 싶더니, 서쪽으로 방향을 틀었거든요. 태풍이 이렇게 방향을 튼 원인은 뭘까요? 한반도 지형지물과 만나면서 세력이 조금은 약화될 가능성도 있을까요?
<질문 2> 이번 하이선이 조금 다른 게, 이전의 태풍과 달리 직선 방향으로 이동을 한다는 점입니다. 태풍의 직선이동, 어떤 의미가 있는 겁니까?
<질문 2-1> 이번 하이선이 걱정되는 이유, 바로 강력한 비바람을 동반한 태풍이라는 점 때문인데요. 풍력을 측정할 수 없을 정도의 강한 바람을 동반했다는 얘기도 나오지 않습니까? 비바람의 위력, 어느정도라고 봐야 합니까?
<질문 3> 이렇게 강력한 비바람을 동반하면서 벌써부터 바람 피해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나무가 부러지고, 낙하물 사고도 잇따르고 있는데요. 어떤 대비가 필요할까요?
<질문 3-1> 낙하물 피해가 적지 않음에도 일부 시설물에는 여전히 안전기준이 없다고 하던데요. 실제로 옥외 간판은 2년마다 안전점검을 하지만, 건물외벽이나 교회첨탑 등에 대한 안전 기준이 아예 없다면서요?
<질문 4> 하이선이 전신주까지 쓰러뜨릴 정도의 위력을 발휘하면서 합선, 감전 등 전기 사고 우려도 큽니다. 실제로 제주에는 대규모 정전사태가 발생했고 경남 지역에선 갑작스러운 단전에 피해신고가 잇따르기도 했거든요. 만일 단전, 합선 피해가 생겼을 경우 어떻게 대응해야 합니까?
<질문 5> 강력한 비바람이 불다보니, 집안에 있어도 걱정이 큽니다. 강한 바람에 아파트 창문이 깨지는 등 피해가 잇따르고 있거든요. 흔히 알고 있는 테이프 십자로 붙이기나 신문지 붙이기등 효과가 없다는 얘기도 나오던데요. 태풍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대비책은 뭘까요?
<질문 6> 하이선이 해안가를 중심으로 올라오면서 폭풍해일 걱정도 큽니다. 2003년 태풍 매미 피해가 컸던 이유도 바로 이 해일과 높은 파도 때문이라고 하던데요. 먼저 이 폭풍 해일이라는 게 뭔가요? 만조시간과 겹쳐 피해가 더 커질 것이라는 우려도 나오는데요?
<질문 6-1> 이런 높은 폭풍 해일을 맞는 해안가 분들, 어떤 대비책이 필요합니까?
<질문 7> 이번 하이선, 벼락 동반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던데요. 어떻습니까?
<질문 7-1> 강한 벼락이 칠 때는 어떤 대비가 필요한가요? 흔히들 나무 아래로 가라, 차에서 나오지 말아라, 이런 얘기들도 있지 않습니까? 맞는 얘기인가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출연 : 김승배 한국기상산업협회 본부장·백승주 열린사이버대 소방방재학과 교수>
10호 태풍 하이선이 강력한 비바람을 동반한 채 빠르게 북상중입니다.
하이선이 통과한 제주 등 남부지역은 이로 인한 대규모 정전과 낙하물 피해사고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앞으로 하이선의 진행 방향과 대비책, 김승배 한국기상산업협회본부장, 백승주 열린사이버대 소방방재학과 교수와 함께 알아봅니다.
어서오십시오,
<질문 1> 강력한 비바람을 동반한 10호 태풍 하이선이 북상중입니다. 현재 태풍 위치와 위력은 어느 정도 입니까?
<질문 1-1> 하이선, 동쪽으로 조금 밀리는가 싶더니, 서쪽으로 방향을 틀었거든요. 태풍이 이렇게 방향을 튼 원인은 뭘까요? 한반도 지형지물과 만나면서 세력이 조금은 약화될 가능성도 있을까요?
<질문 2> 이번 하이선이 조금 다른 게, 이전의 태풍과 달리 직선 방향으로 이동을 한다는 점입니다. 태풍의 직선이동, 어떤 의미가 있는 겁니까?
<질문 2-1> 이번 하이선이 걱정되는 이유, 바로 강력한 비바람을 동반한 태풍이라는 점 때문인데요. 풍력을 측정할 수 없을 정도의 강한 바람을 동반했다는 얘기도 나오지 않습니까? 비바람의 위력, 어느정도라고 봐야 합니까?
<질문 3> 이렇게 강력한 비바람을 동반하면서 벌써부터 바람 피해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나무가 부러지고, 낙하물 사고도 잇따르고 있는데요. 어떤 대비가 필요할까요?
<질문 3-1> 낙하물 피해가 적지 않음에도 일부 시설물에는 여전히 안전기준이 없다고 하던데요. 실제로 옥외 간판은 2년마다 안전점검을 하지만, 건물외벽이나 교회첨탑 등에 대한 안전 기준이 아예 없다면서요?
<질문 4> 하이선이 전신주까지 쓰러뜨릴 정도의 위력을 발휘하면서 합선, 감전 등 전기 사고 우려도 큽니다. 실제로 제주에는 대규모 정전사태가 발생했고 경남 지역에선 갑작스러운 단전에 피해신고가 잇따르기도 했거든요. 만일 단전, 합선 피해가 생겼을 경우 어떻게 대응해야 합니까?
<질문 5> 강력한 비바람이 불다보니, 집안에 있어도 걱정이 큽니다. 강한 바람에 아파트 창문이 깨지는 등 피해가 잇따르고 있거든요. 흔히 알고 있는 테이프 십자로 붙이기나 신문지 붙이기등 효과가 없다는 얘기도 나오던데요. 태풍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대비책은 뭘까요?
<질문 6> 하이선이 해안가를 중심으로 올라오면서 폭풍해일 걱정도 큽니다. 2003년 태풍 매미 피해가 컸던 이유도 바로 이 해일과 높은 파도 때문이라고 하던데요. 먼저 이 폭풍 해일이라는 게 뭔가요? 만조시간과 겹쳐 피해가 더 커질 것이라는 우려도 나오는데요?
<질문 6-1> 이런 높은 폭풍 해일을 맞는 해안가 분들, 어떤 대비책이 필요합니까?
<질문 7> 이번 하이선, 벼락 동반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던데요. 어떻습니까?
<질문 7-1> 강한 벼락이 칠 때는 어떤 대비가 필요한가요? 흔히들 나무 아래로 가라, 차에서 나오지 말아라, 이런 얘기들도 있지 않습니까? 맞는 얘기인가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