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포커스] 서훈 "폭넓게 대화" 양제츠 "꽤 좋은 대화"
<출연 : 전가림 호서대학교 교양학부 교수>
서훈 청와대 국가안보실장과 양제츠 중국 공산당 외교담당 정치국원이 약 4시간의 회담을 마쳤습니다.
이날 회담에선 코로나19 한중 대응 협력 등 다양한 의제가 올랐을 것으로 보이는데요. 특히 시진핑 주석의 연내 방한 여부가 주목되고 있습니다.
전문가와 관련 내용 짚어보겠습니다.
<질문1> 중국의 외교 사령탑 양제츠 정치국원이 오늘 서훈 국가안보실장을 만났습니다. 양 정치국원 방한은 2년여 만이고, 올해 코로나19 사태 이후 중국 고위급이 처음 한국을 찾은 것이기도 한데요. 어떤 의미가 있다고 보십니까?
<질문2> 일단 공산당 정치국원이 어떤 직책인지 정확히 모르는 분들도 많으신데요. 양 정치국원의 중국 내 위상을 짚어볼 필요가 있을 것 같아요?
<질문3> 양 정치국원의 이번 방한이 주목되는 건 무역, 기술, 홍콩, 대만, 남중국해 등 문제에서 미중 갈등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이뤄지고 있다는 점인데요. 중국의 우군 확보 맥락으로 봐야 할까요?
<질문4> 정부는 양 정치국원 방한이 사드 사태 이후 냉각됐던 양국 관계의 완전한 해빙을 알리는 신호탄이 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교착상태의 남북 관계에 돌파구를 열 중국에 역할에 대한 기대감도 있는데,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5> 하지만 한편에선 양 정치국원이 선물과 함께 들고 올 '청구서'가 만만치 않을 것이란 우려도 컸는데요. 오늘 회담에서 미국의 중국 견제에 최소한 중립을 지키거나, 중국을 지지해달라는 강력한 요구가 있지 않았겠느냐는 관측인데요?
<질문6> 이번 회담에서 시진핑 주석의 방한과 관련, 어떤 수준으로 구체적 논의가 오갔을지도 주목됩니다. 올해 중 방한에 양측이 공감대를 유지하고 있었던 만큼, 구체적인 일정 협의까지 이뤄졌을 가능성 어떻게 보세요?
<질문7> 그런데 시진핑 주석의 방한 조율이 주된 목적이라면, 왕이 외교부장 겸 국무위원이 정부를 대표해 방한하는 것이 자연스럽다고 볼 수 있는데요. 왜 이 시점에 양제츠 정치국원이 방한한 걸까요?
<질문8> 시진핑 주석의 방한은 이르면 9월 이뤄질 가능성도 거론되는데요. 최근 국내 코로나19 확산세가 다시 빨라진 만큼, 결국은 양국의 코로나19 안정세가 방한 일정을 결정하는 데 핵심이 되겠죠?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
(끝)
<출연 : 전가림 호서대학교 교양학부 교수>
서훈 청와대 국가안보실장과 양제츠 중국 공산당 외교담당 정치국원이 약 4시간의 회담을 마쳤습니다.
이날 회담에선 코로나19 한중 대응 협력 등 다양한 의제가 올랐을 것으로 보이는데요. 특히 시진핑 주석의 연내 방한 여부가 주목되고 있습니다.
전문가와 관련 내용 짚어보겠습니다.
<질문1> 중국의 외교 사령탑 양제츠 정치국원이 오늘 서훈 국가안보실장을 만났습니다. 양 정치국원 방한은 2년여 만이고, 올해 코로나19 사태 이후 중국 고위급이 처음 한국을 찾은 것이기도 한데요. 어떤 의미가 있다고 보십니까?
<질문2> 일단 공산당 정치국원이 어떤 직책인지 정확히 모르는 분들도 많으신데요. 양 정치국원의 중국 내 위상을 짚어볼 필요가 있을 것 같아요?
<질문3> 양 정치국원의 이번 방한이 주목되는 건 무역, 기술, 홍콩, 대만, 남중국해 등 문제에서 미중 갈등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이뤄지고 있다는 점인데요. 중국의 우군 확보 맥락으로 봐야 할까요?
<질문4> 정부는 양 정치국원 방한이 사드 사태 이후 냉각됐던 양국 관계의 완전한 해빙을 알리는 신호탄이 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교착상태의 남북 관계에 돌파구를 열 중국에 역할에 대한 기대감도 있는데,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5> 하지만 한편에선 양 정치국원이 선물과 함께 들고 올 '청구서'가 만만치 않을 것이란 우려도 컸는데요. 오늘 회담에서 미국의 중국 견제에 최소한 중립을 지키거나, 중국을 지지해달라는 강력한 요구가 있지 않았겠느냐는 관측인데요?
<질문6> 이번 회담에서 시진핑 주석의 방한과 관련, 어떤 수준으로 구체적 논의가 오갔을지도 주목됩니다. 올해 중 방한에 양측이 공감대를 유지하고 있었던 만큼, 구체적인 일정 협의까지 이뤄졌을 가능성 어떻게 보세요?
<질문7> 그런데 시진핑 주석의 방한 조율이 주된 목적이라면, 왕이 외교부장 겸 국무위원이 정부를 대표해 방한하는 것이 자연스럽다고 볼 수 있는데요. 왜 이 시점에 양제츠 정치국원이 방한한 걸까요?
<질문8> 시진핑 주석의 방한은 이르면 9월 이뤄질 가능성도 거론되는데요. 최근 국내 코로나19 확산세가 다시 빨라진 만큼, 결국은 양국의 코로나19 안정세가 방한 일정을 결정하는 데 핵심이 되겠죠?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1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