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자 확인'…코로나 악용 사기 문자 주의보
[뉴스리뷰]
[앵커]
코로나19 사태를 악용한 금융범죄가 늘고 있습니다.
특히 문자를 이용한 스미싱 사기가 급증했는데요.
경찰은 메시지 속 링크를 함부로 클릭하면 안 된다며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습니다.
정다예 기자입니다.
[기자]
서민을 대상으로 한 금융범죄가 기승입니다.
특히 문자를 이용한, 이른바 '스미싱 사기'가 급증하고 있는데, 올 상반기 피해 접수만 이미 작년 전체 건수를 넘어섰습니다.
코로나19가 확산하면서 '감염자 확인', '재난지원금 신청' 등의 문구로 가짜 링크에 유인하는 등 수법도 진화하고 있습니다.
지난 2월엔 이런 방식으로 63만 건의 문자를 보내 26억원을 빼돌린 일당 4명이 붙잡혔습니다.
서민경제를 위협하는 사기범죄가 늘면서, 경찰은 스미싱을 비롯한 보이스피싱, 메신저 피싱 등 금융범죄를 집중 단속하고 있습니다.
또, 금융감독원과 공조해 관련 범죄에 총력 대응하기로 했습니다.
<민갑룡 / 경찰청장> "코로나19로 인한 어려운 상황을 악용해서 국민의 생활, 때로는 생명마저 위협하는 범죄행위에 대해서는 코로나19보다도 강한 조치를 해야…"
경찰은 SNS를 이용한 대출사기 등 범죄수법이 교묘해지고 있다며, 금감원과 함께 피해예방책을 만들겠다고 밝혔습니다.
경찰은 출처가 확인되지 않은 인터넷주소는 클릭하지 말고, 불법 스팸이 의심된다면 국번 없이 118번으로 신고해달라고 당부했습니다.
연합뉴스TV 정다예입니다. (yeye@yna.co.k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뉴스리뷰]
[앵커]
코로나19 사태를 악용한 금융범죄가 늘고 있습니다.
특히 문자를 이용한 스미싱 사기가 급증했는데요.
경찰은 메시지 속 링크를 함부로 클릭하면 안 된다며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습니다.
정다예 기자입니다.
[기자]
서민을 대상으로 한 금융범죄가 기승입니다.
특히 문자를 이용한, 이른바 '스미싱 사기'가 급증하고 있는데, 올 상반기 피해 접수만 이미 작년 전체 건수를 넘어섰습니다.
코로나19가 확산하면서 '감염자 확인', '재난지원금 신청' 등의 문구로 가짜 링크에 유인하는 등 수법도 진화하고 있습니다.
지난 2월엔 이런 방식으로 63만 건의 문자를 보내 26억원을 빼돌린 일당 4명이 붙잡혔습니다.
서민경제를 위협하는 사기범죄가 늘면서, 경찰은 스미싱을 비롯한 보이스피싱, 메신저 피싱 등 금융범죄를 집중 단속하고 있습니다.
또, 금융감독원과 공조해 관련 범죄에 총력 대응하기로 했습니다.
<민갑룡 / 경찰청장> "코로나19로 인한 어려운 상황을 악용해서 국민의 생활, 때로는 생명마저 위협하는 범죄행위에 대해서는 코로나19보다도 강한 조치를 해야…"
경찰은 SNS를 이용한 대출사기 등 범죄수법이 교묘해지고 있다며, 금감원과 함께 피해예방책을 만들겠다고 밝혔습니다.
경찰은 출처가 확인되지 않은 인터넷주소는 클릭하지 말고, 불법 스팸이 의심된다면 국번 없이 118번으로 신고해달라고 당부했습니다.
연합뉴스TV 정다예입니다. (yeye@yna.co.k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