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화 모멘텀 살렸지만…강제징용 해법 도출 관건
[뉴스리뷰]
[앵커]
이낙연 국무총리와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만남은 꽉 막힌 한일 대화의 숨통을 트였다는 면에서 긍정적이란 평가가 나옵니다.
그러나 갈등의 핵심인 강제징용 문제에 대한 해법 찾기가 난제로 여전히 남아있는데요.
임혜준 기자입니다.
[기자]
이낙연 국무총리는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의 만남에서 한일 관계를 이대로 방치할 수 없다는 데 공감했다고 밝혔습니다.
그동안 물밑에서 간헐적으로 이어오던 외교적 소통을 공식화하기로 한 점도 성과로 꼽았습니다.
<이낙연 / 국무총리> "아베 총리님의 발언 속에서 정식으로 인정 받았고, 지속돼야 한다고 말씀하셨으니까요. 이제 속도가 좀더 나지 않을까 기대합니다."
이에 따라 한일 갈등의 최대 쟁점인 강제징용 배상 판결문제에 대한 한일간 '접점 찾기'에도 속도가 붙을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정부는 당초 일본에 한국과 일본 기업이 참여해 기금을 만들어 위자료를 지급하는 이른바 '1+1 해법'을 제안했지만, 일본측은 일찍이 거부했습니다.
법적 배상에는 거부감을 보이고 있는 만큼, 정부는 양쪽 모두 수용 가능한 창의적인 해법을 찾는데 고심하고 있는 분위기입니다.
일각에서는 한국 정부와 기업이 배상을 한 뒤, 일본 기업이 별개의 재단을 만들어 장학금의 형태로 기여하는 방안 등도 거론됩니다.
외교부 고위 당국자는 '1+1안'을 토대로 새로운 제안을 해나가면서 양쪽이 움직일 수 있는 여지를 파악하는 단계라고 설명했습니다.
결국 외교 당국간 치열한 조율의 결과가 연내 한일 정상회담 성사의 향배를 가를 것이란 관측입니다.
연합뉴스TV 임혜준입니다. (junelim@yna.co.k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뉴스리뷰]
[앵커]
이낙연 국무총리와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만남은 꽉 막힌 한일 대화의 숨통을 트였다는 면에서 긍정적이란 평가가 나옵니다.
그러나 갈등의 핵심인 강제징용 문제에 대한 해법 찾기가 난제로 여전히 남아있는데요.
임혜준 기자입니다.
[기자]
이낙연 국무총리는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의 만남에서 한일 관계를 이대로 방치할 수 없다는 데 공감했다고 밝혔습니다.
그동안 물밑에서 간헐적으로 이어오던 외교적 소통을 공식화하기로 한 점도 성과로 꼽았습니다.
<이낙연 / 국무총리> "아베 총리님의 발언 속에서 정식으로 인정 받았고, 지속돼야 한다고 말씀하셨으니까요. 이제 속도가 좀더 나지 않을까 기대합니다."
이에 따라 한일 갈등의 최대 쟁점인 강제징용 배상 판결문제에 대한 한일간 '접점 찾기'에도 속도가 붙을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정부는 당초 일본에 한국과 일본 기업이 참여해 기금을 만들어 위자료를 지급하는 이른바 '1+1 해법'을 제안했지만, 일본측은 일찍이 거부했습니다.
법적 배상에는 거부감을 보이고 있는 만큼, 정부는 양쪽 모두 수용 가능한 창의적인 해법을 찾는데 고심하고 있는 분위기입니다.
일각에서는 한국 정부와 기업이 배상을 한 뒤, 일본 기업이 별개의 재단을 만들어 장학금의 형태로 기여하는 방안 등도 거론됩니다.
외교부 고위 당국자는 '1+1안'을 토대로 새로운 제안을 해나가면서 양쪽이 움직일 수 있는 여지를 파악하는 단계라고 설명했습니다.
결국 외교 당국간 치열한 조율의 결과가 연내 한일 정상회담 성사의 향배를 가를 것이란 관측입니다.
연합뉴스TV 임혜준입니다. (junelim@yna.co.k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2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