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포커스] 'DNA 대조' 33년만에 화성 연쇄살인 용의자 찾았다
<출연 : 배상훈 전 서울지방경찰청 범죄심리분석관·최진봉 성공회대 신문방송학과 교수·이호영 변호사>
화성연쇄살인사건 수사본부장을 맡고 있는 반기수 경기남부경찰청 2부장의 브리핑 들으셨습니다.
지금부터는 저와 김나연 앵커가 진행하겠습니다.
브리핑 하는 사이에 스튜디오엔 최진봉 성공회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이호영 변호사 자리하셨습니다.
세분과 함께 화성연쇄살인사건 용의자 검거 관련 소식 자세히 나눠보겠습니다.
<질문 1> 먼저 33년 만에 소환된 화성연쇄살인사건, 영화 '살인의 추억'으로도 만들어져 유명한데요. 화성연쇄살인사건은 어떤 사건인지 간략하게 소개 부탁드립니다.
<질문 2> 이 사건이 크게 화제가 된 것이 범행이 잔혹하고, 살해 수법이 특이했기 때문인데요. 이 부분도 좀 짚어주시죠.
<질문 3> 사건이 일어난 지 33년이 지났고요. 공소시효가 종결된 지도 2006년이니까 13년이나 지났습니다. 어떤 방법으로 용의자를 특정할 수 있게 된 건가요?
<질문 3-1> 용의자를 특정하는데 있어 이런 DNA 분석기법 외에도 큰 역할을 한 게 제보라고 들었습니다. 이건 어떤 얘기인가요?
<질문 4> 그렇다면 경찰이 특정한 용의자는 어떤 인물인지도 궁금한데요. 이미 살인죄로 교도소에 복역 중이던 50대 남성이라고요? 언제부터 교도소에 있었던 건가요?
<질문 4-1> 다른 사건으로 이미 무기징역형 확정 받고 복역 중이라고 하는데 어떤 사건인지?
<질문 5> 일단은 DNA가 일치하는 게 10건 중 2건이었는데요. 나머지 사건도 용의자의 소행인지 확인을 해야 하는 작업이 남은 거죠? 이 작업은 어떤 방식으로 진행이 되나요?
<질문 6> 영화 '살인의 추억'에서도 보면 경찰이 범인이라 생각하고 집요하게 증거를 찾아나가는 모습도 나오는데요. 그동안 수사 과정에서 용의자를 특정하지 못했던 결정적 이유가 있나요?
<질문 6-1> 수사과정에서 용의자로 몰렸던 사람들도 꽤 많은 걸로 아는데요. 오래된 사건이다 보니 그동안 수사를 받던 피의자나 수사를 하던 경찰이 또 다른 피해자들이 되기도 한 사건이었어요.
<질문 7> 워낙 오래된 사건이다 보니 공소시효는 이미 끝났다고 하던데, 공소시효라는 것이 마지막 사건이 벌어진 시점에서 계산을 하는 건데 이 사건은 공소시효를 어떻게 봐야 하나요?
<질문 7-1> 그렇다면 용의자가 범인으로 확정이 된다고 해도 전혀 처벌할 수 있는 방법이 없는 건가요? 현재 복역중인 살인 사건과는 별건으로 밖에 처리할 수 없는건가요?
<질문 8> 경찰이 용의자로 특정한 범인이 현재 교도소에 수감 중이라고 했는데요. 앞으로의 수사는 어떻게 이루어지나요? 소지품 압수나 체포 등 강제 수사는 어렵다고 하던데요?
<질문 9> 장기미제사건은 드라마나 영화의 소재로도 많이 사용이 되는데요. 화성연쇄살인사건 이외에 또 어떤 사건들이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출연 : 배상훈 전 서울지방경찰청 범죄심리분석관·최진봉 성공회대 신문방송학과 교수·이호영 변호사>
화성연쇄살인사건 수사본부장을 맡고 있는 반기수 경기남부경찰청 2부장의 브리핑 들으셨습니다.
지금부터는 저와 김나연 앵커가 진행하겠습니다.
브리핑 하는 사이에 스튜디오엔 최진봉 성공회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이호영 변호사 자리하셨습니다.
세분과 함께 화성연쇄살인사건 용의자 검거 관련 소식 자세히 나눠보겠습니다.
<질문 1> 먼저 33년 만에 소환된 화성연쇄살인사건, 영화 '살인의 추억'으로도 만들어져 유명한데요. 화성연쇄살인사건은 어떤 사건인지 간략하게 소개 부탁드립니다.
<질문 2> 이 사건이 크게 화제가 된 것이 범행이 잔혹하고, 살해 수법이 특이했기 때문인데요. 이 부분도 좀 짚어주시죠.
<질문 3> 사건이 일어난 지 33년이 지났고요. 공소시효가 종결된 지도 2006년이니까 13년이나 지났습니다. 어떤 방법으로 용의자를 특정할 수 있게 된 건가요?
<질문 3-1> 용의자를 특정하는데 있어 이런 DNA 분석기법 외에도 큰 역할을 한 게 제보라고 들었습니다. 이건 어떤 얘기인가요?
<질문 4> 그렇다면 경찰이 특정한 용의자는 어떤 인물인지도 궁금한데요. 이미 살인죄로 교도소에 복역 중이던 50대 남성이라고요? 언제부터 교도소에 있었던 건가요?
<질문 4-1> 다른 사건으로 이미 무기징역형 확정 받고 복역 중이라고 하는데 어떤 사건인지?
<질문 5> 일단은 DNA가 일치하는 게 10건 중 2건이었는데요. 나머지 사건도 용의자의 소행인지 확인을 해야 하는 작업이 남은 거죠? 이 작업은 어떤 방식으로 진행이 되나요?
<질문 6> 영화 '살인의 추억'에서도 보면 경찰이 범인이라 생각하고 집요하게 증거를 찾아나가는 모습도 나오는데요. 그동안 수사 과정에서 용의자를 특정하지 못했던 결정적 이유가 있나요?
<질문 6-1> 수사과정에서 용의자로 몰렸던 사람들도 꽤 많은 걸로 아는데요. 오래된 사건이다 보니 그동안 수사를 받던 피의자나 수사를 하던 경찰이 또 다른 피해자들이 되기도 한 사건이었어요.
<질문 7> 워낙 오래된 사건이다 보니 공소시효는 이미 끝났다고 하던데, 공소시효라는 것이 마지막 사건이 벌어진 시점에서 계산을 하는 건데 이 사건은 공소시효를 어떻게 봐야 하나요?
<질문 7-1> 그렇다면 용의자가 범인으로 확정이 된다고 해도 전혀 처벌할 수 있는 방법이 없는 건가요? 현재 복역중인 살인 사건과는 별건으로 밖에 처리할 수 없는건가요?
<질문 8> 경찰이 용의자로 특정한 범인이 현재 교도소에 수감 중이라고 했는데요. 앞으로의 수사는 어떻게 이루어지나요? 소지품 압수나 체포 등 강제 수사는 어렵다고 하던데요?
<질문 9> 장기미제사건은 드라마나 영화의 소재로도 많이 사용이 되는데요. 화성연쇄살인사건 이외에 또 어떤 사건들이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