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포커스] 민주, 야3당과 공조 한국당 압박…"협상 끝" vs "재협상"
<출연 : 최민희 전 국회의원, 이상휘 세명대 교수>
한국당이 3당 교섭단체 원내대표가 합의한 국회 정상화 합의안을 거부하면서 국회가 반쪽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지금 상황이라면 다시 협상 테이블에 앉기는 쉽지 않아 보입니다.
다음달 개각설이 나오는 가운데 조국 민정수석의 법무장관 입각설이 나옵니다.
이낙연 총리의 거취도 관심 사안인데요.
관련 내용 포함한 주요 정치 현안들, 최민희 전 국회의원, 이상휘 세명대 교수와 함께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두 분, 어서 오세요.
<질문 1> 문재인 대통령이 이르면 다음 달 하순, 늦어도 8월 초에는 개각을 단행할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이낙연 총리와 조국 수석의 거취 여부, 외교안보라인과 사정라인 재편 가능성 등 여러 관측이 나옵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큰 관심은 조국 수석의 법무장관 입각설입니다. 청와대가 검증에 들어갔다는 얘기까지 나오고 있는데요. 어떻게 보세요. 조 수석에 대한 야당의 반감이 강한데요?
<질문 1-1> 이낙연 국무총리가 교체될지, 아니면 유임이 될지 관심입니다. 교체된다면 후임 총리는 누가될지도 궁금한데요?
<질문 2> 한국당의 합의안 번복으로 국회는 여전히 파행 운영되고 있습니다. 이인영 원내대표는 "새 협상 꿈도 꾸지 말라"며 한국당을 압박하고 나섰습니다. 민주당은 야3당과 공조해 나가면서 국회일정 소화할 예정으로 한국당은 조건 달지 말고 국회에 복귀하라는 겁니다. 한국당 나경원 원내대표는 합의가 무효가 됐으니 재협상을 할 것이라고 얘기했는데요. 다시 만날 수 있을까요?
<질문 3> 애초 한국당은 패스트트랙 법안 취소와 여당의 사과를 요구했었는데요. 나경원 원내대표, 재협상 카드를 꺼내면서도 관련해서 보다 진전된 이야기가 있어야 한다고 못을 박았습니다. 결국 여당이 이 조건을 수용해야만 국회정상화 협상 불씨가 살아날텐데요. 전망해 주신다면요?
<질문 3-1> 여야 3당 교섭단체 협의에서 패스트트랙 과정서 나온 쌍방간 고소 고발 얘기가 나왔다고 하죠. 결국 한국당 의원들, 고소·고발 취하하면 국회에 나오겠다는게 속내 아니냐는 분석도 있습니다.
<질문 4> 의총에서의 합의문 추인 불발 사태로 나경원 원내지도부위 위상이 흔들렸다는 지적이 있습니다. 리더십에 금이 간 만큼 나경원 원내대표로서는 앞으로 국회 등원 명분 찾기가 더 어렵지 않을까요?
<질문 5> 국회 등원 문제에 있어 황교안 대표와 나경원 원내대표 간 의견차가 결국 이번 사태를 불러왔다는 시각도 제기된다고요?
<질문 6> 연이은 말실수로 논란을 빚은 황교안 한국당 대표, 결국 취재진을 상대로 한 백브리핑까지 줄이겠다고 밝혔는데요. 한국당 내부에서도 이른바 '정치신인' 황교안 리스크를 우려하는 분위기가 엿보인다고요?
<질문 7> 서울시가 어제 광화문 광장의 우리공화당, 옛 대한애국당 천막을 철거하는 행정대집행을 실시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격렬한 몸싸움도 발생했는데요. 우리공화당 측은 다시 천막 10개동을 재설치하면서 물러서지 않고 있죠? 박원순 시장도 형사 고발 등 단호 대처를 거듭 천명했는데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출연 : 최민희 전 국회의원, 이상휘 세명대 교수>
한국당이 3당 교섭단체 원내대표가 합의한 국회 정상화 합의안을 거부하면서 국회가 반쪽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지금 상황이라면 다시 협상 테이블에 앉기는 쉽지 않아 보입니다.
다음달 개각설이 나오는 가운데 조국 민정수석의 법무장관 입각설이 나옵니다.
이낙연 총리의 거취도 관심 사안인데요.
관련 내용 포함한 주요 정치 현안들, 최민희 전 국회의원, 이상휘 세명대 교수와 함께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두 분, 어서 오세요.
<질문 1> 문재인 대통령이 이르면 다음 달 하순, 늦어도 8월 초에는 개각을 단행할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이낙연 총리와 조국 수석의 거취 여부, 외교안보라인과 사정라인 재편 가능성 등 여러 관측이 나옵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큰 관심은 조국 수석의 법무장관 입각설입니다. 청와대가 검증에 들어갔다는 얘기까지 나오고 있는데요. 어떻게 보세요. 조 수석에 대한 야당의 반감이 강한데요?
<질문 1-1> 이낙연 국무총리가 교체될지, 아니면 유임이 될지 관심입니다. 교체된다면 후임 총리는 누가될지도 궁금한데요?
<질문 2> 한국당의 합의안 번복으로 국회는 여전히 파행 운영되고 있습니다. 이인영 원내대표는 "새 협상 꿈도 꾸지 말라"며 한국당을 압박하고 나섰습니다. 민주당은 야3당과 공조해 나가면서 국회일정 소화할 예정으로 한국당은 조건 달지 말고 국회에 복귀하라는 겁니다. 한국당 나경원 원내대표는 합의가 무효가 됐으니 재협상을 할 것이라고 얘기했는데요. 다시 만날 수 있을까요?
<질문 3> 애초 한국당은 패스트트랙 법안 취소와 여당의 사과를 요구했었는데요. 나경원 원내대표, 재협상 카드를 꺼내면서도 관련해서 보다 진전된 이야기가 있어야 한다고 못을 박았습니다. 결국 여당이 이 조건을 수용해야만 국회정상화 협상 불씨가 살아날텐데요. 전망해 주신다면요?
<질문 3-1> 여야 3당 교섭단체 협의에서 패스트트랙 과정서 나온 쌍방간 고소 고발 얘기가 나왔다고 하죠. 결국 한국당 의원들, 고소·고발 취하하면 국회에 나오겠다는게 속내 아니냐는 분석도 있습니다.
<질문 4> 의총에서의 합의문 추인 불발 사태로 나경원 원내지도부위 위상이 흔들렸다는 지적이 있습니다. 리더십에 금이 간 만큼 나경원 원내대표로서는 앞으로 국회 등원 명분 찾기가 더 어렵지 않을까요?
<질문 5> 국회 등원 문제에 있어 황교안 대표와 나경원 원내대표 간 의견차가 결국 이번 사태를 불러왔다는 시각도 제기된다고요?
<질문 6> 연이은 말실수로 논란을 빚은 황교안 한국당 대표, 결국 취재진을 상대로 한 백브리핑까지 줄이겠다고 밝혔는데요. 한국당 내부에서도 이른바 '정치신인' 황교안 리스크를 우려하는 분위기가 엿보인다고요?
<질문 7> 서울시가 어제 광화문 광장의 우리공화당, 옛 대한애국당 천막을 철거하는 행정대집행을 실시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격렬한 몸싸움도 발생했는데요. 우리공화당 측은 다시 천막 10개동을 재설치하면서 물러서지 않고 있죠? 박원순 시장도 형사 고발 등 단호 대처를 거듭 천명했는데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