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번지] 북미 양보없는 기싸움…'연말' 시한에 해법 찾을까
<출연 : 김열수 한국군사문제연구원 안보전략실장ㆍ정대진 아주대 통일연구소 교수>
북미가 대화의 끈은 놓지 않으면서도 비핵화 해법을 둘러싸고 양보 없는 기싸움을 계속하고 있습니다.
문 대통령의 해법이 더 중요해진 시점입니다.
오늘 문 대통령이 수보회의를 통해 밝힌 내용 자세히 짚어보겠습니다.
김열수 한국군사문제연구원 안보전략실장, 정대진 아주대 통일연구소 교수와 함께 짚어보겠습니다.
<질문 1> 문 대통령이 오늘 수보회의를 통해 여러 이야기를 내놨습니다. 두 분은 어떤 부분에 가장 주목하셨습니까? 총평부터 듣고 시작해볼까요.
<질문 2> 한미정상회담 이후 설득작업이 제대로 진행되지 못했다는 일각의 지적도 있었는데요. 문 대통령이 한미정상회담 결과에 대해 평가한 부분은 어떻게 들으셨습니까?
<질문 3> 북한의 여건이 되는대로 장소와 형식에 구애없이 정상회담을 희망한다고 밝혔는데요. 북한이 이 카드를 받을까요?
<질문 4> 무엇보다 북미 대화의 동력을 살릴 대북특사로 누구를 보낼것이냐 주목됐는데요. 여기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이 없었습니다. 어떤 이유로 보십니까?
<질문 4-1> 만약 대북특사 카드가 추후에 다시 논의된다면 인물과 시기는 어떻게 전망하십니까?
<질문 5> 문 대통령은 북미대화의지를 높이 평가했지만요. 돌파구를 찾기도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김정은 위원장이 시정연설을 통해 "미국의 새 계산법"을 요구했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핵무기 제거할 날 고대"한다면서 여전히 빅딜 원칙을 고수하고 있거든요?
<질문 5-1> 김정은 위원장은 협상 시한을 연말로 못박았는데요. 트럼프 대통령과 시간 싸움에서의 유불리를 따져본다면 어떻습니까?
<질문 6> 그런데요. 김 위원장이 시정연설에서요. 미국을 향해서는 "자세를 바꾼다면 한번 더 회담을 해볼 용의가 있다" 고 했고요. 우리를 향해서는 "오지랖 넓은 중재자, 촉진자 아닌 당사자가 돼야한다"는 발언을 내놨습니다. 해석이 분분한데 두 분은 어떻게 평가하십니까?
<질문 7> 최근 달라진 남북관계에 비춰본다면 김 위원장의 표현은 분명 이해하기 힘든 부분이 있습니다. 당장 보수야당에서는요. 대통령에 대한 모독이라는 지적까지 나왔는데, 문 대통령에게도 부담이 됐을텐데요. 특별한 입장을 내지는 않았어요?
<질문 8> 문 대통령의 역할이 더 중요해진 시점입니다. 어떤 부분에 가장 집중해야 한다고 보십니까?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출연 : 김열수 한국군사문제연구원 안보전략실장ㆍ정대진 아주대 통일연구소 교수>
북미가 대화의 끈은 놓지 않으면서도 비핵화 해법을 둘러싸고 양보 없는 기싸움을 계속하고 있습니다.
문 대통령의 해법이 더 중요해진 시점입니다.
오늘 문 대통령이 수보회의를 통해 밝힌 내용 자세히 짚어보겠습니다.
김열수 한국군사문제연구원 안보전략실장, 정대진 아주대 통일연구소 교수와 함께 짚어보겠습니다.
<질문 1> 문 대통령이 오늘 수보회의를 통해 여러 이야기를 내놨습니다. 두 분은 어떤 부분에 가장 주목하셨습니까? 총평부터 듣고 시작해볼까요.
<질문 2> 한미정상회담 이후 설득작업이 제대로 진행되지 못했다는 일각의 지적도 있었는데요. 문 대통령이 한미정상회담 결과에 대해 평가한 부분은 어떻게 들으셨습니까?
<질문 3> 북한의 여건이 되는대로 장소와 형식에 구애없이 정상회담을 희망한다고 밝혔는데요. 북한이 이 카드를 받을까요?
<질문 4> 무엇보다 북미 대화의 동력을 살릴 대북특사로 누구를 보낼것이냐 주목됐는데요. 여기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이 없었습니다. 어떤 이유로 보십니까?
<질문 4-1> 만약 대북특사 카드가 추후에 다시 논의된다면 인물과 시기는 어떻게 전망하십니까?
<질문 5> 문 대통령은 북미대화의지를 높이 평가했지만요. 돌파구를 찾기도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김정은 위원장이 시정연설을 통해 "미국의 새 계산법"을 요구했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핵무기 제거할 날 고대"한다면서 여전히 빅딜 원칙을 고수하고 있거든요?
<질문 5-1> 김정은 위원장은 협상 시한을 연말로 못박았는데요. 트럼프 대통령과 시간 싸움에서의 유불리를 따져본다면 어떻습니까?
<질문 6> 그런데요. 김 위원장이 시정연설에서요. 미국을 향해서는 "자세를 바꾼다면 한번 더 회담을 해볼 용의가 있다" 고 했고요. 우리를 향해서는 "오지랖 넓은 중재자, 촉진자 아닌 당사자가 돼야한다"는 발언을 내놨습니다. 해석이 분분한데 두 분은 어떻게 평가하십니까?
<질문 7> 최근 달라진 남북관계에 비춰본다면 김 위원장의 표현은 분명 이해하기 힘든 부분이 있습니다. 당장 보수야당에서는요. 대통령에 대한 모독이라는 지적까지 나왔는데, 문 대통령에게도 부담이 됐을텐데요. 특별한 입장을 내지는 않았어요?
<질문 8> 문 대통령의 역할이 더 중요해진 시점입니다. 어떤 부분에 가장 집중해야 한다고 보십니까?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