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포커스] '재난급' 미세먼지, 역대 최고ㆍ최악…발생 원인은?
<출연 : 서울시립대 환경공학과 동종인 교수>
재난급 초미세먼지로 수도권 사상 처음으로 엿새째 비상저감조치가 발령됐습니다.
청정지대라 여겼던 강원과 제주에도 저감조치가 시행되면서 한반도 전체가 미세먼지에 갇혀 버렸습니다.
절기상 개구리가 겨울잠에서 깨어난다는 경칩인 오늘도 미세먼지가 전국적으로 기승을 부리겠습니다.
역대 최고ㆍ최악의 미세먼지 사태, 전문가와 함께 짚어보겠습니다.
동종인 서울 시립대 환경공학과 교수, 자리하셨습니다.
어서 오십시오.
<질문 1> 수도권에 사상 처음으로 엿새째 비상저감조치가 발령이 됐는데요. 이젠 수도권 만의 문제가 아닌 것 같아요. 청정지역으로 꼽히는 강원, 제주 하늘에도 먼지가 가득했습니다. 어제 서울은 하루 평균 초미세먼지 농도가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합니다. 매일 매일이 기록갱신입니다. 이런 하늘은 처음입니다.
<질문 1-1> 현재 우리나라에 미세먼지 수준, 전세계 각국과 비교하면 어느 정도 인가요. 베이징 보다 더 나쁘다고 하던데요.
<질문 2> 예전에는 봄철 불청객하면 황사를 떠올렸잖아요. 그런데 요즘은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종류가 많아졌어요. 물론 우리 인체에는 전부 다 안 좋겠지만 이것들은 어떻게 다른가요?
<질문 3> 유엔보고서에 따르면 미세먼지가 환경 문제일 뿐 아니라 인권 보호 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 우리 몸에 얼마나 안 좋은가요?
<질문 4> 그렇다면 미세먼지 어떻게 어디서 발생하는 것인지 궁금한데요. 정확한 원인이 나와 있나요?
<질문 5> 우리는 보통 미세먼지 하면 석탄 사용이 많은 중국으로부터 유입되는 것이 문제라고 생각하는데요. 맞습니까? 환경부 장관은 1월 미세먼지의 80%가 중국요인이라고 밝혔는데요. 중국도 일부 시인했다고 해요.
<질문 6> 비상저감조치가 시행되면 2.5톤 이상 5등급 차량 운행을 단속하는데요. 대부분 생계형 운전자들이 많습니다. 그래서 여쭤보는 것인데요. 실제로 경유차에서 배출되는 가스가 초미세먼지에 영향을 많이 줍니까?
<질문 7> 정부가 시행하는 미세먼지 저감 대책에 의문을 제기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갈수록 악화하는 상황인데 이 정도의 대책으로는 어림없어 보입니다. 정부와 지자체 차원에서 어떤 대책이 마련되어야 할까요?
<질문 8> 미세먼지 문제가 단지 우리나라만의 문제가 아니기 때문에 주변국들과 공동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안도 강구해 봐야 할 것 같은데요. 어떤 대책을 세워야 할까요?
<질문 8-1> 한 가지 궁금한 것이요. 일본은 왜 미세먼지가 없는 것인가요? 우리나라가 중국으로부터 미세먼지를 막아주고 있다 이런 말도 있는데 하늘에 칸막이가 있는 것도 아니고 말이죠. 일본까지 가기 전에 다 가라앉는 것인가요?
<질문 9> 마지막으로 생활 속에서 궁금한 점 몇 가지 여쭤보겠습니다. 미세먼지 많은 날 창문을 열어도 될까 엄청 고민하게 되는데요. 먼저 실내에서 주의해야 할 점이 있다면 무엇이 있을까요?
<질문 10> 요즘 마스크는 외출 필수품이 됐는데요. 이번에는 외출시 주의 사항에 대해 말씀 부탁드립니다.
지금까지 동종인 서울시립대 환경공학과 교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출연 : 서울시립대 환경공학과 동종인 교수>
재난급 초미세먼지로 수도권 사상 처음으로 엿새째 비상저감조치가 발령됐습니다.
청정지대라 여겼던 강원과 제주에도 저감조치가 시행되면서 한반도 전체가 미세먼지에 갇혀 버렸습니다.
절기상 개구리가 겨울잠에서 깨어난다는 경칩인 오늘도 미세먼지가 전국적으로 기승을 부리겠습니다.
역대 최고ㆍ최악의 미세먼지 사태, 전문가와 함께 짚어보겠습니다.
동종인 서울 시립대 환경공학과 교수, 자리하셨습니다.
어서 오십시오.
<질문 1> 수도권에 사상 처음으로 엿새째 비상저감조치가 발령이 됐는데요. 이젠 수도권 만의 문제가 아닌 것 같아요. 청정지역으로 꼽히는 강원, 제주 하늘에도 먼지가 가득했습니다. 어제 서울은 하루 평균 초미세먼지 농도가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합니다. 매일 매일이 기록갱신입니다. 이런 하늘은 처음입니다.
<질문 1-1> 현재 우리나라에 미세먼지 수준, 전세계 각국과 비교하면 어느 정도 인가요. 베이징 보다 더 나쁘다고 하던데요.
<질문 2> 예전에는 봄철 불청객하면 황사를 떠올렸잖아요. 그런데 요즘은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종류가 많아졌어요. 물론 우리 인체에는 전부 다 안 좋겠지만 이것들은 어떻게 다른가요?
<질문 3> 유엔보고서에 따르면 미세먼지가 환경 문제일 뿐 아니라 인권 보호 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 우리 몸에 얼마나 안 좋은가요?
<질문 4> 그렇다면 미세먼지 어떻게 어디서 발생하는 것인지 궁금한데요. 정확한 원인이 나와 있나요?
<질문 5> 우리는 보통 미세먼지 하면 석탄 사용이 많은 중국으로부터 유입되는 것이 문제라고 생각하는데요. 맞습니까? 환경부 장관은 1월 미세먼지의 80%가 중국요인이라고 밝혔는데요. 중국도 일부 시인했다고 해요.
<질문 6> 비상저감조치가 시행되면 2.5톤 이상 5등급 차량 운행을 단속하는데요. 대부분 생계형 운전자들이 많습니다. 그래서 여쭤보는 것인데요. 실제로 경유차에서 배출되는 가스가 초미세먼지에 영향을 많이 줍니까?
<질문 7> 정부가 시행하는 미세먼지 저감 대책에 의문을 제기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갈수록 악화하는 상황인데 이 정도의 대책으로는 어림없어 보입니다. 정부와 지자체 차원에서 어떤 대책이 마련되어야 할까요?
<질문 8> 미세먼지 문제가 단지 우리나라만의 문제가 아니기 때문에 주변국들과 공동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안도 강구해 봐야 할 것 같은데요. 어떤 대책을 세워야 할까요?
<질문 8-1> 한 가지 궁금한 것이요. 일본은 왜 미세먼지가 없는 것인가요? 우리나라가 중국으로부터 미세먼지를 막아주고 있다 이런 말도 있는데 하늘에 칸막이가 있는 것도 아니고 말이죠. 일본까지 가기 전에 다 가라앉는 것인가요?
<질문 9> 마지막으로 생활 속에서 궁금한 점 몇 가지 여쭤보겠습니다. 미세먼지 많은 날 창문을 열어도 될까 엄청 고민하게 되는데요. 먼저 실내에서 주의해야 할 점이 있다면 무엇이 있을까요?
<질문 10> 요즘 마스크는 외출 필수품이 됐는데요. 이번에는 외출시 주의 사항에 대해 말씀 부탁드립니다.
지금까지 동종인 서울시립대 환경공학과 교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