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번지] 한국당 '5·18 망언' 의원 징계 미뤄져…이유는?
<출연 : 차재원 부산가톨릭대 교수ㆍ이경수 전 새누리당 부대변인>
황교안 신임 당대표 분주합니다.
새벽부터 첫 민생현장으로 남대문 시장을 찾은 데 이어 오후에는 봉하 마을을 방문합니다.
한편 청와대의 개각이 본격화되는 가운데 당으로 돌아온 인사들의 내년 총선을 위한 움직임이 빨라지고 있습니다.
차재원 부산가톨릭대 교수, 이경수 전 새누리당 부대변인과 짚어봅니다.
<질문 1> 황교안 대표, 오전에는 첫 민생현장으로 남대문 새벽시장을 찾았고요. 오후에는 봉하 마을을 찾아 노무현 전 대통령 묘역을 참배하고 권양숙 여사를 예방합니다. 황교안 대표의 첫 현장행보 어떤 의미로 보십니까?
<질문 2> 봉하마을로 향하기 전에 황 대표 선출 이후 첫 의원총회가 있었습니다. 5·18 망언 의원들 가운데서도 특히 이미 제명 결정이 내려진 이종명 의원에 대한 표결이 이뤄질지 관심이었는데요. "시간상 어렵다"는 이유로 결정을 미뤘습니다. 계속 징계 논의가 늦춰지는 진짜 이유는 무엇일까요?
<질문 2-1> 윤리위원장이 물러나겠다는 뜻을 밝히기도 했지만요. 황교안 대표 역시 윤리위원장 재선임 등 후속 절차에 적극적이지는 않은 것 같은데요? 황 대표, 결국은 어떤 선택을 하리라 보십니까?
<질문 3> 황 대표에게 5·18 망언에 대한 조치가 어려운 숙제이기는 한 것 같아요. 어제 정의당 이정미 대표와의 첫 만남 자리에서 이 사안 해결을 요구하자 갑자기 고 노회찬 의원과 관련이 있는 드루킹 사건을 언급해 분위기가 냉랭했거든요. 어제 이 장면 어떻게 보셨습니까?
<질문 3-1> 첫 상견례에서 좀처럼 보기 드문 일 아닌가 생각도 드는데요. 황 대표의 계산된 발언이었을까요? 아니면 아직 정치신인이라 당내 문제에 대한 지적이 계속되자 나온 실언이었을까요?
<질문 4> 어제 황교안 체제 첫 당직인선은 어떻게 평가하십니까? 친박계가 전면에 나서고 비박이 빠져 계파안배가 안됐다는 평가가 나오자 황 대표는 "저희는 비박계 이런 것 없습니다"라고 항변하기도 했는데요.
<질문 5> 한편 황 대표 취임 이후 첫 여야 대선주자 선호도 여론조사가 나왔는데요. 1위를 차지했습니다. 처음으로 조사에 포함된 유시민 이사장이 2위를 차지했는데 선호도 격차가 오차범위 밖이었습니다. 이번 여론조사 결과 의미 어떻게 분석하셨습니까?
<질문 6> 이르면 이틀 뒤 이뤄질 청와대의 개각 이야기도 해보죠. 우상호-박영선-진영 의원까지 당내 중진들의 입각설이 나옵니다. 총선용 개각이란 평가부터 시작해 여러 해석이 나오는데요. 두 분은 이번 개각 의미와 규모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6-1> 먼저 이뤄진 4강 대사 교체는 어떻게 보고 계세요? 내정된 2명은 청와대 출신인데다 주중대사를 맡은 장하성 실장 같은 경우에는요. 정책 실패를 책임지고 물러났는데 재기용 돼 부적절한 인사라는 지적도 나오는데요.
<질문 7> 두 달 넘게 멈춰있던 국회가 드디어 이틀 뒤부터 가동됩니다. 시급하게 풀어야할 문제가 한두 가지가 아닌데요. 특히 유치원 대란은 급한 불을 끄기는 했습니다만 불씨가 여전한 상황입니다. 유치원 3법도 곧장 처리가 될까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출연 : 차재원 부산가톨릭대 교수ㆍ이경수 전 새누리당 부대변인>
황교안 신임 당대표 분주합니다.
새벽부터 첫 민생현장으로 남대문 시장을 찾은 데 이어 오후에는 봉하 마을을 방문합니다.
한편 청와대의 개각이 본격화되는 가운데 당으로 돌아온 인사들의 내년 총선을 위한 움직임이 빨라지고 있습니다.
차재원 부산가톨릭대 교수, 이경수 전 새누리당 부대변인과 짚어봅니다.
<질문 1> 황교안 대표, 오전에는 첫 민생현장으로 남대문 새벽시장을 찾았고요. 오후에는 봉하 마을을 찾아 노무현 전 대통령 묘역을 참배하고 권양숙 여사를 예방합니다. 황교안 대표의 첫 현장행보 어떤 의미로 보십니까?
<질문 2> 봉하마을로 향하기 전에 황 대표 선출 이후 첫 의원총회가 있었습니다. 5·18 망언 의원들 가운데서도 특히 이미 제명 결정이 내려진 이종명 의원에 대한 표결이 이뤄질지 관심이었는데요. "시간상 어렵다"는 이유로 결정을 미뤘습니다. 계속 징계 논의가 늦춰지는 진짜 이유는 무엇일까요?
<질문 2-1> 윤리위원장이 물러나겠다는 뜻을 밝히기도 했지만요. 황교안 대표 역시 윤리위원장 재선임 등 후속 절차에 적극적이지는 않은 것 같은데요? 황 대표, 결국은 어떤 선택을 하리라 보십니까?
<질문 3> 황 대표에게 5·18 망언에 대한 조치가 어려운 숙제이기는 한 것 같아요. 어제 정의당 이정미 대표와의 첫 만남 자리에서 이 사안 해결을 요구하자 갑자기 고 노회찬 의원과 관련이 있는 드루킹 사건을 언급해 분위기가 냉랭했거든요. 어제 이 장면 어떻게 보셨습니까?
<질문 3-1> 첫 상견례에서 좀처럼 보기 드문 일 아닌가 생각도 드는데요. 황 대표의 계산된 발언이었을까요? 아니면 아직 정치신인이라 당내 문제에 대한 지적이 계속되자 나온 실언이었을까요?
<질문 4> 어제 황교안 체제 첫 당직인선은 어떻게 평가하십니까? 친박계가 전면에 나서고 비박이 빠져 계파안배가 안됐다는 평가가 나오자 황 대표는 "저희는 비박계 이런 것 없습니다"라고 항변하기도 했는데요.
<질문 5> 한편 황 대표 취임 이후 첫 여야 대선주자 선호도 여론조사가 나왔는데요. 1위를 차지했습니다. 처음으로 조사에 포함된 유시민 이사장이 2위를 차지했는데 선호도 격차가 오차범위 밖이었습니다. 이번 여론조사 결과 의미 어떻게 분석하셨습니까?
<질문 6> 이르면 이틀 뒤 이뤄질 청와대의 개각 이야기도 해보죠. 우상호-박영선-진영 의원까지 당내 중진들의 입각설이 나옵니다. 총선용 개각이란 평가부터 시작해 여러 해석이 나오는데요. 두 분은 이번 개각 의미와 규모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6-1> 먼저 이뤄진 4강 대사 교체는 어떻게 보고 계세요? 내정된 2명은 청와대 출신인데다 주중대사를 맡은 장하성 실장 같은 경우에는요. 정책 실패를 책임지고 물러났는데 재기용 돼 부적절한 인사라는 지적도 나오는데요.
<질문 7> 두 달 넘게 멈춰있던 국회가 드디어 이틀 뒤부터 가동됩니다. 시급하게 풀어야할 문제가 한두 가지가 아닌데요. 특히 유치원 대란은 급한 불을 끄기는 했습니다만 불씨가 여전한 상황입니다. 유치원 3법도 곧장 처리가 될까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