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번지] 남북 민화협, 강제징용 희생자 유해 74위 봉환
<출연 :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김홍걸 대표상임의장>
일본에 있는 강제징용 희생자분들의 유해가 70여년 만에 우리나라로 돌아옵니다.
남북 민화협이 함께 봉환 사업을 추진한 덕분인데요.
김대중 대통령의 3남, 김홍걸 민화협 대표 상임의장에게 그 의미 직접 들어보겠습니다.
<질문 1> 이제 다음주면 떠난지 70년 만에 일본에 있는 강제징용 희생자분들의 유해가 고국으로 돌아오는데요. 남북 민화협이 공동으로 추진한 송환사업의 결과인데 소개부터 좀 해주시겠습니까?
<질문 1-1> 그동안에도 희생자들의 유해 봉환이 이뤄지기는 했지만요. 남과 북이 함께 봉환행사를 추진하는 일은 처음이잖아요. 그만큼 그 의미도 남다를 것 같습니다?
<질문 1-2> 원래 이분들의 유해가 모셔져 있던 곳이 일본 오사카 통국사라고 들었어요. 일본에서 어떻게 처음 이 분들의 유해를 통국사에 모시게 된 것인가요?
<질문 2> 3·1 운동 100주년을 맞아서야 고국으로 돌아올 수 있었던 사실이 가슴 아픈데요. 긴 기다림 끝에 고국으로 돌아왔지만 조선인이라는 것 외에는 전혀 알 수 있는 것이 없는데요. 최종적으로 어디로 모시게 되나요?
<질문 3> 이번 사안이 더 뜻 깊은 것은 남북의 민화협이 공동으로 추진해 이뤄낸 일이라는 점인데요. 처음에 어떻게 이 일을 함께하자고 계획하신 것인지 궁금합니다.
<질문 4> 일본에 남아있는 강제동원 희생자들의 유해가 더 많다고 알고 있어요. 앞으로 조사와 발굴 작업이 계속해서 이뤄져야 할 텐데요. 이 부분도 계획이 있으십니까?
<질문 5> 그만큼 남북 민화협이 더 자주 만나고 소통이 필요한데요. 그래서 5월에는 평양에서도 따로 만남을 가질 계획이라고요?
<질문 6> 2차 북미 정상회담이 닷새밖에 남지 않았습니다. 회담이 잘 될 경우 우리 남북 민간교류차원의 기회가 더 많아질 텐데요. 이 부분도 민화협 차원에서 준비중이라고 들었어요. 어떤 부분에 가장 중점을 두고 계십니까?
<질문 7> 북한의 비핵화 상응조치 첫 단추로 금강산 관광이 가장 먼저 언급되는데 어떻게 전망하십니까?
<질문 7-1> 관광이 다시 시작되면 금강산도 꼭 가보고 싶다는 분들이 참 많습니다. 김 의장님은 얼마 전에도 금강산에 다녀오셨다고 들었어요. 직접 보신 소감도 궁금한데요?
<질문 8> 최근 정치권의 5·18 논란은 어떻게 보고 계십니까? 신군부에 의해 5·18 주동자로 지목돼 사형선고를 받았던 아버지 고 김대중 대통령의 아들로서 마음이 편치 않으실 것 같은데요?
<질문 9> 5·18 진상조사위원회의 구성 역시 계속 표류중입니다. 청와대의 5·18 진상조사위원 재추천 요구를 한국당이 거부하고 있는 상황인데요. 어떻게 해결돼야 된다고 보시는지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출연 :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김홍걸 대표상임의장>
일본에 있는 강제징용 희생자분들의 유해가 70여년 만에 우리나라로 돌아옵니다.
남북 민화협이 함께 봉환 사업을 추진한 덕분인데요.
김대중 대통령의 3남, 김홍걸 민화협 대표 상임의장에게 그 의미 직접 들어보겠습니다.
<질문 1> 이제 다음주면 떠난지 70년 만에 일본에 있는 강제징용 희생자분들의 유해가 고국으로 돌아오는데요. 남북 민화협이 공동으로 추진한 송환사업의 결과인데 소개부터 좀 해주시겠습니까?
<질문 1-1> 그동안에도 희생자들의 유해 봉환이 이뤄지기는 했지만요. 남과 북이 함께 봉환행사를 추진하는 일은 처음이잖아요. 그만큼 그 의미도 남다를 것 같습니다?
<질문 1-2> 원래 이분들의 유해가 모셔져 있던 곳이 일본 오사카 통국사라고 들었어요. 일본에서 어떻게 처음 이 분들의 유해를 통국사에 모시게 된 것인가요?
<질문 2> 3·1 운동 100주년을 맞아서야 고국으로 돌아올 수 있었던 사실이 가슴 아픈데요. 긴 기다림 끝에 고국으로 돌아왔지만 조선인이라는 것 외에는 전혀 알 수 있는 것이 없는데요. 최종적으로 어디로 모시게 되나요?
<질문 3> 이번 사안이 더 뜻 깊은 것은 남북의 민화협이 공동으로 추진해 이뤄낸 일이라는 점인데요. 처음에 어떻게 이 일을 함께하자고 계획하신 것인지 궁금합니다.
<질문 4> 일본에 남아있는 강제동원 희생자들의 유해가 더 많다고 알고 있어요. 앞으로 조사와 발굴 작업이 계속해서 이뤄져야 할 텐데요. 이 부분도 계획이 있으십니까?
<질문 5> 그만큼 남북 민화협이 더 자주 만나고 소통이 필요한데요. 그래서 5월에는 평양에서도 따로 만남을 가질 계획이라고요?
<질문 6> 2차 북미 정상회담이 닷새밖에 남지 않았습니다. 회담이 잘 될 경우 우리 남북 민간교류차원의 기회가 더 많아질 텐데요. 이 부분도 민화협 차원에서 준비중이라고 들었어요. 어떤 부분에 가장 중점을 두고 계십니까?
<질문 7> 북한의 비핵화 상응조치 첫 단추로 금강산 관광이 가장 먼저 언급되는데 어떻게 전망하십니까?
<질문 7-1> 관광이 다시 시작되면 금강산도 꼭 가보고 싶다는 분들이 참 많습니다. 김 의장님은 얼마 전에도 금강산에 다녀오셨다고 들었어요. 직접 보신 소감도 궁금한데요?
<질문 8> 최근 정치권의 5·18 논란은 어떻게 보고 계십니까? 신군부에 의해 5·18 주동자로 지목돼 사형선고를 받았던 아버지 고 김대중 대통령의 아들로서 마음이 편치 않으실 것 같은데요?
<질문 9> 5·18 진상조사위원회의 구성 역시 계속 표류중입니다. 청와대의 5·18 진상조사위원 재추천 요구를 한국당이 거부하고 있는 상황인데요. 어떻게 해결돼야 된다고 보시는지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