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번지] 공공기관 채용실태 정기 전수조사…182건 적발
<출연 : 박은정 국민권익위원장>
지난해 공공기관의 채용비리 의혹이 뜨거운 쟁점이 됐었는데요.
정부가 공공기관 전수조사라는 칼을 빼들었고, 오늘 그 결과가 공개됐습니다.
자세한 조사 결과와 개선 방안까지, 공공기관 채용비리 전수조사를 총괄하는 국민권익위원회 박은정 위원장 모시고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질문 1> 그동안 많이 바쁘셨겠습니다. 공공기관의 채용비리를 근절을 위한 대대적인 전수조사를 3개월 동안 진행해오셨죠? 가장 먼저 조사결과가 어떻게 나왔는지 궁금합니다?
<질문 1-1> 이번 전수조사 이전에도 2017년에 특별점검을 진행했던 것으로 아는데요. 이번 정기 전수조사와는 어떤 차이점이 있습니까?
<질문 1-2> 조사대상도 기간도 더 늘어난 셈인데요. 그래서일까요? 2017년 특별점검에도 불구하고 이번 전수조사에서도 많은 지적사항이 나왔습니다. 가장 큰 이유 뭐라고 보십니까?
<질문 2> 이번 조사를 통해 채용 비리에 연루된 것으로 밝혀진 임직원만 해도 300여명 가까이 되는데요. 그러면 이분들에 대한 후속 조치는 어떻게 이뤄지는 건지도 궁금합니다?
<질문 3> 그렇다면 비리 연루 임직원들이 잘못된 방법으로 채용한 부정합격자들의 경우에는 어떻게 처리가 되는 건가요?
<질문 4> 사실 가장 억울한 사람은 채용비리로 인해 피해를 본분들 일 텐데요. 하지만 이분들의 경우 피해자를 특정하기가 쉽지만은 않다고 알고 있습니다. 어떤 방안을 갖고 계십니까?
<질문 5> 작년 하반기 친인척 채용비리 논란이 다른 공기업들로까지 번지면서 논란이 커졌는데요. 이번에 그 기관의 친인척 관계에 대한 현황도 조사한 것으로 알고 있어요?
<질문 6> 이번 조사 대상에 포함된 공공기관만 1205개로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3개월이란 시간 동안 세밀하게 조사하기에는 무리가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도 드는데요. 추가 조사계획도 있습니까?
<질문 7> 채용비리 적발만큼이나 가장 중요한 것은 사전 예방 아니겠습니까. 여기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도 마련하셨습니까?
<질문 8> 최근에 국제투명성기구가 발표한 국가별 부패인식지수도 짚어보죠. 우리나라가 받아 든 성적표는 100점 만점에 57점인데요. 이게 역대 최고 점수로 예년보다 상승한 거라고 해서 놀랐습니다?
<질문 9> 권익위원장으로서 부패인식지수를 더 높이 끌어올리겠다고 하셨는데요. 현재 45위에서 세계 20위권의 청렴 국가로 진입하려면 구체적인 방안들이 뒷받침돼야 가능할 것 같은데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출연 : 박은정 국민권익위원장>
지난해 공공기관의 채용비리 의혹이 뜨거운 쟁점이 됐었는데요.
정부가 공공기관 전수조사라는 칼을 빼들었고, 오늘 그 결과가 공개됐습니다.
자세한 조사 결과와 개선 방안까지, 공공기관 채용비리 전수조사를 총괄하는 국민권익위원회 박은정 위원장 모시고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질문 1> 그동안 많이 바쁘셨겠습니다. 공공기관의 채용비리를 근절을 위한 대대적인 전수조사를 3개월 동안 진행해오셨죠? 가장 먼저 조사결과가 어떻게 나왔는지 궁금합니다?
<질문 1-1> 이번 전수조사 이전에도 2017년에 특별점검을 진행했던 것으로 아는데요. 이번 정기 전수조사와는 어떤 차이점이 있습니까?
<질문 1-2> 조사대상도 기간도 더 늘어난 셈인데요. 그래서일까요? 2017년 특별점검에도 불구하고 이번 전수조사에서도 많은 지적사항이 나왔습니다. 가장 큰 이유 뭐라고 보십니까?
<질문 2> 이번 조사를 통해 채용 비리에 연루된 것으로 밝혀진 임직원만 해도 300여명 가까이 되는데요. 그러면 이분들에 대한 후속 조치는 어떻게 이뤄지는 건지도 궁금합니다?
<질문 3> 그렇다면 비리 연루 임직원들이 잘못된 방법으로 채용한 부정합격자들의 경우에는 어떻게 처리가 되는 건가요?
<질문 4> 사실 가장 억울한 사람은 채용비리로 인해 피해를 본분들 일 텐데요. 하지만 이분들의 경우 피해자를 특정하기가 쉽지만은 않다고 알고 있습니다. 어떤 방안을 갖고 계십니까?
<질문 5> 작년 하반기 친인척 채용비리 논란이 다른 공기업들로까지 번지면서 논란이 커졌는데요. 이번에 그 기관의 친인척 관계에 대한 현황도 조사한 것으로 알고 있어요?
<질문 6> 이번 조사 대상에 포함된 공공기관만 1205개로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3개월이란 시간 동안 세밀하게 조사하기에는 무리가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도 드는데요. 추가 조사계획도 있습니까?
<질문 7> 채용비리 적발만큼이나 가장 중요한 것은 사전 예방 아니겠습니까. 여기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도 마련하셨습니까?
<질문 8> 최근에 국제투명성기구가 발표한 국가별 부패인식지수도 짚어보죠. 우리나라가 받아 든 성적표는 100점 만점에 57점인데요. 이게 역대 최고 점수로 예년보다 상승한 거라고 해서 놀랐습니다?
<질문 9> 권익위원장으로서 부패인식지수를 더 높이 끌어올리겠다고 하셨는데요. 현재 45위에서 세계 20위권의 청렴 국가로 진입하려면 구체적인 방안들이 뒷받침돼야 가능할 것 같은데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