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주째 하락ㆍ공시가 인상…서울 아파트시장 '꽁꽁'
[뉴스리뷰]
[앵커]
서울 아파트값이 14주 연속 하락했습니다.
시중에 매물은 점점 쌓이는데 거래는 거의 멈춘 상황이 계속되고 있는데요.
여기에 오는 4월 공동주택 공시가격까지 대폭 오를 예정이라 부동산 시장에 적잖은 영향이 예상됩니다.
배삼진 기자입니다.
[기자]
이번 주 서울의 아파트 매맷값은 한 주새 0.07%, 전셋값은 0.17% 하락했습니다.
매맷값은 14주째, 전셋값은 16주째 떨어진 겁니다.
거래 역시 급격히 줄고 있습니다.
이달 들어 13일까지 서울의 아파트 거래는 503건, 하루 평균 38건에 그쳤습니다.
지난해 같은 기간의 10분의 1, 지난달의 절반 수준에 불과합니다.
<김은진 / 부동산114 리서치팀장> "주택 수요 심리가 더욱 얼어붙으면서 기존 아파트시장에 이어 신규분양 시장도 위축돼 미분양이나 입주 지연 우려가 커질 전망입니다."
각종 규제로 시장 심리가 급격히 식고 있지만 아직 상황이 끝난 게 아닙니다.
오는 4월 아파트 공시가 인상이 기다리고 있습니다.
단독주택과 토지 공시가격이 고가 위주로 부담이 늘어난 만큼 고가 아파트의 공시가는 비슷한 수준의 대폭 인상이 예상됩니다.
가격 하락세가 더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이유 중 하나입니다.
<양지영 / R&C 연구소장> "다주택자들은 증여나 매매를 고려할 것 같고요. 매수자도 보유세 부담 때문에 매매를 하지 않을 것으로 보여서 가격조정이 커질 것으로……"
본격적인 이사철이 다가왔지만 가격 하락세와 까다로운 대출규제, 늘어난 세금 부담이 겹치며 거래 회복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분석이 지배적입니다.
연합뉴스TV 배삼진입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뉴스리뷰]
[앵커]
서울 아파트값이 14주 연속 하락했습니다.
시중에 매물은 점점 쌓이는데 거래는 거의 멈춘 상황이 계속되고 있는데요.
여기에 오는 4월 공동주택 공시가격까지 대폭 오를 예정이라 부동산 시장에 적잖은 영향이 예상됩니다.
배삼진 기자입니다.
[기자]
이번 주 서울의 아파트 매맷값은 한 주새 0.07%, 전셋값은 0.17% 하락했습니다.
매맷값은 14주째, 전셋값은 16주째 떨어진 겁니다.
거래 역시 급격히 줄고 있습니다.
이달 들어 13일까지 서울의 아파트 거래는 503건, 하루 평균 38건에 그쳤습니다.
지난해 같은 기간의 10분의 1, 지난달의 절반 수준에 불과합니다.
<김은진 / 부동산114 리서치팀장> "주택 수요 심리가 더욱 얼어붙으면서 기존 아파트시장에 이어 신규분양 시장도 위축돼 미분양이나 입주 지연 우려가 커질 전망입니다."
각종 규제로 시장 심리가 급격히 식고 있지만 아직 상황이 끝난 게 아닙니다.
오는 4월 아파트 공시가 인상이 기다리고 있습니다.
단독주택과 토지 공시가격이 고가 위주로 부담이 늘어난 만큼 고가 아파트의 공시가는 비슷한 수준의 대폭 인상이 예상됩니다.
가격 하락세가 더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이유 중 하나입니다.
<양지영 / R&C 연구소장> "다주택자들은 증여나 매매를 고려할 것 같고요. 매수자도 보유세 부담 때문에 매매를 하지 않을 것으로 보여서 가격조정이 커질 것으로……"
본격적인 이사철이 다가왔지만 가격 하락세와 까다로운 대출규제, 늘어난 세금 부담이 겹치며 거래 회복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분석이 지배적입니다.
연합뉴스TV 배삼진입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