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머니들 떠나는데…10억엔 해결은 '제자리'

[뉴스리뷰]

[앵커]

화해치유재단은 해산 수순을 밟고 있지만, 가장 중요한 10억엔 반환 문제는 제대로 논의조차 되지 못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일본 측과 협의해 나간다는 계획이지만 일본 측 반발이 거셉니다.

박현우 기자입니다.

[기자]

병상에 누운 김복동 할머니를 만나러 간 강경화 장관.

<강경화 / 외교부 장관> "(돈으로 우리 정부에서 맞춰서 일본에 보내줘야 된다고…) (10억엔)돈 문제 할머니 마음에 들게 잘 처리하겠습니다."

그로부터 1년 뒤, 할머니를 다시 찾은 강 장관은 김 할머니의 영정 사진 앞에서 고개를 숙여야 했습니다.

<강경화 / 외교부 장관> "흡족한 답을 못 얻고 가셔서 너무 죄송합니다. (10억엔 어떻게 하실건지) …"

지난해 11월 화해치유재단 해산 결정 뒤, 정부는 청산인 선정 작업 등 행정 절차를 밟아 나가고 있습니다.

행정 절차가 어느정도 마무리 되면 10억엔 처리 문제를 결정해 나간다는 계획입니다.

이 과정에서 일본과 협의가 필요한데, 일본은 화해치유재단 해산 결정 자체에 강한 불만을 나타내고 있어, 논의가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노규덕 / 외교부 대변인> "일본 정부는 외교 경로를 통해서 위안부 화해치유재단 설립 허가 취소에 대해 이를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을 전달해 왔습니다."

위안부 문제 등 과거사는 과거사대로, 현안은 현안대로 '투트랙' 접근을 하겠다는 게 외교부의 기본입장입니다.

하지만 과거사 문제도, '초계기 갈등' 같은 현안에서도 양국 간 '평행선'은 좀처럼 만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연합뉴스TV 박현우입니다.

hwp@yna.co.k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