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묵 학교에 방관 협회…체육 현장은 제자리걸음

[뉴스리뷰]

[앵커]

체육계 폭력이 논란을 일으키면서 정부가 비리 근절 대책을 쏟아내고 있습니다.

하지만 체육 현장에 있는 학교와 경기단체의 소극적인 대응은 실효성에 의문을 던지고 있습니다.

박지은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지난해 7월, 농구 선수의 길을 포기한 고교생이 경찰에 고소장을 접수했습니다.

프로선수 출신인 학교의 농구 코치로부터 성추행을 당했다는 내용이었습니다.

사건 발생부터 재판이 열리기까지, 무려 1년에 가까운 기간 동안 대한민국농구협회는 해당 학교로부터 어떤 얘기도 듣지 못했다고 말합니다.

<김동욱 / 대한농구협회 부회장> "소송 걸린 지도 몰랐는데 며칠 전에 기사 났다고 해서 보니까 그거라. 소송해서 결론이 나야 우리가 뭘 하지 지금 어떻게 할 수가 없잖아요."

농구협회는 법원 판결이 나온 뒤에 징계 여부를 논의할 스포츠공정위원회를 열겠다는 입장입니다.

하지만 그 사이 해당 지도자는 비공식적인 활동이 가능합니다.

농구협회는 심판 폭행으로 5년 자격정지를 받은 감독에게 경력증명서를 발급해 줘, 해외 취업의 길을 터주기도 했습니다.

정부가 나서 체육계 폭력 비리 근절 대책을 줄줄이 내놓고 있지만 실효성에는 여전히 물음표가 붙습니다.

선수를 보호해야 할 학교는 폭력 사건이 있을 때마다 지도자 해임으로 사건 덮기에 급급합니다.

성추행 사건이 발생한 해당 고교는 연합뉴스TV의 설명 요청도 거절했습니다.

무책임한 학교, 여기에 지도자 관리 책임이 있는 협회가 강 건너 불 보듯 하면서 결국 선수들만 다치고 있습니다.

어린 선수들과 학부모들은 정부가 쏟아낸 대책들에 쓴웃음만 짓고 있습니다.

연합뉴스TV 박지은입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