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설득에도…노사정 사회적 대화 '첩첩산중'

[뉴스리뷰]

[앵커]

민주노총의 경사노위 참여가 무산되면서 노정 관계가 다시 얼어붙고 있습니다.

대통령까지 나서서 설득했지만 노동계가 대화보다는 강경 노선을 택한 모습인데요.

노사정 사회적 대화는 안갯속으로 빠져들고 있습니다.

강은나래 기자입니다.

[기자]

민주노총은 이번에도 '대화' 대신 '투쟁'을 선택했습니다.

사회적 대화에 협조적이었던 한국노총마저 '잠정 보이콧' 선언으로 등을 돌린 상황.

문재인 대통령이 직접 경사노위 참여를 설득했지만, 노동계는 불신의 벽을 넘지 못한 모양새입니다.

양대 노총이 모두 자리를 비우면서 노동 현안을 노사정 대화로 풀겠다는 정부 구상은 차질이 불가피해보입니다.

민주노총은 당장 다음달을 시작으로 올해 네 차례 총력 투쟁도 예고한 상태입니다.

<김명환 / 민주노총 위원장> "2월 임시국회에서는 탄력근로기간 확대, 최저임금 개악, 국제노동기구(ILO) 협약 비준을 빙자한 노동법 개악을 시도하려고 하고 있습니다. 이에는 즉각적인 총파업 총력 투쟁으로…"

경사노위 참여 찬반 투표 과정에서 불거진 내분을 수습하고 지도부 책임론을 불식하기 위해 민주노총 집행부가 대정부 투쟁 고삐를 더욱 바짝 죌 가능성도 있습니다.

이 경우 경색된 노정 관계를 풀 실마리를 찾기는 더욱 어려워질 것으로 보입니다.

내년 총선을 앞두고 하반기 입법 환경은 더욱 녹록지 않을 전망.

문재인 정부의 '노동존중정부'라는 슬로건을 무색하게 하는 노동계의 강경모드 속에 노사정 관계는 꽁꽁 얼어붙으며 장기전을 예고하고 있습니다.

연합뉴스TV 강은나래입니다.

rae@yna.co.k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