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번지] 환경부 블랙리스트 공방…靑 "누구도 못 본 자료" 반박
<출연 : 김현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ㆍ이상일 전 새누리당 의원>
찬바람이 불면서 체감으로 느껴지는 추위가 더 심해졌는데요.
올해 마지막 본회의가 열리는 국회도 차갑게 얼어붙었습니다.
청와대 특감반 사태를 둘러싼 여야 공방으로 쟁점법안 연내 처리마저 불투명한 상황인데요.
한국당이 문재인 정부의 블랙리스트라며 추가 폭로한 새로운 문건부터 현재 국회 상황까지 이 분들과 함께 짚어보겠습니다.
김현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 이상일 전 새누리당 의원 나와주셨습니다.
<질문 1> 한국당이 환경부가 블랙리스트를 작성했다고 주장했습니다. 환경부는 사실이 아니라고 했다가 뒤늦게 김 수사관 요청으로 만들었다고 시인했고요. 청와대는 보고받은 적 없다고 밝혔습니다. 현재 상황 어떻게 보고 계십니까?
<질문 1-1> 한국당의 주장은 지난정부에서 임명된 임원들을 물러나게 하고 현 정부 사람들을 넣기 위해서 계속 보고 받았던 게 아니냐 이런 의혹을 제기하고 있거든요?
<질문 2> 이 문건을 누가 작성 지시를 했는지, 또 청와대까지 실제 보고가 이어졌는지는 공방이 이어지고 있는데요. 만약 청와대의 입장이 사실이라면 김태우 수사관은 왜 이 자료를 굳이 요청하고 받은 걸까요?
<질문 3> 상황을 보면 김태우 수사관의 폭로가 이어지다 잠잠한 상황에서 한국당의 잇따른 추가 폭로가 이뤄지고 있거든요. 한국당은 이 자료의 출처에 대해서 함구하고 있는 상황인데 이 부분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4> 이런 가운데 검찰이 김태우 수사관에 대해 해임 중징계를 요구했습니다. 김 수사관이 사건무마 청탁을 받고, 향응 접대도 받은 사실이 확인됐기 때문인데요. 이번 중징계 결과가 김 수사관 주장의 신뢰성에 영향을 줄 수 있지 않겠습니까?
<질문 5> 이런 중징계에 김 수사관 측은 사실관계가 다르다고 이야기합니다. 골프 친 건 공직자 비위 정보 획득을 위한 것이고요. 징계를 뒷받침하는 사실 대부분이 무단으로 압수한 휴대폰에서 얻어진 것이라 인정할 수 없다고 주장하는데요?
<질문 6> 야4당이 한 목소리로 조국 수석의 운영위 소집을 요구하는 상황에서 한국당은 본회의까지 연계하고 나서 쟁점법안 처리에 제동이 걸렸습니다. 민주당은 운영위 소집은 유치원 3법 물타기 전략이라지만 한국당은 입법의 신중함을 기하는 것이라는데, 현재 국회 상황 어떻게 보세요?
<질문 7> 이런 가운데 조국 수석이 민주당 이석현 의원을 통해 "1차 수사가 종료되면 국회 가서 충실히 답변"하겠다고 입장을 밝혔는데요. 조 수석의 입장은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8> 야당은 공세의 고삐를 더 바짝 죄고 있습니다. 나경원 원내대표는 "대통령이 민간인 사찰은 탄핵감 아닌지 답해야"하고 "봐주기 수사를 계속하면 특검까지 고려하겠다" 고 나섰고요. 바른미래당 역시 여당이 지나치게 청와대 인사를 보호한다고 지적하는데요?
<질문 9> 현재 특감반 사태에 대한 청와대의 대응은 어떻게 평가하십니까?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 수행평가에 부정평가가 취임 후 처음으로 50% 선을 넘어섰다는 조사 결과는 상당히 의미심장에 보이거든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출연 : 김현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ㆍ이상일 전 새누리당 의원>
찬바람이 불면서 체감으로 느껴지는 추위가 더 심해졌는데요.
올해 마지막 본회의가 열리는 국회도 차갑게 얼어붙었습니다.
청와대 특감반 사태를 둘러싼 여야 공방으로 쟁점법안 연내 처리마저 불투명한 상황인데요.
한국당이 문재인 정부의 블랙리스트라며 추가 폭로한 새로운 문건부터 현재 국회 상황까지 이 분들과 함께 짚어보겠습니다.
김현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 이상일 전 새누리당 의원 나와주셨습니다.
<질문 1> 한국당이 환경부가 블랙리스트를 작성했다고 주장했습니다. 환경부는 사실이 아니라고 했다가 뒤늦게 김 수사관 요청으로 만들었다고 시인했고요. 청와대는 보고받은 적 없다고 밝혔습니다. 현재 상황 어떻게 보고 계십니까?
<질문 1-1> 한국당의 주장은 지난정부에서 임명된 임원들을 물러나게 하고 현 정부 사람들을 넣기 위해서 계속 보고 받았던 게 아니냐 이런 의혹을 제기하고 있거든요?
<질문 2> 이 문건을 누가 작성 지시를 했는지, 또 청와대까지 실제 보고가 이어졌는지는 공방이 이어지고 있는데요. 만약 청와대의 입장이 사실이라면 김태우 수사관은 왜 이 자료를 굳이 요청하고 받은 걸까요?
<질문 3> 상황을 보면 김태우 수사관의 폭로가 이어지다 잠잠한 상황에서 한국당의 잇따른 추가 폭로가 이뤄지고 있거든요. 한국당은 이 자료의 출처에 대해서 함구하고 있는 상황인데 이 부분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4> 이런 가운데 검찰이 김태우 수사관에 대해 해임 중징계를 요구했습니다. 김 수사관이 사건무마 청탁을 받고, 향응 접대도 받은 사실이 확인됐기 때문인데요. 이번 중징계 결과가 김 수사관 주장의 신뢰성에 영향을 줄 수 있지 않겠습니까?
<질문 5> 이런 중징계에 김 수사관 측은 사실관계가 다르다고 이야기합니다. 골프 친 건 공직자 비위 정보 획득을 위한 것이고요. 징계를 뒷받침하는 사실 대부분이 무단으로 압수한 휴대폰에서 얻어진 것이라 인정할 수 없다고 주장하는데요?
<질문 6> 야4당이 한 목소리로 조국 수석의 운영위 소집을 요구하는 상황에서 한국당은 본회의까지 연계하고 나서 쟁점법안 처리에 제동이 걸렸습니다. 민주당은 운영위 소집은 유치원 3법 물타기 전략이라지만 한국당은 입법의 신중함을 기하는 것이라는데, 현재 국회 상황 어떻게 보세요?
<질문 7> 이런 가운데 조국 수석이 민주당 이석현 의원을 통해 "1차 수사가 종료되면 국회 가서 충실히 답변"하겠다고 입장을 밝혔는데요. 조 수석의 입장은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8> 야당은 공세의 고삐를 더 바짝 죄고 있습니다. 나경원 원내대표는 "대통령이 민간인 사찰은 탄핵감 아닌지 답해야"하고 "봐주기 수사를 계속하면 특검까지 고려하겠다" 고 나섰고요. 바른미래당 역시 여당이 지나치게 청와대 인사를 보호한다고 지적하는데요?
<질문 9> 현재 특감반 사태에 대한 청와대의 대응은 어떻게 평가하십니까?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 수행평가에 부정평가가 취임 후 처음으로 50% 선을 넘어섰다는 조사 결과는 상당히 의미심장에 보이거든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