끊이지 않는 靑 사칭 범죄…힘있는 정권초 기승
[뉴스리뷰]
[앵커]
청와대가 친인척 사칭 범죄 사례를 일일이 공개하며 각별히 주의를 당부한 건, 정권을 불문하고 비슷한 사례가 끊이지 않고 있기 때문입니다.
주로 정권의 힘이 강력한 집권 초중반에 집중됐는데요.
이경희 기자입니다.
[기자]
문재인 대통령이 자신을 포함한 청와대 직원 측근 사칭 범죄 사례를 공개하고 주의를 당부한 건 '터무니 없는 수법에 속지 말라'는 취지입니다.
정권을 불문하고 유사한 범죄가 끊이지 않아 왔기 때문입니다.
과거에도 주로 정권 핵심 인사들을 이용했습니다.
가족이 많지 않았던 박근혜 전 대통령은 남동생인 박지만씨 부부와 문고리 3인방과의 친분을 사칭한 사례가 많았습니다.
'청와대 비서관'이라며 대기업 회장에게 과감하게 접근해 취업에 성공한 경우도 있었습니다.
박 전 대통령은 청와대 십상시 등 비선 실세 의혹이 불거질 때마다 이를 부인했지만.
<박근혜 / 전 대통령> "정윤회 씨는 분명하게 말씀드리는데 실세는 커녕 전혀 관계가 없습니다. 실세냐 아니냐 답할 가치도 없습니다."
최순실 게이트의 문이 열리면서 과거의 변명은 거짓말로 드러났고, 탄핵과 구속이란 비참한 결과로 이어졌습니다.
이명박 대통령 시절엔 '만사형통'이라는 수식어가 따라다녔던 친형 이상득 의원의 측근을 사칭한 범죄가 많았습니다.
이 의원을 직접 사칭해 보이스피싱 범죄를 저지르거나 보좌관이나 자금 관리인을 사칭해 수억원을 뜯어낸 경우도 수차례 있었습니다.
노무현 대통령 시절에도 청와대가 사칭 범죄 사례 유형을 세세히 분석해 공개하고 국민의 주의를 당부한 바 있습니다.
당시 청와대는 주로 특보, 비선 보좌관의 직책을 악용해 접근한다며 "여전히 일반인에게 청와대는 '권부'라는 신비감이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습니다.
연합뉴스TV 이경희입니다.
sorimoa@yna.co.k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뉴스리뷰]
[앵커]
청와대가 친인척 사칭 범죄 사례를 일일이 공개하며 각별히 주의를 당부한 건, 정권을 불문하고 비슷한 사례가 끊이지 않고 있기 때문입니다.
주로 정권의 힘이 강력한 집권 초중반에 집중됐는데요.
이경희 기자입니다.
[기자]
문재인 대통령이 자신을 포함한 청와대 직원 측근 사칭 범죄 사례를 공개하고 주의를 당부한 건 '터무니 없는 수법에 속지 말라'는 취지입니다.
정권을 불문하고 유사한 범죄가 끊이지 않아 왔기 때문입니다.
과거에도 주로 정권 핵심 인사들을 이용했습니다.
가족이 많지 않았던 박근혜 전 대통령은 남동생인 박지만씨 부부와 문고리 3인방과의 친분을 사칭한 사례가 많았습니다.
'청와대 비서관'이라며 대기업 회장에게 과감하게 접근해 취업에 성공한 경우도 있었습니다.
박 전 대통령은 청와대 십상시 등 비선 실세 의혹이 불거질 때마다 이를 부인했지만.
<박근혜 / 전 대통령> "정윤회 씨는 분명하게 말씀드리는데 실세는 커녕 전혀 관계가 없습니다. 실세냐 아니냐 답할 가치도 없습니다."
최순실 게이트의 문이 열리면서 과거의 변명은 거짓말로 드러났고, 탄핵과 구속이란 비참한 결과로 이어졌습니다.
이명박 대통령 시절엔 '만사형통'이라는 수식어가 따라다녔던 친형 이상득 의원의 측근을 사칭한 범죄가 많았습니다.
이 의원을 직접 사칭해 보이스피싱 범죄를 저지르거나 보좌관이나 자금 관리인을 사칭해 수억원을 뜯어낸 경우도 수차례 있었습니다.
노무현 대통령 시절에도 청와대가 사칭 범죄 사례 유형을 세세히 분석해 공개하고 국민의 주의를 당부한 바 있습니다.
당시 청와대는 주로 특보, 비선 보좌관의 직책을 악용해 접근한다며 "여전히 일반인에게 청와대는 '권부'라는 신비감이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습니다.
연합뉴스TV 이경희입니다.
sorimoa@yna.co.k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