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해치유재단 해산 가시화…"위안부 명예회복 시작"

[뉴스리뷰]

[앵커]

화해치유재단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의 의사와 상관없이 발족했다는 평가를 받으며 논란의 중심에 섰습니다.

최근 문재인 대통령이 일본 측에 재단이 제기능을 못한다며 사실상 해산의 뜻을 전한 것을 두고 관련단체들이 환영의 뜻을 밝혔습니다.

조성흠 기자입니다.

[기자]

2015년 말 체결한 한-일 위안부 합의에 따라 설립된 화해치유재단.

피해자들의 바람과는 전혀 상관없이 만들어졌다는 지적 속에 현재 이사진 대부분이 사퇴해 거의 운영이 중단된 상태입니다.

최근 아베 신조 총리를 만난 문재인 대통령은 화해치유재단을 사실상 해산하겠다는 뜻을 전달했습니다.

한-일 위안부 합의 이후 열린 수요집회에서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과 시민들의 가장 큰 바람은 화해치유재단의 해산이었습니다.

<김복동 /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 "하루라도 빨리 (화해·치유) 재단을 철거하고 평화의 길을 열어주기를 부탁드리겠습니다."

줄곧 재단 해산을 외쳐온 관련 단체들도 환영의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한경희 / 정의기억연대 사무총장> "(재단) 해산은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를 해결하는 데 가장 중요했고, 그래서 그 해산을 첫 번째 과제로 삼고 있었고, 할머니들도 마찬가지고…"

더 나아가 과거 잘못된 한일 합의를 폐기하고 일본의 진심어린 사과를 이끌어내야 한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김나진 / 소녀상 지킴이> "사실상 폐기하는거다 얘기들이 계속 나왔었지만 실제로 폐기가 된 건 아니었잖아요. 이게 말뿐만이 아니라 실제로 해결이 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하고…"

한편 정부는 향후 일본의 출연금 10억 엔의 처리 방향을 검토할 예정입니다.

연합뉴스TV 조성흠입니다.

makehmm@yna.co.k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