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포커스] 남북연락사무소 오늘 개소…'24시간 소통시대'
<출연 : 박원곤 한동대 국제지역학 교수ㆍ임을출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
3차 남북정상회담을 나흘 앞두고 남북이 바쁘게 움직이는 모습입니다.
오늘 오전 개성에서는 남북공동연락사무소가 문을 열고, 판문점에서는 정상회담 세부 일정을 의논하는 실무협의가 열립니다.
문재인 대통령은 이번 남북정상회담의 목표를 '북미대화 촉진'과 '남북관계 발전'이라고 밝혔습니다.
관련 내용, 박원곤 한동대 국제지역학 교수, 임을출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와 자세히 짚어보겠습니다.
어서 오십시오.
<질문 1> 4·27 판문점 선언의 핵심 합의사항인 남북공동연락사무소가 오늘 문을 엽니다. 24시간, 365일 소통이 남북관계 발전에 어떤 영향을 미칠 거라고 보십니까?
<질문 1-1> 정부는 남북관계 진전상황 봐가며 연락사무소를 발전시켜 서울·평양 상호대표부로 확대한다는 방침인데요. 남북관계가 어느 정도 진전되야 가능할까요?
<질문 2> 오늘은 평양 남북정상회담 준비를 위한 실무협의가 비공개로 진행됩니다. 실무협의에서는 주로 어떤 내용들이 논의되나요?
<질문 2-1> 남북정상회담을 4일 앞두고 실무협의가 열리는데 시간이 촉박하지는 않을까요? 일각에서는 '벼락치기'로 회담이 진행되면 비핵화 성과를 내기 힘들고 북한에 일방적으로 끌려 다닐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는데요?
<질문 3> 문재인 대통령이 어제 북미 비핵화 협상의 구체적인 중재안을 내놓았습니다. 북한을 향해서는 '미래 핵뿐만 아니라 현재 핵도 포기해야 한다', 미국을 향해서는 '북한이 여러 가지 진정성 있는 조치를 했는데 미국은 한미훈련을 중단한 것밖에 없다, 상응 조치가 있어야 한다'는 건데요. 문 대통령의 발언, 어떻게 들으셨습니까?
<질문 3-1> '미래 핵'과 '현재 핵'이 정확히 어떤 건가요?
<질문 4> 남북관계 발전에 대해서는 "지금 단계에서 제일 중요한 것은 남북 군사적 긴장 또는 군사적 충돌의 가능성, 전쟁의 위협을 종식시키는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번 평양회담에서 군사적 긴장 완화에 대한 구체적인 합의가 있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는데, 어떤 합의가 있을 거라고 보십니까?
<질문 5> 문재인 대통령의 '군사적 긴장 완화' 발언이 군사실무회담 논의 내용과 이어지는 것 같은데요. 남북 군사실무회담 팀은 어제 오전 10시부터 오늘 새벽 3시까지 밤샘 협상을 했는데, 서해 NLL 평화수역 문제에 대한 입장차가 커지면서 협상이 길어진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입장차를 좁혔을까요?
<질문 6> 북한 외교 현장에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의 등장 여부는 북한의 속내를 엿볼 수 있는 지표로 해석되곤 하는데요. 3차 남북정상회담에서는 김여정 부부장이 어떤 역할을 맡게 될까요?
<질문 7> 북한이 지난해 대륙간탄도미사일인 ICBM '화성 15형' 발사 시험에 이용된 이동식 발사차량 관련 구조물을 완전히 해체했다고 미국의 북한 전문사이트인 38노스가 보도했습니다. 북한이 미국 측에 2차 북미 정상회담을 요청한 가운데 나온 움직임이어서 주목되는데요?
<질문 8> 미국 재무부가 북한 핵·미사일 개발 자금줄인 IT 노동자 국외 송출 관련, 북한인 1명과 중국·러시아 기업 2곳에 대해 독자 제재를 단행했습니다. 사이버 테러와 관련해 지난 6일 북한 해커를 처음 기소한 데 이어 일주일 만인데요. 회담은 회담이고 압박은 압박이라고 보면 될까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출연 : 박원곤 한동대 국제지역학 교수ㆍ임을출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
3차 남북정상회담을 나흘 앞두고 남북이 바쁘게 움직이는 모습입니다.
오늘 오전 개성에서는 남북공동연락사무소가 문을 열고, 판문점에서는 정상회담 세부 일정을 의논하는 실무협의가 열립니다.
문재인 대통령은 이번 남북정상회담의 목표를 '북미대화 촉진'과 '남북관계 발전'이라고 밝혔습니다.
관련 내용, 박원곤 한동대 국제지역학 교수, 임을출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와 자세히 짚어보겠습니다.
어서 오십시오.
<질문 1> 4·27 판문점 선언의 핵심 합의사항인 남북공동연락사무소가 오늘 문을 엽니다. 24시간, 365일 소통이 남북관계 발전에 어떤 영향을 미칠 거라고 보십니까?
<질문 1-1> 정부는 남북관계 진전상황 봐가며 연락사무소를 발전시켜 서울·평양 상호대표부로 확대한다는 방침인데요. 남북관계가 어느 정도 진전되야 가능할까요?
<질문 2> 오늘은 평양 남북정상회담 준비를 위한 실무협의가 비공개로 진행됩니다. 실무협의에서는 주로 어떤 내용들이 논의되나요?
<질문 2-1> 남북정상회담을 4일 앞두고 실무협의가 열리는데 시간이 촉박하지는 않을까요? 일각에서는 '벼락치기'로 회담이 진행되면 비핵화 성과를 내기 힘들고 북한에 일방적으로 끌려 다닐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는데요?
<질문 3> 문재인 대통령이 어제 북미 비핵화 협상의 구체적인 중재안을 내놓았습니다. 북한을 향해서는 '미래 핵뿐만 아니라 현재 핵도 포기해야 한다', 미국을 향해서는 '북한이 여러 가지 진정성 있는 조치를 했는데 미국은 한미훈련을 중단한 것밖에 없다, 상응 조치가 있어야 한다'는 건데요. 문 대통령의 발언, 어떻게 들으셨습니까?
<질문 3-1> '미래 핵'과 '현재 핵'이 정확히 어떤 건가요?
<질문 4> 남북관계 발전에 대해서는 "지금 단계에서 제일 중요한 것은 남북 군사적 긴장 또는 군사적 충돌의 가능성, 전쟁의 위협을 종식시키는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번 평양회담에서 군사적 긴장 완화에 대한 구체적인 합의가 있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는데, 어떤 합의가 있을 거라고 보십니까?
<질문 5> 문재인 대통령의 '군사적 긴장 완화' 발언이 군사실무회담 논의 내용과 이어지는 것 같은데요. 남북 군사실무회담 팀은 어제 오전 10시부터 오늘 새벽 3시까지 밤샘 협상을 했는데, 서해 NLL 평화수역 문제에 대한 입장차가 커지면서 협상이 길어진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입장차를 좁혔을까요?
<질문 6> 북한 외교 현장에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의 등장 여부는 북한의 속내를 엿볼 수 있는 지표로 해석되곤 하는데요. 3차 남북정상회담에서는 김여정 부부장이 어떤 역할을 맡게 될까요?
<질문 7> 북한이 지난해 대륙간탄도미사일인 ICBM '화성 15형' 발사 시험에 이용된 이동식 발사차량 관련 구조물을 완전히 해체했다고 미국의 북한 전문사이트인 38노스가 보도했습니다. 북한이 미국 측에 2차 북미 정상회담을 요청한 가운데 나온 움직임이어서 주목되는데요?
<질문 8> 미국 재무부가 북한 핵·미사일 개발 자금줄인 IT 노동자 국외 송출 관련, 북한인 1명과 중국·러시아 기업 2곳에 대해 독자 제재를 단행했습니다. 사이버 테러와 관련해 지난 6일 북한 해커를 처음 기소한 데 이어 일주일 만인데요. 회담은 회담이고 압박은 압박이라고 보면 될까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