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포커스] 남북 군사실무회담…GP철수ㆍ유해발굴 논의
<출연 : 연세대 통일연구원 봉영식 전문연구위원ㆍ아주대 통일연구소 정대진 교수>
판문점선언에서 합의한 남북 공동연락사무소가 내일 개소식과 함께 공식 업무를 시작합니다.
남북이 상시적인 소통 채널을 갖추게 됐습니다.
남북정상회담을 5일 앞두고 지금 이 시각 판문점에서는 남북 군사실무회담이 열리고 있습니다.
관련 내용, 봉영식 연세대 통일연구원 전문연구위원, 정대진 아주대 통일연구소 교수와 자세히 짚어보겠습니다.
어서 오십시오.
<질문 1> 남북은 오전 10시부터 판문점에서 군사실무회담을 열고 '포괄적 군사분야 합의서' 체결에 필요한 실무문제를 논의하고 있는데요. 합의서에는 구체적으로 어떤 내용이 담길까요?
<질문 1-1> GP 철수 같은 경우 몇 km 이내, 몇개를 동시에 단계적으로 철수하는지 등이 관건일 텐데요.
<질문 2> 과거 합의했던 군사공동위 같은 채널을 가동하자는데 양측이 공감한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이게 합의서에 담긴다면 긴장완화에 도움이 될 듯 한데요.
<질문 3> 남북공동연락사무소가 우여곡절 끝에 내일 문을 엽니다. 연락사무소 개소 의미를 짚어주시죠.
<질문 3-1> 연락사무소는 어떤 업무를 하게 되나요?
<질문 4> 남북공동 연락사무소 개소와 관련해 미국 국무부는 남북관계는 비핵화 진전과 보조를 맞춰야 한다는 입장을 재확인했습니다. 또 남북연락사무소의 유엔제재 위반 우려에 대해 모든 유엔 가입국은 안보리 제재결의를 준수해야 한다고 했는데요. 원론적인 답변인데 남북연락사무소 개소에 대한 미국의 생각, 어떤 것이라고 보십니까?
<질문 5> 이번주 초에 열릴 것으로 예상됐던 고위급 실무회담이 아직까지 일정을 확정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남북정상회담이 5일밖에 남지 않은 상황인데 이렇게 늦어지는 이유를 무엇이라고 보십니까?
<질문 6> 지난 4·27 남북정상회담 때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은 '깜짝 월경', '도보다리 대화' 같은 이벤트를 연출해 사람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기지 않았습니까. 이번 평양에서도 '깜짝 이벤트'가 있을까요?
<질문 6-1> 1, 2차 남북정상회담 때처럼 이번에도 김여정 제1부부장이 평양 회담의 모든 행사를 기획 총괄할까요?
<질문 7> 북미가 2차 정상회담 일정 조율을 시작했다고 밝혔지만 아직까지 구체적인 일정은 나오지 않고 있습니다. 상황이 급진전되려면 북미 양국의 통큰 결단이 필요해 보이는데요. 김정은 위원장이 밝힌 바 있는 '트럼프 대통령의 첫 임기 내 비핵화'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북미가 어떤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보십니까?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출연 : 연세대 통일연구원 봉영식 전문연구위원ㆍ아주대 통일연구소 정대진 교수>
판문점선언에서 합의한 남북 공동연락사무소가 내일 개소식과 함께 공식 업무를 시작합니다.
남북이 상시적인 소통 채널을 갖추게 됐습니다.
남북정상회담을 5일 앞두고 지금 이 시각 판문점에서는 남북 군사실무회담이 열리고 있습니다.
관련 내용, 봉영식 연세대 통일연구원 전문연구위원, 정대진 아주대 통일연구소 교수와 자세히 짚어보겠습니다.
어서 오십시오.
<질문 1> 남북은 오전 10시부터 판문점에서 군사실무회담을 열고 '포괄적 군사분야 합의서' 체결에 필요한 실무문제를 논의하고 있는데요. 합의서에는 구체적으로 어떤 내용이 담길까요?
<질문 1-1> GP 철수 같은 경우 몇 km 이내, 몇개를 동시에 단계적으로 철수하는지 등이 관건일 텐데요.
<질문 2> 과거 합의했던 군사공동위 같은 채널을 가동하자는데 양측이 공감한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이게 합의서에 담긴다면 긴장완화에 도움이 될 듯 한데요.
<질문 3> 남북공동연락사무소가 우여곡절 끝에 내일 문을 엽니다. 연락사무소 개소 의미를 짚어주시죠.
<질문 3-1> 연락사무소는 어떤 업무를 하게 되나요?
<질문 4> 남북공동 연락사무소 개소와 관련해 미국 국무부는 남북관계는 비핵화 진전과 보조를 맞춰야 한다는 입장을 재확인했습니다. 또 남북연락사무소의 유엔제재 위반 우려에 대해 모든 유엔 가입국은 안보리 제재결의를 준수해야 한다고 했는데요. 원론적인 답변인데 남북연락사무소 개소에 대한 미국의 생각, 어떤 것이라고 보십니까?
<질문 5> 이번주 초에 열릴 것으로 예상됐던 고위급 실무회담이 아직까지 일정을 확정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남북정상회담이 5일밖에 남지 않은 상황인데 이렇게 늦어지는 이유를 무엇이라고 보십니까?
<질문 6> 지난 4·27 남북정상회담 때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은 '깜짝 월경', '도보다리 대화' 같은 이벤트를 연출해 사람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기지 않았습니까. 이번 평양에서도 '깜짝 이벤트'가 있을까요?
<질문 6-1> 1, 2차 남북정상회담 때처럼 이번에도 김여정 제1부부장이 평양 회담의 모든 행사를 기획 총괄할까요?
<질문 7> 북미가 2차 정상회담 일정 조율을 시작했다고 밝혔지만 아직까지 구체적인 일정은 나오지 않고 있습니다. 상황이 급진전되려면 북미 양국의 통큰 결단이 필요해 보이는데요. 김정은 위원장이 밝힌 바 있는 '트럼프 대통령의 첫 임기 내 비핵화'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북미가 어떤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보십니까?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