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포커스] 트럼프, 폼페이오 방북 전격 취소 '승부수'
<출연 : 김승채 고려대 통일외교안보학부 겸임교수ㆍ민정훈 국립외교원 교수>
트럼프 대통령이 폼페이오 국무장관의 방북 취소 결정을 내리면서 북한 비핵화 협상과 한반도 정세가 다시 혼란에 빠지는 분위기입니다.
청와대는 문재인 대통령의 중재자 역할이 더 커졌다고 분석하고 있습니다.
아직 북한 측에서는 이렇다할 반응이 없는데요.
관련 내용, 김승채 고려대 통일외교안보학부 겸임교수, 민정훈 국립외교원 교수와 자세히 짚어보겠습니다.
어서 오십시오.
<질문 1> 미국 전문가와 중국 전문가 두 분 모셨는데요. 트럼프 대통령의 폼페이오 장관 방북 취소에 대한 미국과 중국 내의 반응 어떻습니까?
<질문 2> 폼페이오 장관의 4차 방북이 무산된 가운데 미국 국무부는 북미 정상의 비핵화 약속이 지켜질 것으로 여전히 확신한다는 입장을 내놨습니다. 그냥 단순한 기대인지, 그렇게 확신할만한 근거가 있는지, 어떻게 보세요?
<질문 3> 트럼프 대통령은 한반도 비핵화의 진전이 충분하지 않다는 점과 중국의 비협조를 이유로 폼페이오 장관의 방북을 취소했죠. 이번 결정이 승부수가 될지, 아니면 역풍만 불러오는 자충수가 될지 관심이 모아지는데요.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질문 4> 트럼프 대통령은 "폼페이오 장관은 아마 중국과의 무역 관계가 해결된 이후 가까운 장래에 북한에 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북미 협상을 미중 무역전쟁과 연계시켰는데요. 트럼프 대통령이 북미 협상과 미중 무역을 연계시킨 이유를 뭐라고 보십니까?
<질문 5> 지금 상황이 시진핑 주석에게도 큰 부담이 될 것 같은데요. 계획대로 9.9절에 방북을 할 거라고 보십니까?
<질문 5-1> 방북을 할 경우 또는 방북하지 않을 경우, 한반도 정세와 남북미중 관계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될까요?
<질문 6> 북측에선 이번 폼페이오 장관 방북 취소와 관련해 이렇다할 반응을 내놓지 않고 있습니다. 돌발 상황에 대응책을 고심하고 있다고 봐야할까요?
<질문 7> 김 위원장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유화 메시지를 보낸다면, 비핵화 협상에서 미국의 요구를 받아들일 준비가 됐다, 이렇게도 해석할 수 있을까요?
<질문 8> 폼페이오 장관의 재방북 추진 가능성과 그 시기에 대해서는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9> 폼페이오 방북 취소 결정으로 당장 남북 간의 일정도 변화가 생길 것 같습니다. 정부는 줄곧 남북 공동연락사무소를 이번 달 안에 개소하겠다는 방침을 밝혀왔는데요.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폼페이오 방북 무산으로 남북연락사무소 개소가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북한과 상의해 다시 점검하겠다고 밝혔는데요. 북한이 어떤 판단을 내릴지가 관건입니다.
<질문 10> 문재인 대통령의 역할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기인 것 같은데요. 어떤 역할을 해야 한다고 보십니까?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출연 : 김승채 고려대 통일외교안보학부 겸임교수ㆍ민정훈 국립외교원 교수>
트럼프 대통령이 폼페이오 국무장관의 방북 취소 결정을 내리면서 북한 비핵화 협상과 한반도 정세가 다시 혼란에 빠지는 분위기입니다.
청와대는 문재인 대통령의 중재자 역할이 더 커졌다고 분석하고 있습니다.
아직 북한 측에서는 이렇다할 반응이 없는데요.
관련 내용, 김승채 고려대 통일외교안보학부 겸임교수, 민정훈 국립외교원 교수와 자세히 짚어보겠습니다.
어서 오십시오.
<질문 1> 미국 전문가와 중국 전문가 두 분 모셨는데요. 트럼프 대통령의 폼페이오 장관 방북 취소에 대한 미국과 중국 내의 반응 어떻습니까?
<질문 2> 폼페이오 장관의 4차 방북이 무산된 가운데 미국 국무부는 북미 정상의 비핵화 약속이 지켜질 것으로 여전히 확신한다는 입장을 내놨습니다. 그냥 단순한 기대인지, 그렇게 확신할만한 근거가 있는지, 어떻게 보세요?
<질문 3> 트럼프 대통령은 한반도 비핵화의 진전이 충분하지 않다는 점과 중국의 비협조를 이유로 폼페이오 장관의 방북을 취소했죠. 이번 결정이 승부수가 될지, 아니면 역풍만 불러오는 자충수가 될지 관심이 모아지는데요.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질문 4> 트럼프 대통령은 "폼페이오 장관은 아마 중국과의 무역 관계가 해결된 이후 가까운 장래에 북한에 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북미 협상을 미중 무역전쟁과 연계시켰는데요. 트럼프 대통령이 북미 협상과 미중 무역을 연계시킨 이유를 뭐라고 보십니까?
<질문 5> 지금 상황이 시진핑 주석에게도 큰 부담이 될 것 같은데요. 계획대로 9.9절에 방북을 할 거라고 보십니까?
<질문 5-1> 방북을 할 경우 또는 방북하지 않을 경우, 한반도 정세와 남북미중 관계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될까요?
<질문 6> 북측에선 이번 폼페이오 장관 방북 취소와 관련해 이렇다할 반응을 내놓지 않고 있습니다. 돌발 상황에 대응책을 고심하고 있다고 봐야할까요?
<질문 7> 김 위원장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유화 메시지를 보낸다면, 비핵화 협상에서 미국의 요구를 받아들일 준비가 됐다, 이렇게도 해석할 수 있을까요?
<질문 8> 폼페이오 장관의 재방북 추진 가능성과 그 시기에 대해서는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9> 폼페이오 방북 취소 결정으로 당장 남북 간의 일정도 변화가 생길 것 같습니다. 정부는 줄곧 남북 공동연락사무소를 이번 달 안에 개소하겠다는 방침을 밝혀왔는데요.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폼페이오 방북 무산으로 남북연락사무소 개소가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북한과 상의해 다시 점검하겠다고 밝혔는데요. 북한이 어떤 판단을 내릴지가 관건입니다.
<질문 10> 문재인 대통령의 역할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기인 것 같은데요. 어떤 역할을 해야 한다고 보십니까?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