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포커스] '숨이 턱턱' 살인적인 더위 언제까지 가나
<출연 : 연합뉴스TV 김재훈 기상전문기자ㆍ이대목동병원 가정의학과 심경원 교수>
사상 최악의 폭염이 최고 기온 기록을 갈아치우고 있습니다.
어제 강원도 홍천은 1904년 기상 관측을 시작한 이래 가장 높은 41도까지 올랐고 서울도 39.6도까지 오르며 역대 최고 기온을 기록했습니다.
계속되는 폭염에 온열환자 발생 등 피해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재난 수준의 폭염이 언제까지 이어질지, 건강 관리는 어떻게 해야 할지 전문가와 함께 자세히 짚어보겠습니다.
김재훈 기자ㆍ심경원 이대목동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나와 주셨습니다.
어서 오십시오.
<질문 1> 어제 서울이 39.6도, 강원도 홍천은 41도를 기록했는데 우리나라 111년 기상 관측 사상 '최고 기록'을 세운 것이라고요?
<질문 2> 오늘도 어제만큼 기온이 오를 거라는 예보가 나오고 있는데 최고 기록을 재경신할까요?
<질문 3> 폭염 때문에 병원을 찾는 분들이 많아졌을 것 같은데 어떤가요?
<질문 4> 폭염이 이어지면서 기온이 체온보다 더 높아지고 있는데요. 이럴 때 우리 몸에는 어떤 문제가 생길 수 있나요?
<질문 5> 역대 최악의 폭염으로 온열 환자와 사망자가 늘고 있다고요?
<질문5-1> 곳곳에서 정전, 가축 폐사 등의 피해도 잇따르고 있다고 하죠?
<질문 6> 우리가 보통 온열질환이라고 이야기하는데 온열질환에 여러 가지 이름이 있더라고요. 열사병, 일사병, 열탈진, 어떤 차이가 있는 것인가요?
<질문 7> 실제로 최근 들어 두통이나 어지럼증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는데요. 온열질환 환자를 발견했다면 가장 먼저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요?
<질문 7-1> 예방도 중요할 것 같은데요. 온열질환 예방법엔 어떤 것이 있을까요? 특히 어린이나 노인 같은 노약자의 경우 더 조심할 것이 있을까요?
<질문 8> 온열질환만큼 무서운 것이 냉방병이잖아요. 냉방병에 걸리지 않기 위해서는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요?
<질문 9> 기록적인 폭염이 이어지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질문 9-1>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 가장 더운 곳 하면 '대프리카'라고 불리는 대구였는데요. 대구보다 서울이 더 뜨거워진 이유도 궁금한데요?
<질문 10> 가장 궁금한 것은 이 폭염이 언제까지 가느냐 인데요. 언제까지 이렇게 더울까요?
<질문 11> 당분간 폭염이 계속 될 것으로 보이는데요. 이밖에 건강을 위해 주의해야 할 점이 있다면 말씀 부탁드립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출연 : 연합뉴스TV 김재훈 기상전문기자ㆍ이대목동병원 가정의학과 심경원 교수>
사상 최악의 폭염이 최고 기온 기록을 갈아치우고 있습니다.
어제 강원도 홍천은 1904년 기상 관측을 시작한 이래 가장 높은 41도까지 올랐고 서울도 39.6도까지 오르며 역대 최고 기온을 기록했습니다.
계속되는 폭염에 온열환자 발생 등 피해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재난 수준의 폭염이 언제까지 이어질지, 건강 관리는 어떻게 해야 할지 전문가와 함께 자세히 짚어보겠습니다.
김재훈 기자ㆍ심경원 이대목동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나와 주셨습니다.
어서 오십시오.
<질문 1> 어제 서울이 39.6도, 강원도 홍천은 41도를 기록했는데 우리나라 111년 기상 관측 사상 '최고 기록'을 세운 것이라고요?
<질문 2> 오늘도 어제만큼 기온이 오를 거라는 예보가 나오고 있는데 최고 기록을 재경신할까요?
<질문 3> 폭염 때문에 병원을 찾는 분들이 많아졌을 것 같은데 어떤가요?
<질문 4> 폭염이 이어지면서 기온이 체온보다 더 높아지고 있는데요. 이럴 때 우리 몸에는 어떤 문제가 생길 수 있나요?
<질문 5> 역대 최악의 폭염으로 온열 환자와 사망자가 늘고 있다고요?
<질문5-1> 곳곳에서 정전, 가축 폐사 등의 피해도 잇따르고 있다고 하죠?
<질문 6> 우리가 보통 온열질환이라고 이야기하는데 온열질환에 여러 가지 이름이 있더라고요. 열사병, 일사병, 열탈진, 어떤 차이가 있는 것인가요?
<질문 7> 실제로 최근 들어 두통이나 어지럼증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는데요. 온열질환 환자를 발견했다면 가장 먼저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요?
<질문 7-1> 예방도 중요할 것 같은데요. 온열질환 예방법엔 어떤 것이 있을까요? 특히 어린이나 노인 같은 노약자의 경우 더 조심할 것이 있을까요?
<질문 8> 온열질환만큼 무서운 것이 냉방병이잖아요. 냉방병에 걸리지 않기 위해서는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요?
<질문 9> 기록적인 폭염이 이어지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질문 9-1>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 가장 더운 곳 하면 '대프리카'라고 불리는 대구였는데요. 대구보다 서울이 더 뜨거워진 이유도 궁금한데요?
<질문 10> 가장 궁금한 것은 이 폭염이 언제까지 가느냐 인데요. 언제까지 이렇게 더울까요?
<질문 11> 당분간 폭염이 계속 될 것으로 보이는데요. 이밖에 건강을 위해 주의해야 할 점이 있다면 말씀 부탁드립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