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관현의 통일열차] 47일 만에 마주앉은 남북…장성급회담 결과는?
<출연 : 연합뉴스 문관현 기자>
한 주간의 한반도 정세와 북한의 움직임에 대해 짚어보는 <문관현의 통일열차>, 오늘 이 시각에도 외교안보 분야를 오랫동안 취재한 연합뉴스 문관현 기자와 함께 합니다.
안녕하십니까.
<질문 1> 어제 판문점에서 남북 장성급 군사회담이 열렸습니다. 끝내 공동 보도문을 채택하지는 못했지만, 분위기는 나쁘지 않았다고 하는데요. 어떤 이야기가 오갔나요?
<질문 2> 종전선언 논의가 급물살을 타는 분위기입니다. 중국의 외교 사령탑인 양제츠 정치국원이 지난 달 중순 비공개로 방한해 정의용 청와대 안보실장과 만났다는 사실이 확인됐는데요. 이 자리에서 한반도 종전선언과 관련한 논의가 이뤄졌을 거라는 관측이 많은데,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3> 그런데 정의용 실장이 지난 달 20일 미국을 방문했단 말이죠? 양제츠 정치국원이 비밀리에 입국한 건 11일 쯤으로 알려졌고요. 그렇게 보면 회동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정 실장이 미국을 방문한 셈인데, 시기가 상당히 묘하지 않습니까? 이 역시 종전선언 논의를 위한 방미 일정이었을까요?
<질문 4> 이런 상황에서 남,북,미,중 외교 수장들이 집결하는 아세안지역안보포럼이 싱가포르에서 개막했습니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도 참석했는데, 남북 외교수장 양자 회동이나 남북미 3자 회동이 성사될 가능성 있을까요?
<질문 5> 이런 가운데 북한이 개성공단 재가동과 금강산 관광 재개를 요구하고 나섰습니다. 대북제재 논란과 맞물려 있는 만큼 정부로서도 고민이 클 것 같아요?
<질문 6> 다음 이슈도 짚어보겠습니다. 미국이 최근 북한으로부터 한국전쟁 참전 미군 유해를 인도받았죠. 유해 송환식이 지금 오산 기지에서 열리고 있다고요?
<질문 7> 그런데 유해 송환의 대가로 북한이 미국에 현금 보상을 요구했을 거라는 설이 떠돌았죠. 그러자 미국 국무부에서 '북한은 금전적 요구도 하지 않았고, 두 나라 사이에 돈이 오가지도 않았다'고 딱 잘라 선을 그었어요?
<질문 8> 그런데 과거 미국이 북한으로부터 600여구의 유해를 돌려받는 과정에서는 약 2200만달러, 우리 돈으로 약 247억원을 지급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미 국무부의 말대로라면 북한이 이번엔 아무런 대가 없이 유해를 송환한 건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요?
<질문 9> 처음 사진보고 서울의 풍경인줄 알았어요. 대동강수산물시장이 북한의 어디에 위치해있나요?
오늘 말씀 감사합니다.
지금까지 문관현 연합뉴스 기자와 함께 했습니다.
[뉴스1번지]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출연 : 연합뉴스 문관현 기자>
한 주간의 한반도 정세와 북한의 움직임에 대해 짚어보는 <문관현의 통일열차>, 오늘 이 시각에도 외교안보 분야를 오랫동안 취재한 연합뉴스 문관현 기자와 함께 합니다.
안녕하십니까.
<질문 1> 어제 판문점에서 남북 장성급 군사회담이 열렸습니다. 끝내 공동 보도문을 채택하지는 못했지만, 분위기는 나쁘지 않았다고 하는데요. 어떤 이야기가 오갔나요?
<질문 2> 종전선언 논의가 급물살을 타는 분위기입니다. 중국의 외교 사령탑인 양제츠 정치국원이 지난 달 중순 비공개로 방한해 정의용 청와대 안보실장과 만났다는 사실이 확인됐는데요. 이 자리에서 한반도 종전선언과 관련한 논의가 이뤄졌을 거라는 관측이 많은데,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3> 그런데 정의용 실장이 지난 달 20일 미국을 방문했단 말이죠? 양제츠 정치국원이 비밀리에 입국한 건 11일 쯤으로 알려졌고요. 그렇게 보면 회동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정 실장이 미국을 방문한 셈인데, 시기가 상당히 묘하지 않습니까? 이 역시 종전선언 논의를 위한 방미 일정이었을까요?
<질문 4> 이런 상황에서 남,북,미,중 외교 수장들이 집결하는 아세안지역안보포럼이 싱가포르에서 개막했습니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도 참석했는데, 남북 외교수장 양자 회동이나 남북미 3자 회동이 성사될 가능성 있을까요?
<질문 5> 이런 가운데 북한이 개성공단 재가동과 금강산 관광 재개를 요구하고 나섰습니다. 대북제재 논란과 맞물려 있는 만큼 정부로서도 고민이 클 것 같아요?
<질문 6> 다음 이슈도 짚어보겠습니다. 미국이 최근 북한으로부터 한국전쟁 참전 미군 유해를 인도받았죠. 유해 송환식이 지금 오산 기지에서 열리고 있다고요?
<질문 7> 그런데 유해 송환의 대가로 북한이 미국에 현금 보상을 요구했을 거라는 설이 떠돌았죠. 그러자 미국 국무부에서 '북한은 금전적 요구도 하지 않았고, 두 나라 사이에 돈이 오가지도 않았다'고 딱 잘라 선을 그었어요?
<질문 8> 그런데 과거 미국이 북한으로부터 600여구의 유해를 돌려받는 과정에서는 약 2200만달러, 우리 돈으로 약 247억원을 지급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미 국무부의 말대로라면 북한이 이번엔 아무런 대가 없이 유해를 송환한 건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요?
<질문 9> 처음 사진보고 서울의 풍경인줄 알았어요. 대동강수산물시장이 북한의 어디에 위치해있나요?
오늘 말씀 감사합니다.
지금까지 문관현 연합뉴스 기자와 함께 했습니다.
[뉴스1번지]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