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이명박 재임 당시 '불법사찰ㆍ정치개입' 인정…"사죄"
[뉴스리뷰]
[앵커]
지난 3월 검찰이 이명박 전 대통령측 영포빌딩 지하창고를 압수수색해 확보한 문건 중에는 경찰청의 불법사찰 의혹 자료가 있었죠.
경찰청이 자체조사를 거쳐 경찰에서 이 같은 문건이 만들어졌다고 인정하고 사과했습니다.
차병섭 기자입니다.
[기자]
검찰이 영포빌딩 지하창고에서 찾아낸 청와대 문건 중에는 경찰청이 각종 사찰과 정치개입을 했고, 그 내용을 청와대에 보고했다는 내용이 담겨있어 논란이 됐습니다.
문건 공개 후 3개월간 자체 조사를 벌인 경찰은, 실제 경찰에서 유사한 내용의 문건이 만들어진 게 맞다고 인정했습니다.
<김정훈 / 경찰청 진상조사팀장> "진보단체 활동을 위축시키고 보수단체 활동을 활성화시키는 조언이라든지, 또는 지방선거와 관련해 어떤 종류의 분위기가 있는지 정도 (문건으)로 파악됩니다."
조사팀은 이 전 대통령에게 보고된 것으로 추정되는 문건 60여 건을 포함한 130여 건에 문제소지가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다만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을 사찰했다는 의혹에 대해서는 노 전 대통령 관련 문건이 1건 확인됐지만, 관련자가 "전직 대통령에 대한 신변보호 차원"이라 진술했다고 밝혔습니다.
실제로 경찰은 당시 정보업무를 다뤘던 340여 명 중 퇴직자 등을 제외한 270여 명을 조사했는데, 조사 대상이었던 현역 야당 국회의원 3명에 대한 조사는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조사를 마친 경찰은 경찰청 수사국에 수사를 의뢰했는데 '셀프수사' 비판을 의식한 듯 검찰과 협의해 수사를 진행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경찰청은 또 정보국장 명의로 입장문을 내고 "조사 결과를 엄중하게 인식하고 사죄드린다"면서 "낡은 관행을 타파하는 계기로 삼고, 향후 수사에 적극 협조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연합뉴스TV 차병섭입니다.
bscharm@yna.co.k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뉴스리뷰]
[앵커]
지난 3월 검찰이 이명박 전 대통령측 영포빌딩 지하창고를 압수수색해 확보한 문건 중에는 경찰청의 불법사찰 의혹 자료가 있었죠.
경찰청이 자체조사를 거쳐 경찰에서 이 같은 문건이 만들어졌다고 인정하고 사과했습니다.
차병섭 기자입니다.
[기자]
검찰이 영포빌딩 지하창고에서 찾아낸 청와대 문건 중에는 경찰청이 각종 사찰과 정치개입을 했고, 그 내용을 청와대에 보고했다는 내용이 담겨있어 논란이 됐습니다.
문건 공개 후 3개월간 자체 조사를 벌인 경찰은, 실제 경찰에서 유사한 내용의 문건이 만들어진 게 맞다고 인정했습니다.
<김정훈 / 경찰청 진상조사팀장> "진보단체 활동을 위축시키고 보수단체 활동을 활성화시키는 조언이라든지, 또는 지방선거와 관련해 어떤 종류의 분위기가 있는지 정도 (문건으)로 파악됩니다."
조사팀은 이 전 대통령에게 보고된 것으로 추정되는 문건 60여 건을 포함한 130여 건에 문제소지가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다만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을 사찰했다는 의혹에 대해서는 노 전 대통령 관련 문건이 1건 확인됐지만, 관련자가 "전직 대통령에 대한 신변보호 차원"이라 진술했다고 밝혔습니다.
실제로 경찰은 당시 정보업무를 다뤘던 340여 명 중 퇴직자 등을 제외한 270여 명을 조사했는데, 조사 대상이었던 현역 야당 국회의원 3명에 대한 조사는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조사를 마친 경찰은 경찰청 수사국에 수사를 의뢰했는데 '셀프수사' 비판을 의식한 듯 검찰과 협의해 수사를 진행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경찰청은 또 정보국장 명의로 입장문을 내고 "조사 결과를 엄중하게 인식하고 사죄드린다"면서 "낡은 관행을 타파하는 계기로 삼고, 향후 수사에 적극 협조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연합뉴스TV 차병섭입니다.
bscharm@yna.co.k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