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당권경쟁 '룰의 전쟁' 돌입…컷오프 등 변수

[뉴스리뷰]

[앵커]

더불어민주당의 전당대회 일정이 확정되면서 세부 경선 규칙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여론조사 비율과 '컷오프' 실시 여부 등에 따라 유불리가 달라지는 만큼 진통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입니다.

최지숙 기자입니다.

[기자]

전당대회 일정을 확정한 민주당은 전대준비위원회 구성에 착수했습니다.

<박범계 / 더불어민주당 수석대변인> "철저하게 준비해서 지방선거에서의 열화와 같은 지지와 성원에 보답하는 전당대회를 치르도록 하겠습니다."

전준위는 '경선 규칙'을 결정하게 되는데, 당권주자들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경선 규칙이 어떻게 정해지느냐에 따라 각 진영 후보들 간 유불리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먼저 지도 체제가 최대 관심사입니다.

현재로선 당 대표와 최고위원을 분리해서 선출하는 단일성 집단지도체제를 유지하는 방안이 유력합니다.

이렇게 될 경우 후보들은 대표와 최고위원 중 어디에 도전할지부터 결정해야 합니다.

경선에서 대의원과 권리당원의 비율을 어떻게 조정할지도 변수로 꼽힙니다.

2016년 전당대회에선 대의원과 권리당원 투표 비율이 각각 45%와 30%, 일반 여론조사는 25%로 적용됐습니다.

이후 당규 변경으로 비율이 조정됐지만 최근 권리당원이 늘어난 만큼 재조정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옵니다.

'컷오프' 실시 여부도 주목됩니다.

일단 민주당은 컷오프 도입에 대한 공감대가 큰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자천타천 후보군만 20여 명에 달해 정리가 필요한 데다, 컷오프가 이변의 가능성을 높여 흥행에 도움이 된다는 판단 때문입니다.

컷오프가 도입될 경우 후보간 합종연횡이 당 대표 선출의 주요 변수가 될 전망입니다.

연합뉴스TV 최지숙입니다.

js173@yna.co.k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