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번지] 직통번호 교환한 북미 정상…'핫라인' 구축하나
<출연 : 북한대학원대학교 양무진 교수ㆍ연세대 통일연구원 봉영식 전문연구위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언급한 북한 김정은 위원장의 전화 통화 소식은 아직까지 들리지 않고 있습니다.
예고했던 시간은 지났지만 북미정상 간 핫라인 구축 자체만으로도 큰 의미가 있어 보입니다.
한편 남북은 지난주 군사회담에 이어 오늘 체육회담을 갖는 등 판문점 선언 이행을 위한 후속대화를 서두르고 있습니다.
이 시간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 봉영식 연세대 통일연구원 전문연구위원 두분 모시고 관련 내용들 짚어보겠습니다.
<질문 1> 트럼프 대통령이 북미 정상회담 당시 김정은 위원장에게 직통 전화번호를 줬고 17일에 김 위원장과 통화할 것이라고 예고했습니다. 통화가 과연 이뤄질지, 통화는 어떤 방식으로 하는지, 어떤 대화가 오갈지 궁금합니다. 만약 북미 정상 간 핫라인이 설치된다면 어떤 의미가 있다고 보십니까?
<질문 1-1> 문재인 대통령은 일찌감치 북미 정상 간 핫라인 구축 필요성을 제기했는데요, 남·북·미 정상 간 핫라인이 구축될 경우 문 대통령의 중재 역할이 더욱 강화될 수 있을가요?
<질문 2> 북미 정상 간 싱가포르 회담 합의 이행을 위한 후속 협상이 이르면 이번 주부터 시작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어떤 의제들이 논의될지, 협상 파트너는 누가 될지 주목되는데 향후 회담 과정을 어떻게 전망하십니까?
<질문 3> 트럼프 대통령이 한미군사훈련 중단을 자신이 먼저 제안했고 '워게임'도 자신의 용어라고 주장했습니다. 반면 북한 매체에서는 김정은 위원장이 훈련 중단을 요구했다고 주장했고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김 의원장에게 훈수했다는 외신 보도도 나옵니다. 진실은 무엇일까요?
<질문 4>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과 협상이 결렬되면 한미군사훈련을 즉각 재개할 것"이라면서 훈련 중단은 자신의 요구에 의한 것이었다고 강조했습니다. 북한의 관련 합의 불이행 때는 훈연을 재개하겠다는 것인데 일종의 스냅백 조항을 적용하겠다는 것인지요?
<질문 5> 한미 방위비 분담 4차 협상이 이달 하순 개최될 예정으로 알려졌습니다. 미국 전략자산 투입에 기반을 둔 한미연합훈련이 중단된다면 미국 측의 분담금 대폭 증액 요구 명분도 다소 약해지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오는데 어떻게 전망하십니까?
<질문 6> 남북이 군사회담에서 군사분계선(MDL)에 배치된 북한의 장사정포를 후방으로 철수하는 방안을 논의하기 시작했다는 보도가 나왔습니다. 이에 대해 국방부는 사실이 아니라고 부인했는데요. 그럼에도 후속회담에서 논의가 이뤄질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장사정포 철수가 현실화할 가능성이 있을까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출연 : 북한대학원대학교 양무진 교수ㆍ연세대 통일연구원 봉영식 전문연구위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언급한 북한 김정은 위원장의 전화 통화 소식은 아직까지 들리지 않고 있습니다.
예고했던 시간은 지났지만 북미정상 간 핫라인 구축 자체만으로도 큰 의미가 있어 보입니다.
한편 남북은 지난주 군사회담에 이어 오늘 체육회담을 갖는 등 판문점 선언 이행을 위한 후속대화를 서두르고 있습니다.
이 시간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 봉영식 연세대 통일연구원 전문연구위원 두분 모시고 관련 내용들 짚어보겠습니다.
<질문 1> 트럼프 대통령이 북미 정상회담 당시 김정은 위원장에게 직통 전화번호를 줬고 17일에 김 위원장과 통화할 것이라고 예고했습니다. 통화가 과연 이뤄질지, 통화는 어떤 방식으로 하는지, 어떤 대화가 오갈지 궁금합니다. 만약 북미 정상 간 핫라인이 설치된다면 어떤 의미가 있다고 보십니까?
<질문 1-1> 문재인 대통령은 일찌감치 북미 정상 간 핫라인 구축 필요성을 제기했는데요, 남·북·미 정상 간 핫라인이 구축될 경우 문 대통령의 중재 역할이 더욱 강화될 수 있을가요?
<질문 2> 북미 정상 간 싱가포르 회담 합의 이행을 위한 후속 협상이 이르면 이번 주부터 시작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어떤 의제들이 논의될지, 협상 파트너는 누가 될지 주목되는데 향후 회담 과정을 어떻게 전망하십니까?
<질문 3> 트럼프 대통령이 한미군사훈련 중단을 자신이 먼저 제안했고 '워게임'도 자신의 용어라고 주장했습니다. 반면 북한 매체에서는 김정은 위원장이 훈련 중단을 요구했다고 주장했고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김 의원장에게 훈수했다는 외신 보도도 나옵니다. 진실은 무엇일까요?
<질문 4>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과 협상이 결렬되면 한미군사훈련을 즉각 재개할 것"이라면서 훈련 중단은 자신의 요구에 의한 것이었다고 강조했습니다. 북한의 관련 합의 불이행 때는 훈연을 재개하겠다는 것인데 일종의 스냅백 조항을 적용하겠다는 것인지요?
<질문 5> 한미 방위비 분담 4차 협상이 이달 하순 개최될 예정으로 알려졌습니다. 미국 전략자산 투입에 기반을 둔 한미연합훈련이 중단된다면 미국 측의 분담금 대폭 증액 요구 명분도 다소 약해지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오는데 어떻게 전망하십니까?
<질문 6> 남북이 군사회담에서 군사분계선(MDL)에 배치된 북한의 장사정포를 후방으로 철수하는 방안을 논의하기 시작했다는 보도가 나왔습니다. 이에 대해 국방부는 사실이 아니라고 부인했는데요. 그럼에도 후속회담에서 논의가 이뤄질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장사정포 철수가 현실화할 가능성이 있을까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