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포커스] 트럼프, '종전' 이어 '관계정상화' 언급…'당근책'
<출연 : 박원곤 한동대 국제지역학 교수ㆍ신범철 아산정책연구원 안보통일센터장>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북미정상회담이 잘 되면 김정은 위원장을 백악관으로 초청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와 함께 북미회담에서 종전선언에 서명할 수 있고, 북한이 필요한 조치들을 완료한다면 북미간 국교를 정상화할 수 있다고도 밝혔습니다.
종전에 이은 국교정상화라는 당근책이 앞으로의 협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관련 내용, 전문가와 함께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박원곤 한동대 국제지역학 교수, 신범철 아산정책연구원 안보통일센터장 나와 주셨습니다.
어서 오십시오.
<질문 1> 트럼프 대통령이 아베신조 일본 총리와 정상회담 후 가진 기자회견에서 많은 말들을 했습니다. 눈에 띄는 것이, "북미회담이 잘 되면 김정은 위원장을 백악관으로 초청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백악관 초청의 의미는 무엇인가요?
<질문 1-1> 비핵화 협상을 '일괄타결식'보다는 '단계적 방식'으로 풀어가겠다는 의지와 후속 회담 개최를 명확히 한 것으로 볼 수도 있을까요?
<질문 1-2> 트럼프 대통령은 국교 정상화 방침도 시사했습니다. 북미 수교는 북한의 국가적 숙원 과제인데요.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이 북미정상회담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까요?
<질문 2> 북미 판문점 실무 협상이 어제 종료됐습니다. 협상팀은 CVID를 공동합의문에 명기하는 문제를 놓고 막판 줄다리기를 한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폼페이오 장관이 북미 간에 비핵화를 둘러싼 인식차가 축소되고 있고, 조금씩 진전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북미 간에 어느 정도 이견을 좁혔다고 보십니까?
<질문 2-1> 백악관은 김정은 위원장이 북한의 핵무기 포기를 위한 일정을 약속해 주기를 바라고 있다고 블룸버그 통신이 보도했는데요. 확실하고 구체적인 비핵화 이행 약속을 요구하는 거겠죠?
<질문 3> 북미회담을 앞두고 트럼프 대통령이 열공 모드에 돌입했다고 하는데요. 최근 '넌-루거 법'으로 불리는 핵 폐기 방식에 대한 보고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먼저, '넌-루거 법'이 무엇인지 설명 부탁드립니다.
<질문 3-1> 북한과의 비핵화 협상에 '넌-루거 법'을 적용할까요?
<질문 4> 북미회담의 수행단이 누가 될지도 관심사인데요. 미국은 폼페이오 국무장관과 켈리 비서실장, 볼턴 보좌관 등이 합류한다고 블룸버그통신이 보도했습니다. 수행단 명단을 볼 때 미국에 어떤 전략이 담겨 있다고 보십니까?
<질문 4-1> 볼턴 보좌관은 그동안 대북 초강경 입장을 유지해 싱가포르에 못 갈 거라는 관측이 많았고, 북한 입장에서는 눈엣가시 같은 존재인데요. 볼턴 보좌관의 싱가포르행,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5> 북한측 수행단은 아직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누가 싱가포르행 비행기에 오를까요?
<질문 5-1> 볼턴 저격수, 김계관 부상이 수행단에 포함될 가능성은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6> 김정은 위원장은 소수의 인원만 배석하는 회담 스타일을 선호하는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협상 테이블에는 누가 배석할까요?
<질문 7> 미국이 비핵화를 일괄타결 방식에서 단계적 해법으로 바꾸고 추가 회담을 시사하면서, 종전선언 가능성도 자연스럽게 낮아졌는데요. 트럼프 대통령이 미·일 정상회담 후 백악관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북미정상회담에서 한국전쟁 종전에 대한 합의에 서명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말했습니다. 싱가포르에서 종전선언을 할 가능성에 대해 어떻게 보십니까?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출연 : 박원곤 한동대 국제지역학 교수ㆍ신범철 아산정책연구원 안보통일센터장>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북미정상회담이 잘 되면 김정은 위원장을 백악관으로 초청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와 함께 북미회담에서 종전선언에 서명할 수 있고, 북한이 필요한 조치들을 완료한다면 북미간 국교를 정상화할 수 있다고도 밝혔습니다.
종전에 이은 국교정상화라는 당근책이 앞으로의 협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관련 내용, 전문가와 함께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박원곤 한동대 국제지역학 교수, 신범철 아산정책연구원 안보통일센터장 나와 주셨습니다.
어서 오십시오.
<질문 1> 트럼프 대통령이 아베신조 일본 총리와 정상회담 후 가진 기자회견에서 많은 말들을 했습니다. 눈에 띄는 것이, "북미회담이 잘 되면 김정은 위원장을 백악관으로 초청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백악관 초청의 의미는 무엇인가요?
<질문 1-1> 비핵화 협상을 '일괄타결식'보다는 '단계적 방식'으로 풀어가겠다는 의지와 후속 회담 개최를 명확히 한 것으로 볼 수도 있을까요?
<질문 1-2> 트럼프 대통령은 국교 정상화 방침도 시사했습니다. 북미 수교는 북한의 국가적 숙원 과제인데요.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이 북미정상회담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까요?
<질문 2> 북미 판문점 실무 협상이 어제 종료됐습니다. 협상팀은 CVID를 공동합의문에 명기하는 문제를 놓고 막판 줄다리기를 한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폼페이오 장관이 북미 간에 비핵화를 둘러싼 인식차가 축소되고 있고, 조금씩 진전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북미 간에 어느 정도 이견을 좁혔다고 보십니까?
<질문 2-1> 백악관은 김정은 위원장이 북한의 핵무기 포기를 위한 일정을 약속해 주기를 바라고 있다고 블룸버그 통신이 보도했는데요. 확실하고 구체적인 비핵화 이행 약속을 요구하는 거겠죠?
<질문 3> 북미회담을 앞두고 트럼프 대통령이 열공 모드에 돌입했다고 하는데요. 최근 '넌-루거 법'으로 불리는 핵 폐기 방식에 대한 보고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먼저, '넌-루거 법'이 무엇인지 설명 부탁드립니다.
<질문 3-1> 북한과의 비핵화 협상에 '넌-루거 법'을 적용할까요?
<질문 4> 북미회담의 수행단이 누가 될지도 관심사인데요. 미국은 폼페이오 국무장관과 켈리 비서실장, 볼턴 보좌관 등이 합류한다고 블룸버그통신이 보도했습니다. 수행단 명단을 볼 때 미국에 어떤 전략이 담겨 있다고 보십니까?
<질문 4-1> 볼턴 보좌관은 그동안 대북 초강경 입장을 유지해 싱가포르에 못 갈 거라는 관측이 많았고, 북한 입장에서는 눈엣가시 같은 존재인데요. 볼턴 보좌관의 싱가포르행,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5> 북한측 수행단은 아직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누가 싱가포르행 비행기에 오를까요?
<질문 5-1> 볼턴 저격수, 김계관 부상이 수행단에 포함될 가능성은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6> 김정은 위원장은 소수의 인원만 배석하는 회담 스타일을 선호하는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협상 테이블에는 누가 배석할까요?
<질문 7> 미국이 비핵화를 일괄타결 방식에서 단계적 해법으로 바꾸고 추가 회담을 시사하면서, 종전선언 가능성도 자연스럽게 낮아졌는데요. 트럼프 대통령이 미·일 정상회담 후 백악관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북미정상회담에서 한국전쟁 종전에 대한 합의에 서명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말했습니다. 싱가포르에서 종전선언을 할 가능성에 대해 어떻게 보십니까?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