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포커스] '정치인-지지자 관계 이상' vs '드루킹의 덫'
<출연 : 김현 더불어민주당 대변인ㆍ차명진 전 자유한국당 의원>
야 3당이 드루킹 댓글 사태에 대한 '특검법안'을 공동 발의하고 특검이 수용되면 국회에 복귀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여당이 강력히 반대하고 있어 특검도입은 현실적으로 쉽지 않아 보입니다.
어제 있었던 국회의장과 여야 원내대표 회동은 소득 없이 끝나면서 6월 헌법개정은 사실상 무산됐는데요.
관련내용 전문가 두 분과 짚어봅니다.
차명진 전 자유한국당 의원, 김현 더불어민주당 대변인 나와 주셨습니다.
두 분 어서 오십시오.
<질문 1> 이런 가운데 김경수 의원과 드루킹과의 메신저 대화가 다양한 경로를 통해 여러차례 오간 정황이 확인이 되면서 두 사람의 실제 관계에 대한 의혹도 함께 불거지고 있는데요. 그동안 경찰 수사 조사에 따르면 두 사람의 1:1 메신저방만 무려 4개에 이르고 시그널 메신저를 통해서는 양측이 서로 55차례나 메시지를 주고 받았다고 하거든요. 이 때문에 단순 지지자와 정치인 관계로 볼 수 없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어요?
<질문 2> 민주당은 이같은 야3당의 특검요구에 거부의 뜻을 확실히 드러냈습니다. 특히 우원식 원내 대표는 야3당의 특검 발의는 "명백한 대선 불복선언"이라며 "정권 교체의 본직을 뒤엎으려는 시도"라고 주장하고 나섰는데요. 그러면서 특검은 경찰의 수사가 미진하면 특검을 하자고 밝히기도 했거든요. 이 같은 민주당 측의 반응은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3> 야 3당이 어제 지도부 회동을 갖고 특검법안을 공동으로 발의하고 나섰습니다. 본 회의에 상정만 된다면 의석수상 특검통과는 가능하지만, 이 특검법이 본회의에 상정되기 위해선 여당이 있는 법사위를 거쳐야 하는 상황이거든요. 야 3당의 공동 발의 특검법, 본회의 상정이 가능할까요?
<질문 4> 정세균 의장과 여야 교섭단체 원내대표들의 어제 회동이 소득없이 끝나면서 결국 6월 헌법 개정이 사실상 무산됐습니다. 이로써 지난 대선 당시 여야 후보들이 공약한 사항을 정치권이 차버린 셈이 됐는데요. 이거 누구의 책임이라고 봐야 하는 겁니까?
지금까지 차명진 전 자유한국당 의원, 김현 더불어민주당 대변인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41(기사문의·제보) 카톡/라인 jebo23
(끝)
<출연 : 김현 더불어민주당 대변인ㆍ차명진 전 자유한국당 의원>
야 3당이 드루킹 댓글 사태에 대한 '특검법안'을 공동 발의하고 특검이 수용되면 국회에 복귀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여당이 강력히 반대하고 있어 특검도입은 현실적으로 쉽지 않아 보입니다.
어제 있었던 국회의장과 여야 원내대표 회동은 소득 없이 끝나면서 6월 헌법개정은 사실상 무산됐는데요.
관련내용 전문가 두 분과 짚어봅니다.
차명진 전 자유한국당 의원, 김현 더불어민주당 대변인 나와 주셨습니다.
두 분 어서 오십시오.
<질문 1> 이런 가운데 김경수 의원과 드루킹과의 메신저 대화가 다양한 경로를 통해 여러차례 오간 정황이 확인이 되면서 두 사람의 실제 관계에 대한 의혹도 함께 불거지고 있는데요. 그동안 경찰 수사 조사에 따르면 두 사람의 1:1 메신저방만 무려 4개에 이르고 시그널 메신저를 통해서는 양측이 서로 55차례나 메시지를 주고 받았다고 하거든요. 이 때문에 단순 지지자와 정치인 관계로 볼 수 없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어요?
<질문 2> 민주당은 이같은 야3당의 특검요구에 거부의 뜻을 확실히 드러냈습니다. 특히 우원식 원내 대표는 야3당의 특검 발의는 "명백한 대선 불복선언"이라며 "정권 교체의 본직을 뒤엎으려는 시도"라고 주장하고 나섰는데요. 그러면서 특검은 경찰의 수사가 미진하면 특검을 하자고 밝히기도 했거든요. 이 같은 민주당 측의 반응은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3> 야 3당이 어제 지도부 회동을 갖고 특검법안을 공동으로 발의하고 나섰습니다. 본 회의에 상정만 된다면 의석수상 특검통과는 가능하지만, 이 특검법이 본회의에 상정되기 위해선 여당이 있는 법사위를 거쳐야 하는 상황이거든요. 야 3당의 공동 발의 특검법, 본회의 상정이 가능할까요?
<질문 4> 정세균 의장과 여야 교섭단체 원내대표들의 어제 회동이 소득없이 끝나면서 결국 6월 헌법 개정이 사실상 무산됐습니다. 이로써 지난 대선 당시 여야 후보들이 공약한 사항을 정치권이 차버린 셈이 됐는데요. 이거 누구의 책임이라고 봐야 하는 겁니까?
지금까지 차명진 전 자유한국당 의원, 김현 더불어민주당 대변인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41(기사문의·제보)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