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靑 "최단기간내 비핵화"…'목표달성 시한' 설정 추진

[뉴스리뷰]

[앵커]

북한이 비핵화에 합의하더라도 시간을 끌면서 보상만 받는 것 아니냐는 시각이 존재합니다.

이에 대해 우리 정부는 비핵화 달성 시점을 설정해 북한이 반드시 약속을 지키도록 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합니다.

북한을 어떻게 설득할 것이냐가 관건입니다.

고일환 기자의 단독보도입니다.

[기자]

지난 25년간 북한과의 비핵화 대화는 모두 실패로 끝났습니다.

북한은 비핵화에 합의하고도 보상만 받은 뒤 약속을 파기했습니다.

남북정상회담과 북미정상회담에 대한 우려의 시선도 이 때문입니다.

이런 북한의 지연전술 가능성에 대해 우리 정부가 대책을 강구 중입니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목표를 이루는데 걸리는 시간을 얼마나 줄이느냐가 관건"이라고 말했습니다.

비핵화 목표를 달성하는데 구체적인 시한을 설정하겠다는 이야기입니다.

기간을 얼마로 할지는 확정되지 않았습니다.

다만 미국 정부 내에선 길어도 1년을 넘기면 안된다는 분위기입니다.

미국 공화당 소속인 린지 그레이엄 상원의원은 "북한이 핵무기탑재 미사일을 보유하려면 9개월에서 1년 정도 걸린다"라며 속전속결을 강조했습니다.

한미 양국과 북한이 비핵화 달성에 대한 시한설정에 합의한다면 자연스럽게 단계별 보상 문제도 풀릴 것으로 보입니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리비아 방식에도 합의가 이뤄지는 과정에서 경제재재 해제와 연락사무소 설치 등 중간과정이 존재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우리 정부는 선 비핵화를 요구하는 미국과 단계적 비핵화를 주장하는 북한을 중재하는 입장입니다.

비핵화에 시한을 설정하겠다는 정부의 계획은 성공적인 북미회담을 위한 안전장치의 하나로 작용할 전망입니다.

연합뉴스TV 고일환입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41(기사문의ㆍ제보)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