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개헌쟁점 좁히기…'빅딜' 이뤄질까

[뉴스리뷰]

[앵커]

여야가 일단 어렵게 개헌 테이블에 마주앉긴 했지만 접점찾기는 쉽지 않아보입니다.

하지만 빅딜 가능성이 아예 없는 건 아니라는 기대감도 흘러나오고 있는데요.

이준삼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막 시작된 개헌 협상은 일단 최대 쟁점 좁히기에 초점이 맞춰진 모습입니다.

자유한국당은 4가지 개헌쟁점에서 권력구조 개편은 양보할 수 없지만, 개헌시기에선 유연성을 발휘할 수 있다는 뜻을 시사했습니다.

<김성태 / 자유한국당 원내대표> "자유한국당은 이번에 어떤 경우든 국민개헌안을 국회에서 마련하는데 있어서는 저희들의 입장을 일부 수정서라도 합의안을 이뤄내려 합니다."

바른미래당도 개헌핵심을 '대통령의 자의적 인사권 제한'이라고 못박았습니다.

역시 개헌 협상의 최대쟁점을 권력구조 개편으로 압축한 것입니다.

야권은 국회의 총리 선출이냐 총리 추천이냐를 놓고 의견은 갈리지만, 책임총리 도입 필요성에선 한 목소리를 내고 있습니다.

물론, 이에 대해 청와대와 여당은 단호합니다.

<조국 / 청와대 민정수석> "국회에게 국무총리 선출권을 주는 것은 '분권'이라는 이름 아래 변형된 의원내각제를 대통령제로 포장한 것에 불과합니다."

대통령 개헌안에 이미 총리권한 강화, 감사원 독립 등 다양한 권한 분산 방안이 포함됐다는 입장입니다.

하지만 절충점이 아예 없는 건 아니라는 관측도 적지 않습니다.

아이디어 차원이기 하지만, 정치권 일각에선 국회의 총리 인준 기준 강화나 총리 복수추천 방안 등도 거론됩니다.

국회에 주어진 시간은 이제 40여일 뿐.

개헌쟁점을 더욱 명확히 좁힌 여야의 협상에 가속도가 붙을지 주목됩니다.

연합뉴스TV 이준삼입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41(기사문의·제보)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