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대주주 책임 우선"…GM "합리적"

[뉴스리뷰]

[앵커]

한국GM을 어떻게 살릴지 정부와 미국 제너럴모터스간 협상이 본격화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대주주의 책임있는 역할 등 3원칙을 GM에 제시했고, GM 측은 일단 이를 받아들였는데요.

정부는 구체적 지원 여부는 실사가 끝나야 결정할 수 있다는 입장입니다.

정주희 기자입니다.

[기자]

GM 측이 산업은행에 이어 기획재정부,산업통상자원부 차관 등 정부 인사들과 잇따라 만났습니다.

한국GM을 살릴 방안을 놓고 본격 줄다리기가 시작된 것입니다.

정부는 협상 원칙을 제시했습니다.

대주주의 책임있는 역할, 주주, 채권자, 노조 등 이해관계자의 고통분담, 지속가능한 경영정상화 방안 마련 세 가지입니다.

문재인 대통령에게 한국GM 문제를 보고한 김동연 부총리는 이같은 원칙에 대해 GM 측도 합리적이라고 평가했다고 전했습니다.

정부는 신속한 실사 필요성도 강조했습니다.

GM의 요구를 그대로 받을 수 없고 실사를 해야 지원 여부와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GM의 요구는 크게 4가지입니다.

이달 말 만기인 대출금 5억8천만 달러, 6천300억원에 대해 한국GM 공장을 담보로 달라는 것, 한국GM이 빌려간 돈을 출자전환하는 대신 산업은행도 지분비율 따라 참여하라는 것, 그리고 외국인 투자기업 세제혜택입니다.

정부와 산업은행은 부평공장 담보제공은 거부 의사를 분명히 했습니다.

GM이 공장을 판 뒤 철수할 위험이 있기 때문입니다.

또 GM이 한국GM에 빌려준 돈 27억 달러,약 3조원을 출자전환하는 것에 맞춰 산업은행도 출자하라는 요구 역시 부정적입니다.

3원칙에서 밝힌대로 대주주가 부실을 우선 책임져야 고통분담 방안도 고려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정부는 아울러 GM이 자사의 신차 배정일정에 맞춰 일방적으로 2월 말로 설정한 지원방안 결정시한에는 휘둘리지 않는다는 입장입니다.

연합뉴스TV 정주희입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41(기사문의ㆍ제보)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