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뱃돈 AI로 굴려볼까?…은행권 로봇 경쟁 본격화

[뉴스리뷰]

[앵커]

은행들이 로봇 투자자문 서비스를 출시하고 나서면서 고액 자산가의 전유물과도 같던 자산관리 서비스를 소액 투자자도 받을 수 있게 됐습니다.

이번 설 세뱃돈 받으신 분들 맞춤형 투자전략을 제시해주는 인공지능을 통해 투자해보는 것은 어떨까요?

정주희 기자입니다.

[기자]

KB국민은행의 로보어드바이저, '케이봇 쌤'입니다.

투자자의 경제 상황과 투자 성향, 자산 규모 등을 스스로 학습·분석하고 국내외 경제 상황을 모두 따져 맞춤형 투자 전략을 제시합니다.

고액 자산가들에게만 국한됐던 자산관리 서비스를 100만원 미만의 소액 투자자들도 받을 수 있게 된 것입니다.

로봇이 짠 포트폴리오 뿐만 아니라 투자 전문가의 포트폴리오까지 함께 제시하면서 투자자의 선택지를 넓힌 것도 특징입니다.

<조환영 / KB국민은행 WM투자전략부 차장> "시장·금융 위기나 쇼크가 왔을 때 좀 패닉에 빠진다거나 잘못된 편견으로 결정을 잘못하는 부분을 로봇은 좀 더 합리적이고 객관적으로 상황을 판단해서 리스크관리 측면에서 좀 더 안정적…"

모바일로도 쉽게 인공지능의 투자자문을 받을 수 있습니다.

신한은행의 '엠폴리오'입니다.

간단한 절차에 따라 스마트폰으로 투자성향을 설정했습니다.

투자금액에 50만원을 입력하자 바로 맞춤혐 포트폴리오가 짜여져 나왔습니다.

로봇 투자자문 경쟁은 전 은행권으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우리은행과 KEB하나은행은 관련 서비스를 시작했고 NH농협은행도 퇴직연금에 국한된 서비스를 올해 일반 펀드에까지 적용할 계획입니다.

연합뉴스TV 정주희입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41(기사문의ㆍ제보)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