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번지] 김정은, 남북 후속조치 지시…북미대화 가능성?
<출연 : 봉영식 연세대 통일연구원 전문연구원ㆍ신인균 자주국방네트워크 대표>
평창 동계올림픽을 계기로 남북한의 해빙 분위기가 무르익는 가운데 북한 김정은 위원장이 북측 대표단의 방남에 대만족을 표시하면서 후속조치를 지시했습니다.
또다시 파격적인 제안이 나올지 주목됩니다.
한편 문재인 대통령은 미국도 북한과 대화 의사가 있다고 밝혀 배경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간 봉영식 연세대 통일연구원 전문연구원, 신인균 자주국방네트워크 대표 두분 모시고 한반도 정세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질문 1> 북한 김정은 노동당위원장이 김여정 등 북한 고위급대표단과 예술단의 방남결과를 보고받고 크게 만족감을 표시하면서 여동생 김여정과 왼팔을 감싸며 활짝 웃는 기념사진도 공개했는데요. 이런 모습을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요?
<질문 1-1> 김정은이 "화해 대화 분위기를 승화시키는 게 중요하다"면서 남북관계 개선과 관련한 지시도 했다는데, 북한의 향후 행보를 어떻게 예상하십니까. 또다른 파격 제안을 해올 가능성도 있을까요?
<질문 2> 북한의 남북정상회담 제안에 이어 우리 측의 특사파견 등 남북대화가 급물살을 탈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되자, 청와대에서는 오히려 "언론보도를 한 템포만 늦춰달라"는 등 속도조절 기류도 엿보입니다. 어떤 의미로 봐야 할까요?
<질문 2-1> 문재인 대통령이 라트비아 대통령과의 회담에서 "미국도 남북대화를 긍정적으로 보고 있으며 북한과 대화 의사를 밝혔다"고 말했습니다. 미국 언론에서도 미국의 대북 접근방식에 변화 조짐을 보인다는 관측이 나왔는데요.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북한 고위급 대표단 방남에 대해 여전히 '침묵'을 지키는데, 지금 백악관의 기류를 어떻게 봐야 할까요?
<질문 3> 남북대화 분위기가 무르익고 있지만 당장 올림픽 후로 예정된 한미연합군사훈련이 변수입니다. 이미 올림픽 때문에 한차례 연기된 바 있는데, 다시 연기할 가능성이 있을까요?
<질문 4> 미국 정보수장(댄 코츠 국가정보국(DNI) 국장)이 미 상원 정보위에서 북한의 핵 위협에 대해 "어떻게 대응할지 결정의 시간이 어느 때보다 가까워지고 있다"면서 "올해 더 많은 미사일 발사시험을 강행할 것 같다"고 전망했습니다. 앞서 북한 입장을 대변하는 조총련 조선신보는 "대화중에는 핵실험을 중단할 것"이라고 했는데요. 북한의 향후 행보를 어떻게 전망하십니까?
<질문 5> 김정일의 장남 김정남이 말레이시아에서 암살된 지 어제로 꼭 1년이 됐는데요. 이런 가운데 일본 NHK에서 흥미로운 보도가 나왔습니다. 김정남이 처형된 것은 장성택이 김정남을 후계자로 하고 싶다는 발언이 도화선이 됐다는 것인데, 그럴 가능성이 있을까요?
지금까지 봉영식 연세대 통일연구원 전문연구원, 신인균 자주국방네트워크 대표였습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41(기사문의ㆍ제보) 카톡/라인 jebo23
(끝)
<출연 : 봉영식 연세대 통일연구원 전문연구원ㆍ신인균 자주국방네트워크 대표>
평창 동계올림픽을 계기로 남북한의 해빙 분위기가 무르익는 가운데 북한 김정은 위원장이 북측 대표단의 방남에 대만족을 표시하면서 후속조치를 지시했습니다.
또다시 파격적인 제안이 나올지 주목됩니다.
한편 문재인 대통령은 미국도 북한과 대화 의사가 있다고 밝혀 배경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시간 봉영식 연세대 통일연구원 전문연구원, 신인균 자주국방네트워크 대표 두분 모시고 한반도 정세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질문 1> 북한 김정은 노동당위원장이 김여정 등 북한 고위급대표단과 예술단의 방남결과를 보고받고 크게 만족감을 표시하면서 여동생 김여정과 왼팔을 감싸며 활짝 웃는 기념사진도 공개했는데요. 이런 모습을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요?
<질문 1-1> 김정은이 "화해 대화 분위기를 승화시키는 게 중요하다"면서 남북관계 개선과 관련한 지시도 했다는데, 북한의 향후 행보를 어떻게 예상하십니까. 또다른 파격 제안을 해올 가능성도 있을까요?
<질문 2> 북한의 남북정상회담 제안에 이어 우리 측의 특사파견 등 남북대화가 급물살을 탈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되자, 청와대에서는 오히려 "언론보도를 한 템포만 늦춰달라"는 등 속도조절 기류도 엿보입니다. 어떤 의미로 봐야 할까요?
<질문 2-1> 문재인 대통령이 라트비아 대통령과의 회담에서 "미국도 남북대화를 긍정적으로 보고 있으며 북한과 대화 의사를 밝혔다"고 말했습니다. 미국 언론에서도 미국의 대북 접근방식에 변화 조짐을 보인다는 관측이 나왔는데요.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북한 고위급 대표단 방남에 대해 여전히 '침묵'을 지키는데, 지금 백악관의 기류를 어떻게 봐야 할까요?
<질문 3> 남북대화 분위기가 무르익고 있지만 당장 올림픽 후로 예정된 한미연합군사훈련이 변수입니다. 이미 올림픽 때문에 한차례 연기된 바 있는데, 다시 연기할 가능성이 있을까요?
<질문 4> 미국 정보수장(댄 코츠 국가정보국(DNI) 국장)이 미 상원 정보위에서 북한의 핵 위협에 대해 "어떻게 대응할지 결정의 시간이 어느 때보다 가까워지고 있다"면서 "올해 더 많은 미사일 발사시험을 강행할 것 같다"고 전망했습니다. 앞서 북한 입장을 대변하는 조총련 조선신보는 "대화중에는 핵실험을 중단할 것"이라고 했는데요. 북한의 향후 행보를 어떻게 전망하십니까?
<질문 5> 김정일의 장남 김정남이 말레이시아에서 암살된 지 어제로 꼭 1년이 됐는데요. 이런 가운데 일본 NHK에서 흥미로운 보도가 나왔습니다. 김정남이 처형된 것은 장성택이 김정남을 후계자로 하고 싶다는 발언이 도화선이 됐다는 것인데, 그럴 가능성이 있을까요?
지금까지 봉영식 연세대 통일연구원 전문연구원, 신인균 자주국방네트워크 대표였습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41(기사문의ㆍ제보)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