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번지] 문 대통령 '한미훈련 연기' 제안…북미 호응할까
<출연 : 김정봉 한국융합안보연구원 북한연구센터장ㆍ신범철 국립외교원 교수>
문재인 대통령이 북한의 도발 중단을 전제로 평창 동계올림픽 기간 한미 군사훈련을 연기할 것을 검토하겠다고 제안했습니다.
그러면서 북한의 올림픽 참가도 희망했습니다.
북한 김정은이 과연 어떤 판단을 할지 주목됩니다.
한편 도널드 트럼프 미국 정부가 새로운 국가안보전략을 발표하자 중국과 러시아는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습니다.
이 시간 김정봉 한국융합안보연구원 북한연구센터장, 신범철 국립외교원 교수 두분 모시고 자세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질문 1> 문 대통령이 미국 NBC 방송과 인터뷰에서 내년 2월 평창 올림픽 때까지 북한이 도발을 멈추면 한미 군사훈련을 연기할 수 있다고 제안했습니다. 이 시점에서 문 대통령이 이런 제안을 한 배경이 뭘까요?
<질문 1-1> 그런데 틸러슨 미국장관은 캐나다 외무장관과 회동 후 가진 기자회견에서 북한의 도발 중단 시 평창올림픽 기간에 예정된 한미 합동군사훈련 연기를 검토할 수 있다는 문재인 대통령의 미 NBC방송 인터뷰 발언과 관련한 질문에 "한국이나 일본의 동맹과 오랫동안 해온 정기 군사훈련을 멈추는 어떠한 계획도 알지 못한다"고 말했습니다.
<질문 1-2> 문제는 김정은의 태도입니다. 도발을 할지, 멈출지, 올림픽에 참가할지 문 대통령 말대로 모든 게 북한의 선택에 달려있는 문제인데요. 어떻게 전망하십니까?
<질문 1-3> 이런 제안에 호응하기는 커녕 오히려 추가 도발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데요. 최근 김정은이 백두산을 등정하고, 홀로 금수산태양궁정 참배한 것이나 뭔가 꿍꿍이가 있어보이는데요. 신년사를 보면 알까요.
<질문 2>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취임 첫해 미 행정부의 새 국가안보전략(NSS) 보고서가 발표됐습니다. 미국 우선주의와 힘을 통한 평화, 그리고 북한은 17번이나 언급한 것 등 여러 가지 의미를 담고 있는데, 전반적으로 어떻게 평가하십니까?
<질문 3> 미국은 한미일 MD 협력을 강조해 한중간 '3불' 정책과도 분명한 입장 차이를 보였습니다. 우리가 미국과 중국 사이에 끼여 샌드위치 신세가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는데,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3-1> 북한과 무조건 대화를 제안했던 틸러슨 미 국무장관이 "북한이 대화 준비돼 있지 않으면 대화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맥매스터 미 백악관 국가안보회의 보좌관도 영국 BBC방송과 인터뷰에서 지금은 대화할 때가 아니다며 평화적 해결 바라지만 모든 옵션 테이블에 올라와 있다는 얘길 또 했습니다. 북한도 틸러슨 대화 발언에 "흥미없다"는 반응을 보였는데, 북미 대화 가능성도 점점 멀어지는 건가요?
<질문 4> 한편 미 백악관이 지난 6월 전 세계 병원과 은행, 기업 네트워크를 마비시킨 '워너크라이'(WannaCry) 사이버 공격의 배후로 북한을 공식 지목했습니다. 미 정부가 공식적으로 확인한 건 처음인데,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4-1> 제재로 돈줄이 막힌 북한이 가상화폐에 눈독을 들이고 있으며, 거래소를 해킹할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도 전문가들 사이에 나오고 있습니다. 어떻게 전망하십니까?
<질문 5> 이런 가운데 북한내에선 권력투쟁, 숙청설이 끊이지 않습니다. 황병서가 강등되고 김원홍이 농장으로 갔다는 정보가 있는가 하면, 북한 핵시설 책임자가 숙청당했다는 일본 언론의 보도도 나왔습니다.
<질문 6> 강경화 외교부장관이 일본을 방문해 일본 외무상과 아베 신조 총리를 만났습니다. 대북 압박에 대해서는 한목소리를 냈습니다만 위안부 문제 등 과거 역사 문제에 대해서는 여전히 평행선인 것 같습니다.
지금까지 김정봉 한국융합안보연구원 북한연구센터장, 신범철 국립외교원 교수였습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41(기사문의·제보) 카톡/라인 jebo23
(끝)
<출연 : 김정봉 한국융합안보연구원 북한연구센터장ㆍ신범철 국립외교원 교수>
문재인 대통령이 북한의 도발 중단을 전제로 평창 동계올림픽 기간 한미 군사훈련을 연기할 것을 검토하겠다고 제안했습니다.
그러면서 북한의 올림픽 참가도 희망했습니다.
북한 김정은이 과연 어떤 판단을 할지 주목됩니다.
한편 도널드 트럼프 미국 정부가 새로운 국가안보전략을 발표하자 중국과 러시아는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습니다.
이 시간 김정봉 한국융합안보연구원 북한연구센터장, 신범철 국립외교원 교수 두분 모시고 자세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질문 1> 문 대통령이 미국 NBC 방송과 인터뷰에서 내년 2월 평창 올림픽 때까지 북한이 도발을 멈추면 한미 군사훈련을 연기할 수 있다고 제안했습니다. 이 시점에서 문 대통령이 이런 제안을 한 배경이 뭘까요?
<질문 1-1> 그런데 틸러슨 미국장관은 캐나다 외무장관과 회동 후 가진 기자회견에서 북한의 도발 중단 시 평창올림픽 기간에 예정된 한미 합동군사훈련 연기를 검토할 수 있다는 문재인 대통령의 미 NBC방송 인터뷰 발언과 관련한 질문에 "한국이나 일본의 동맹과 오랫동안 해온 정기 군사훈련을 멈추는 어떠한 계획도 알지 못한다"고 말했습니다.
<질문 1-2> 문제는 김정은의 태도입니다. 도발을 할지, 멈출지, 올림픽에 참가할지 문 대통령 말대로 모든 게 북한의 선택에 달려있는 문제인데요. 어떻게 전망하십니까?
<질문 1-3> 이런 제안에 호응하기는 커녕 오히려 추가 도발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데요. 최근 김정은이 백두산을 등정하고, 홀로 금수산태양궁정 참배한 것이나 뭔가 꿍꿍이가 있어보이는데요. 신년사를 보면 알까요.
<질문 2>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취임 첫해 미 행정부의 새 국가안보전략(NSS) 보고서가 발표됐습니다. 미국 우선주의와 힘을 통한 평화, 그리고 북한은 17번이나 언급한 것 등 여러 가지 의미를 담고 있는데, 전반적으로 어떻게 평가하십니까?
<질문 3> 미국은 한미일 MD 협력을 강조해 한중간 '3불' 정책과도 분명한 입장 차이를 보였습니다. 우리가 미국과 중국 사이에 끼여 샌드위치 신세가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는데,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3-1> 북한과 무조건 대화를 제안했던 틸러슨 미 국무장관이 "북한이 대화 준비돼 있지 않으면 대화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맥매스터 미 백악관 국가안보회의 보좌관도 영국 BBC방송과 인터뷰에서 지금은 대화할 때가 아니다며 평화적 해결 바라지만 모든 옵션 테이블에 올라와 있다는 얘길 또 했습니다. 북한도 틸러슨 대화 발언에 "흥미없다"는 반응을 보였는데, 북미 대화 가능성도 점점 멀어지는 건가요?
<질문 4> 한편 미 백악관이 지난 6월 전 세계 병원과 은행, 기업 네트워크를 마비시킨 '워너크라이'(WannaCry) 사이버 공격의 배후로 북한을 공식 지목했습니다. 미 정부가 공식적으로 확인한 건 처음인데,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4-1> 제재로 돈줄이 막힌 북한이 가상화폐에 눈독을 들이고 있으며, 거래소를 해킹할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도 전문가들 사이에 나오고 있습니다. 어떻게 전망하십니까?
<질문 5> 이런 가운데 북한내에선 권력투쟁, 숙청설이 끊이지 않습니다. 황병서가 강등되고 김원홍이 농장으로 갔다는 정보가 있는가 하면, 북한 핵시설 책임자가 숙청당했다는 일본 언론의 보도도 나왔습니다.
<질문 6> 강경화 외교부장관이 일본을 방문해 일본 외무상과 아베 신조 총리를 만났습니다. 대북 압박에 대해서는 한목소리를 냈습니다만 위안부 문제 등 과거 역사 문제에 대해서는 여전히 평행선인 것 같습니다.
지금까지 김정봉 한국융합안보연구원 북한연구센터장, 신범철 국립외교원 교수였습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41(기사문의·제보)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