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번지] 트럼프 방한 앞두고…북한, 추가도발 가능성
<출연 : 한국융합안보연구원 김정봉 북한연구센터장>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방한이 임박한 가운데 북한의 향후 정세를 놓고 여러가지 관측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국정원은 북한이 조만간 미사일 도발을 재개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한편 태영호 전 영국주재 북한공사는 미국 의회에서 북한판 아랍의 봄도 가능하다고 증언해 관심을 모았습니다.
이 시간 김정봉 한국융합안보연구원 북한연구센터장 모시고 자세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질문 1> 청와대가 오늘 오는 7일 방한하는 트럼프 대통령의 공식 일정을 공개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어제 B-1B 폭격기 2대가 다시 한반도에 출격해 폭격훈련을 했고 북한은 "최후의 발악"이라며 즉각 반발했습니다. 트럼프의 이번 순방에 대해서는 북한도 촉각을 곤두세울 것으로 보이는데 전반적으로 이 기간 한반도 정세를 어떻게 전망하십니까?
<질문 1-1> 청와대가 어제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 주재로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를 열고 대북 독자제재 방안을 논의했다고 합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방한에 앞서 내주 초 대북 독자제재 조치를 발표할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북한을 자극하지는 않을까요?
<질문 2> 한국이 지난달 한미 연례안보협의회에서 조인트스타스(JSTARS) 지상감시 전략정찰기의 도입 의사를 최우선적으로 미국에 타진한 것은 이 전략정찰기의 막강한 감시능력 때문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어떤 무기입니까? 해외판매를 엄격히 제한한 전략무기라는데 도입이 가능할까요?
<질문 3> 태영호 전 영국주재 북한 공사가 미국을 처음 방문해 여러가지 이야기를 했는데요. 특히 김정은 1인체제의 북한 동향과 관련해 이미 많은 변화가 진행되고 있고 북한판 '아랍의 봄'도 가능하다는 언급을 해 관심을 모았습니다. 공감하십니까?
<질문 3-1> 국정원은 어제 국정감사에서 김정은 노동당위원장이 한동안 중단했던 본보기식 숙청을 재개해 노동신문사 간부 수명을 '미사일 발사 축하행사를 1면에 게재하지 않았다'는 죄목으로 혁명화 조치했고 평양 고사포부대 장치부장을 부패 혐의로 처형했다고 밝혔습니다. 사실일까요?
<질문 4> 최근 일본의 한 방송이 북한의 6차 핵실험 이후 핵실험장인 지하갱도에서 대규모 붕괴 사고가 일어나 200여명이 숨졌을 것이라는 보도가 나오자 북한이 "허위 모략"이라고 반발했습니다. 진상이 무엇일까요?
<질문 4-1> 대규모 인명피해가 있었는지 없었는지는 확인할 수 없어도 풍계리 갱도 일부가 사실상 붕괴됐다는 등 이상 징후에 대한 정보는 여러 곳에서 확인되고 있습니다.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5> 어제 국감에서 국정원이 보고한 바에 따르면 북한이 조만간 미사일 추가 시험발사를 할 가능성이 있다고 예상했습니다. 만약 한다면 언제 어떤 형태의 도발을 할 것으로 예상하십니까?
지금까지 김정봉 한국융합안보연구원 북한연구센터장이었습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41(기사문의·제보) 카톡/라인 jebo23
(끝)
<출연 : 한국융합안보연구원 김정봉 북한연구센터장>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방한이 임박한 가운데 북한의 향후 정세를 놓고 여러가지 관측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국정원은 북한이 조만간 미사일 도발을 재개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한편 태영호 전 영국주재 북한공사는 미국 의회에서 북한판 아랍의 봄도 가능하다고 증언해 관심을 모았습니다.
이 시간 김정봉 한국융합안보연구원 북한연구센터장 모시고 자세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질문 1> 청와대가 오늘 오는 7일 방한하는 트럼프 대통령의 공식 일정을 공개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어제 B-1B 폭격기 2대가 다시 한반도에 출격해 폭격훈련을 했고 북한은 "최후의 발악"이라며 즉각 반발했습니다. 트럼프의 이번 순방에 대해서는 북한도 촉각을 곤두세울 것으로 보이는데 전반적으로 이 기간 한반도 정세를 어떻게 전망하십니까?
<질문 1-1> 청와대가 어제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 주재로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를 열고 대북 독자제재 방안을 논의했다고 합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방한에 앞서 내주 초 대북 독자제재 조치를 발표할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북한을 자극하지는 않을까요?
<질문 2> 한국이 지난달 한미 연례안보협의회에서 조인트스타스(JSTARS) 지상감시 전략정찰기의 도입 의사를 최우선적으로 미국에 타진한 것은 이 전략정찰기의 막강한 감시능력 때문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어떤 무기입니까? 해외판매를 엄격히 제한한 전략무기라는데 도입이 가능할까요?
<질문 3> 태영호 전 영국주재 북한 공사가 미국을 처음 방문해 여러가지 이야기를 했는데요. 특히 김정은 1인체제의 북한 동향과 관련해 이미 많은 변화가 진행되고 있고 북한판 '아랍의 봄'도 가능하다는 언급을 해 관심을 모았습니다. 공감하십니까?
<질문 3-1> 국정원은 어제 국정감사에서 김정은 노동당위원장이 한동안 중단했던 본보기식 숙청을 재개해 노동신문사 간부 수명을 '미사일 발사 축하행사를 1면에 게재하지 않았다'는 죄목으로 혁명화 조치했고 평양 고사포부대 장치부장을 부패 혐의로 처형했다고 밝혔습니다. 사실일까요?
<질문 4> 최근 일본의 한 방송이 북한의 6차 핵실험 이후 핵실험장인 지하갱도에서 대규모 붕괴 사고가 일어나 200여명이 숨졌을 것이라는 보도가 나오자 북한이 "허위 모략"이라고 반발했습니다. 진상이 무엇일까요?
<질문 4-1> 대규모 인명피해가 있었는지 없었는지는 확인할 수 없어도 풍계리 갱도 일부가 사실상 붕괴됐다는 등 이상 징후에 대한 정보는 여러 곳에서 확인되고 있습니다.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5> 어제 국감에서 국정원이 보고한 바에 따르면 북한이 조만간 미사일 추가 시험발사를 할 가능성이 있다고 예상했습니다. 만약 한다면 언제 어떤 형태의 도발을 할 것으로 예상하십니까?
지금까지 김정봉 한국융합안보연구원 북한연구센터장이었습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41(기사문의·제보)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