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포커스] 신고리공론화위, 5·6호기 '건설 재개' 권고
<출연 :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서균렬 교수ㆍ탈핵경남시민행동 박종권 대표>
신고리 5, 6호기 건설을 계속할지 아니면 백지화 할지를 가늠하는 공론화위원회의 '최종 권고안'이 잠시 뒤 발표됩니다.
찬성과 반대, 양측의 팽팽한 줄다리기 속에 어떤 결론이 나오더라도 심각한 후유증이 예상된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서균렬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교수, 박종권 탈핵경남시민행동 대표 모시고 관련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질문 1> 신고리 원전 5·6호기의 운명이 결정됐습니다. 두 분은 공론화위원회의 결과 발표를 어떻게 평가하십니까?
<질문 2> 신고리 운명이 결정이 났지만 후폭풍도 거셀 것으로 예상되는데 앞으로 반대 입장에서는 어떤 태도를 보일 것이라 예상하십니까?
<질문 3> 문재인 정부는 어쨌든 탈원전 정책을 선언한 상황인데 신고리 5·6호기 공사 재개 여부에 상관없이 탈원전 정책 기조는 유지하게 되는 것인가요?
<질문 4> 지역 주민들은 일본 후쿠시마와 같은 사고로 인해 원전에 대한 불안감을 느끼지만 원전 재개 측에서는 우리의 원전의 안전성이 세계 최고 수준이라고 주장해 왔는데 그 근거는 어디에 있었습니까?
<질문 5> 신고리 5·6호기 건설 중단을 요구하는 측은 원전밀집도 및 핵폐기물에 따른 위험성을 근거로 주장을 해왔는데 핵폐기물 이 부분은 어떻게 해결 가능한 것입니까?
<질문 6> 세계 최대의 원전 밀집지역으로 알려진 부산ㆍ울산 지역, 신고리 5·6호기가 건설되면 전 세계 원전 186개 중 가장 많은 9개가 이 곳에 자리 잡게 된다고요?
<질문 7> 오늘 공론위 결과도 안전성과 경제성 가운데 '경제성'에 무게를 둔 결과를 도출한 것인데 그렇다면 앞으로 '안전성' 부분을 어떻게 극복해 나가느냐가 관건이 되겠죠?
연합뉴스TV : 02-398-4441(기사문의·제보) 카톡/라인 jebo23
(끝)
<출연 :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서균렬 교수ㆍ탈핵경남시민행동 박종권 대표>
신고리 5, 6호기 건설을 계속할지 아니면 백지화 할지를 가늠하는 공론화위원회의 '최종 권고안'이 잠시 뒤 발표됩니다.
찬성과 반대, 양측의 팽팽한 줄다리기 속에 어떤 결론이 나오더라도 심각한 후유증이 예상된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서균렬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교수, 박종권 탈핵경남시민행동 대표 모시고 관련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질문 1> 신고리 원전 5·6호기의 운명이 결정됐습니다. 두 분은 공론화위원회의 결과 발표를 어떻게 평가하십니까?
<질문 2> 신고리 운명이 결정이 났지만 후폭풍도 거셀 것으로 예상되는데 앞으로 반대 입장에서는 어떤 태도를 보일 것이라 예상하십니까?
<질문 3> 문재인 정부는 어쨌든 탈원전 정책을 선언한 상황인데 신고리 5·6호기 공사 재개 여부에 상관없이 탈원전 정책 기조는 유지하게 되는 것인가요?
<질문 4> 지역 주민들은 일본 후쿠시마와 같은 사고로 인해 원전에 대한 불안감을 느끼지만 원전 재개 측에서는 우리의 원전의 안전성이 세계 최고 수준이라고 주장해 왔는데 그 근거는 어디에 있었습니까?
<질문 5> 신고리 5·6호기 건설 중단을 요구하는 측은 원전밀집도 및 핵폐기물에 따른 위험성을 근거로 주장을 해왔는데 핵폐기물 이 부분은 어떻게 해결 가능한 것입니까?
<질문 6> 세계 최대의 원전 밀집지역으로 알려진 부산ㆍ울산 지역, 신고리 5·6호기가 건설되면 전 세계 원전 186개 중 가장 많은 9개가 이 곳에 자리 잡게 된다고요?
<질문 7> 오늘 공론위 결과도 안전성과 경제성 가운데 '경제성'에 무게를 둔 결과를 도출한 것인데 그렇다면 앞으로 '안전성' 부분을 어떻게 극복해 나가느냐가 관건이 되겠죠?
연합뉴스TV : 02-398-4441(기사문의·제보)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