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고리 운명의 날 앞두고 여야, 탈원전 충돌

[뉴스리뷰]

[앵커]

여야는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을 놓고도 격돌했습니다.

탈원전은 시기상조라는 한국당 주장에 민주당은 원전의 위험성을 여야 탈원전 충돌 집중 거론하며 정당성을 피력했습니다.

임광빈 기자입니다.

[기자]

원자력안전위원회와 한국수력원자력을 상대로 한 국정감사에서도 정부의 '탈원전 정책'은 최대 쟁점이 됐습니다.

핵심설비인 증기발생기에서 최근 망치가 발견된 한국형 원전 한빛4호기를 사례로 '안전성 문제'가 집중 거론됐습니다.

<김성수 / 더불어민주당 의원> "망치가 돌아다니면서 쇠관을 때렸으면 가스가 당연히 누출됐을 것이고, 상당히 위험한 사고가 났을텐데, 그것을 그대로 방치했다는 것 아닙니까. 20년 동안."

<추혜선 / 정의당 의원> "한빛 3·4호기. 5공시절인 1986년 계약 당시부터 현재까지 총체적 부실 논란에 쌓여 있습니다. 5공 청문회에서 전두환씨 비자금 창구라 의혹이 불거졌고요."

신고리 5·6호기의 '운명'을 좌우할 공론화위원회의 최종결정을 앞두고, 위원회 설립의 적법성 여부도 논란이 됐습니다.

<강효상 / 자유한국당 의원> "법적 지위가 모호한 공론화위의 최종의견을 받아 정부가 최종 결정하는 것을 결코 수용할 수 없다는 점을 분명히 합니다."

<김경진 / 국민의당 의원> "대통령이 공약으로 얘기했다는 이유로 법적 개정절차가 하나도 들어가지 않고 전력 수급계획도 검토 안 된 부분에서 마구잡이로 밀어붙이는 것 아니겠습니까."

한국당 의원들은 '탈원전 정책'을 비판하는 종이를 노트북 겉면에 붙인 채 질의를 이어갔고, 방어에 나선 민주당 의원들은 공론화위원회의 조사결과 발표를 앞두고 있는 만큼 논란이 확산되는 것을 자제하는 데 주력했습니다.

연합뉴스TV 임광빈입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41(기사문의·제보)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