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번지] 움직임 없는 북한…트럼프의 '말폭탄' 효과 있었나?
<출연 : 장광일 동양대 국방기술대학장>
미국이 북한에 대한 무력압박 시위에 나선 가운데 북한은 이 시각 현재까지 별다른 도발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김정은의 속내가 뭔지 궁금해 지고 있습니다.
이 시간 국방부 정책실장을 지낸 장광일 동양대 국방기술대학장 모시고 자세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어서오십시오.
<질문 1> 북한이 노동당 창건일을 조용히 넘긴 데 이어 미군의 전략폭격기 B-1B가 한밤중에 한반도 내륙을 가로지르는 무력시위를 벌였는데도, 아무런 대응을 하지 않고 있습니다. 북한이 레이더가 포착을 하고도 출격을 하지 않은 건가요?
<질문 1-1> 지난달 15일 일본 상공을 넘어 화성-12형 중장거리탄도미사일을 발사한 지 27일 지났지만 도발이없는데요. 워낙 자주 도발을 해왔기 때문에 이례적으로도 비쳐집니다. 내부결속에 바쁜 탓이라거나 도발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시기를 저울질한다는 등 해석이 분분한데,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2> 오는 18일 중국 제19차 당 대회 무렵 도발 가능성도 제기되는데요. 만약 도발한다면 중국이 발끈할것이고, 북중관계는 더 악화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김정은이 중국을 자극할 행동을 할까요?
<질문 2-1> 이런 가운데 중국 공안 당국이 이달 초 북·중 접경지역 한인 교민 사회 관계자 10여명에게 '북한의 납치·테러 가능성'을 언급하며 당분간 귀국을 권고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상당히 이례적인 일인데요.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3> 미국은 트럼프 대통령과 미 국방장관이 군사옵션에 무게를 싣는 언급을 계속하고 있습니다. 이번 B-1B 전략폭격기 2대가 무력시위를 벌일 때도 트럼프는 백악관 상황실에서 군사옵션 등에 대한 보고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미국은 지금 상황을 어떻게 판단하고 있을까요?
<질문 4> 북한의 움직임 없다보니 트럼프 대통령의 대북 강경 발언이 효과를 본 것 아닌가 이런 분석도 나옵니다. 대북·대중 압박에 효과가 있었다는가 하면, 상황을 악화시킬 위험이 있다고 지적도 나오는데, 어떻게생각하십니까?
<질문 5> 유엔 총회에서 트럼프에 큰 소리를 쳤던 북한 리용호 외무상이 러시아 언론에 "핵무기 대상 협상에는 동의 못한다' 고 못을 밖았습니다. 북미간 대화나 협상 가능성은 사실상 희박하다고 봐야 할까요?
<질문 6> 지난 7일 노동당 중앙위 전원회의 이후 북한 내의 권력구도 변화가 계속 주목받고 있습니다. 특히 이번에 김정은 여동생 김여정이 급부상하면서 과거 김정일과 김경희의 관계가 새삼 비교대상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김정은과 비교해 김정은의 '남매 정치' 를 어떻게 봐야 할까요?
<질문 6-1> 김정은의 집권 6년차로 접어들면서 북한의 권력 지형 변화를 가리켜 이른바 '운구차 7인방' 이 지고 이른바 '삼지연 8인방'이 재조명을 받고 있습니다. 이들 삼지연 8인방이 '김정은 시대의 주축' 이라고 봐도 될까요?
지금까지 장광일 동양대 국방기술대학장이었습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41(기사문의ㆍ제보) 카톡/라인 jebo23
(끝)
<출연 : 장광일 동양대 국방기술대학장>
미국이 북한에 대한 무력압박 시위에 나선 가운데 북한은 이 시각 현재까지 별다른 도발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김정은의 속내가 뭔지 궁금해 지고 있습니다.
이 시간 국방부 정책실장을 지낸 장광일 동양대 국방기술대학장 모시고 자세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어서오십시오.
<질문 1> 북한이 노동당 창건일을 조용히 넘긴 데 이어 미군의 전략폭격기 B-1B가 한밤중에 한반도 내륙을 가로지르는 무력시위를 벌였는데도, 아무런 대응을 하지 않고 있습니다. 북한이 레이더가 포착을 하고도 출격을 하지 않은 건가요?
<질문 1-1> 지난달 15일 일본 상공을 넘어 화성-12형 중장거리탄도미사일을 발사한 지 27일 지났지만 도발이없는데요. 워낙 자주 도발을 해왔기 때문에 이례적으로도 비쳐집니다. 내부결속에 바쁜 탓이라거나 도발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시기를 저울질한다는 등 해석이 분분한데,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2> 오는 18일 중국 제19차 당 대회 무렵 도발 가능성도 제기되는데요. 만약 도발한다면 중국이 발끈할것이고, 북중관계는 더 악화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김정은이 중국을 자극할 행동을 할까요?
<질문 2-1> 이런 가운데 중국 공안 당국이 이달 초 북·중 접경지역 한인 교민 사회 관계자 10여명에게 '북한의 납치·테러 가능성'을 언급하며 당분간 귀국을 권고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상당히 이례적인 일인데요.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3> 미국은 트럼프 대통령과 미 국방장관이 군사옵션에 무게를 싣는 언급을 계속하고 있습니다. 이번 B-1B 전략폭격기 2대가 무력시위를 벌일 때도 트럼프는 백악관 상황실에서 군사옵션 등에 대한 보고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미국은 지금 상황을 어떻게 판단하고 있을까요?
<질문 4> 북한의 움직임 없다보니 트럼프 대통령의 대북 강경 발언이 효과를 본 것 아닌가 이런 분석도 나옵니다. 대북·대중 압박에 효과가 있었다는가 하면, 상황을 악화시킬 위험이 있다고 지적도 나오는데, 어떻게생각하십니까?
<질문 5> 유엔 총회에서 트럼프에 큰 소리를 쳤던 북한 리용호 외무상이 러시아 언론에 "핵무기 대상 협상에는 동의 못한다' 고 못을 밖았습니다. 북미간 대화나 협상 가능성은 사실상 희박하다고 봐야 할까요?
<질문 6> 지난 7일 노동당 중앙위 전원회의 이후 북한 내의 권력구도 변화가 계속 주목받고 있습니다. 특히 이번에 김정은 여동생 김여정이 급부상하면서 과거 김정일과 김경희의 관계가 새삼 비교대상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김정은과 비교해 김정은의 '남매 정치' 를 어떻게 봐야 할까요?
<질문 6-1> 김정은의 집권 6년차로 접어들면서 북한의 권력 지형 변화를 가리켜 이른바 '운구차 7인방' 이 지고 이른바 '삼지연 8인방'이 재조명을 받고 있습니다. 이들 삼지연 8인방이 '김정은 시대의 주축' 이라고 봐도 될까요?
지금까지 장광일 동양대 국방기술대학장이었습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41(기사문의ㆍ제보)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