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번지] 북한, 또 미사일 도발…한반도 정세 요동
<출연: 김정봉 한중대 석좌교수ㆍ신인균 자주국방네트워크 대표>
북한이 사흘만에 또다시 미사일 도발을 감행했습니다.
이번에는 일본 동북지역 상공을 통과해 2천700km를 비행했습니다.
한반도 정세는 또다시 긴장 국면으로 치닫고 있습니다.
이 시간에는 김정봉 한중대 석좌교수, 신인균 자주국방네트워크 대표 두분 모시고 자세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질문 1> 북한이 오늘 오전 5시 57분쯤 평양시 순안 일대에서 탄도미사일 1발을 발사했는데요. 일본 동북지역 상공을 통과해 2천700km를 비행했다고 합니다. 우선 이 미사일의 정체를 어떻게 봐야 할까요?
<질문 2> 북한이 IRBM급 이상의 탄도미사일을 정상각도로 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합니다. 대기권 진입 시험과 관련이 있습니까.
<질문 3> 일본 정부는 발사된 미사일이 공중에서 3개로 분리돼 홋카이도 동쪽에서 낙하한 것으로 추정했는데, 어떤 의미인가요.
<질문 4> 김정은 집권후 정상각도로 발사한 탄도미사일 중 이번이 가장 멀리 날아간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지난 26일 저강도 도발에서 강도를 높인 북한의 속셈은 뭘까요? 다목적 노림수로 분석하기도 하는데, 어떻게 보시는지요?
<질문 5> 발사 장소가 평양 순안비행장 일대라고 하죠. 순안 비행장에서 탄도미사일 발사는 처음입니다. 어떤 의미가 있을까요?
<질문 6> 가장 놀란 쪽은 일본일 것 같습니다. 일부지역에선 피난조치도 취해졌다고 합니다. 북 미사일이 일본 상공을 통과한 것은 5번째라는데요. 영공침범은 아니라는 얘기가 있습니다. 북한 미사일의 길목에 일본이 있는 건데, 일본으로서도 여간 건정이 될 듯 합니다.
<질문 6-1> 일본이 미사일 파괴 시도는 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유가 뭘까요? 실제 요격은 가능한지, 가능하다면 어느 단계에서 요격하는게 가장 효과적일까요.
<질문 7> 일각에선 북한이 일본 상공을 통과해 북태평양으로 미사일을 낙하하도록 한 것도 군사적 대응을 경고한 미국을 직접적으로 자극하지 않으면서 반응을 떠보려는 의도라는 해석도 나옵니다.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8> 문재인 대통령이 오전 국가안전보장회의 내용을 보고받고 "강력한 대북 응징능력을 과시하라"고 지시했습니다. 이에 따라 우리 군은 F15K 전투기 4대를 출격시켜 태백지역에서 폭탄 투하훈련을 실시했는데요. 어떤 의미로 보십니까?
<질문 9> 軍, 800km 탄도미사일 전력화 비행시험 영상도 공개했습니다. 어떤 미사일입니까? 북한을 위협할 수 있는 무기인가요.
<질문 9-1> 문 대통령, 어제 국방부 업무보고에서 북한이 선을 넘는 도발을 하거나 수도권을 공격할 경우 즉각 공세적 작전에 들어가야 한다고 언급했습니다. 북한의 비대칭 전력이 고도화하는 만큼 우리도 그에 맞게 대응해야 한다고도 강조했습니다. 어떤 의미로 보아야 할까요.
<질문 10> 지난 주말만 해도 정부 당국이 저강도 도발이라며 대화 국면 전환 가능성에 기대감을 불러일으켰고, 미국에서도 대화 가능성에 무게를 싣는 분위기였는데요. 그런 점에서 이번 도발은 한미 양국의 예상을 완전히 빗나간 것이라고 볼 수 있을까요?
<질문 11> 정의용 안보실장과 맥매스터 백악관 안보보좌관, 강경화 외무장관과 틸러슨 미국 국무장관이 오늘 전화통화를 갖고 "상황이 매우 엄중하다"는 데 인식을 같이하고 더 강력한 제재방안을 강구키로 했습니다. 이제 북미간 또는 남북간 대화 가능성은 거의 물건너갔다고 볼 수 있을까요?
<질문 12> 을지프리덤가디언연습(UFG)이 31일 종료되는데요. 하지만 다음달 9일 북한정권수립일이나 10월 10일 노동당 창당일까지 또다시 도발을 감행할 가능성이 높아 대비태세를 늦추지 말아야 한다는 지적들이 많습니다. 추가 도발을 할 경우 언제, 어떤 내용의 도발이 이뤄질 가능성이 클까요?
<질문 13> 작년 9월9일 북한은 5차 핵실험을 강행했습니다. 우리 정보당국에 따르면 풍계리 핵실험장은 핵실험 가능상태를유지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조만간 추가 핵실험할 것으로 보세요?
<질문 14> 우리 정부는 그간 북한이 도발이 계속되는데도 대화의 끈을 놓지 않았었는데요. 이번 발사로 지금까지의 스탠스가 바뀔 가능성이 있을까요?
<질문 15> 국정원은 대북제재로 북한 체제에 위기징후는 없지만 일부품목의 생산차질이 빚어지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또 체제에 대한 주민들의 피로감이 증대되자 보위성이 체제불만자를 색출에 나섰다고 합니다. 사실이라면 체제 불만이 팽배하다는 건 아닌가요.
연합뉴스TV : 02-398-4441(기사문의·제보) 카톡/라인 jebo23
(끝)
<출연: 김정봉 한중대 석좌교수ㆍ신인균 자주국방네트워크 대표>
북한이 사흘만에 또다시 미사일 도발을 감행했습니다.
이번에는 일본 동북지역 상공을 통과해 2천700km를 비행했습니다.
한반도 정세는 또다시 긴장 국면으로 치닫고 있습니다.
이 시간에는 김정봉 한중대 석좌교수, 신인균 자주국방네트워크 대표 두분 모시고 자세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질문 1> 북한이 오늘 오전 5시 57분쯤 평양시 순안 일대에서 탄도미사일 1발을 발사했는데요. 일본 동북지역 상공을 통과해 2천700km를 비행했다고 합니다. 우선 이 미사일의 정체를 어떻게 봐야 할까요?
<질문 2> 북한이 IRBM급 이상의 탄도미사일을 정상각도로 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합니다. 대기권 진입 시험과 관련이 있습니까.
<질문 3> 일본 정부는 발사된 미사일이 공중에서 3개로 분리돼 홋카이도 동쪽에서 낙하한 것으로 추정했는데, 어떤 의미인가요.
<질문 4> 김정은 집권후 정상각도로 발사한 탄도미사일 중 이번이 가장 멀리 날아간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지난 26일 저강도 도발에서 강도를 높인 북한의 속셈은 뭘까요? 다목적 노림수로 분석하기도 하는데, 어떻게 보시는지요?
<질문 5> 발사 장소가 평양 순안비행장 일대라고 하죠. 순안 비행장에서 탄도미사일 발사는 처음입니다. 어떤 의미가 있을까요?
<질문 6> 가장 놀란 쪽은 일본일 것 같습니다. 일부지역에선 피난조치도 취해졌다고 합니다. 북 미사일이 일본 상공을 통과한 것은 5번째라는데요. 영공침범은 아니라는 얘기가 있습니다. 북한 미사일의 길목에 일본이 있는 건데, 일본으로서도 여간 건정이 될 듯 합니다.
<질문 6-1> 일본이 미사일 파괴 시도는 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유가 뭘까요? 실제 요격은 가능한지, 가능하다면 어느 단계에서 요격하는게 가장 효과적일까요.
<질문 7> 일각에선 북한이 일본 상공을 통과해 북태평양으로 미사일을 낙하하도록 한 것도 군사적 대응을 경고한 미국을 직접적으로 자극하지 않으면서 반응을 떠보려는 의도라는 해석도 나옵니다.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8> 문재인 대통령이 오전 국가안전보장회의 내용을 보고받고 "강력한 대북 응징능력을 과시하라"고 지시했습니다. 이에 따라 우리 군은 F15K 전투기 4대를 출격시켜 태백지역에서 폭탄 투하훈련을 실시했는데요. 어떤 의미로 보십니까?
<질문 9> 軍, 800km 탄도미사일 전력화 비행시험 영상도 공개했습니다. 어떤 미사일입니까? 북한을 위협할 수 있는 무기인가요.
<질문 9-1> 문 대통령, 어제 국방부 업무보고에서 북한이 선을 넘는 도발을 하거나 수도권을 공격할 경우 즉각 공세적 작전에 들어가야 한다고 언급했습니다. 북한의 비대칭 전력이 고도화하는 만큼 우리도 그에 맞게 대응해야 한다고도 강조했습니다. 어떤 의미로 보아야 할까요.
<질문 10> 지난 주말만 해도 정부 당국이 저강도 도발이라며 대화 국면 전환 가능성에 기대감을 불러일으켰고, 미국에서도 대화 가능성에 무게를 싣는 분위기였는데요. 그런 점에서 이번 도발은 한미 양국의 예상을 완전히 빗나간 것이라고 볼 수 있을까요?
<질문 11> 정의용 안보실장과 맥매스터 백악관 안보보좌관, 강경화 외무장관과 틸러슨 미국 국무장관이 오늘 전화통화를 갖고 "상황이 매우 엄중하다"는 데 인식을 같이하고 더 강력한 제재방안을 강구키로 했습니다. 이제 북미간 또는 남북간 대화 가능성은 거의 물건너갔다고 볼 수 있을까요?
<질문 12> 을지프리덤가디언연습(UFG)이 31일 종료되는데요. 하지만 다음달 9일 북한정권수립일이나 10월 10일 노동당 창당일까지 또다시 도발을 감행할 가능성이 높아 대비태세를 늦추지 말아야 한다는 지적들이 많습니다. 추가 도발을 할 경우 언제, 어떤 내용의 도발이 이뤄질 가능성이 클까요?
<질문 13> 작년 9월9일 북한은 5차 핵실험을 강행했습니다. 우리 정보당국에 따르면 풍계리 핵실험장은 핵실험 가능상태를유지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조만간 추가 핵실험할 것으로 보세요?
<질문 14> 우리 정부는 그간 북한이 도발이 계속되는데도 대화의 끈을 놓지 않았었는데요. 이번 발사로 지금까지의 스탠스가 바뀔 가능성이 있을까요?
<질문 15> 국정원은 대북제재로 북한 체제에 위기징후는 없지만 일부품목의 생산차질이 빚어지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또 체제에 대한 주민들의 피로감이 증대되자 보위성이 체제불만자를 색출에 나섰다고 합니다. 사실이라면 체제 불만이 팽배하다는 건 아닌가요.
연합뉴스TV : 02-398-4441(기사문의·제보)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