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궁 빠진 '삼성합병'…박근혜 재판서 '마침표'

[뉴스리뷰]

[앵커]

박근혜 전 대통령이 요구한 각종 지원을 해주면서 이 대가로 삼성 경영권 승계의 동력을 확보했다는 것이 앞선 이재용 부회장 재판의 핵심입니다.

그렇지만 경영권 승계의 촉매제가 된 삼성 합병 과정에서 어떤 물밑거래가 있었는지는 아직 풀리지 않은 과제입니다.

이소영 기자입니다.

[기자]

박영수 특검팀은 지난해 문형표 전 복지부 장관을 처음으로 구속시키며 이재용 부회장이 삼성 합병을 청탁하고 승마 지원을 대가로 받은 박 전 대통령이 국민연금공단의 관할부처인 복지부를 움직여 경영권 승계를 도왔다고 주장했습니다.

하지만 국정농단 1심 재판이 상당 부분 마무리된 지금까지도 박 전 대통령과 삼성 합병 간의 빈 고리는 채워지지 않고 있습니다.

문 전 장관과 홍완선 전 국민연금 본부장 1심 재판부는 이들이 국민연금을 압박해 삼성 합병을 도왔다고 봤습니다.

의도적으로 삼성에 유리한 결론을 이끌어냈다는 것인데 그러면서도 이들의 '윗선'이 누구인지는 판단하지 않았습니다.

합병의 수혜자인 이 부회장의 1심 재판부 역시 뇌물 혐의를 유죄로 판단하면서도 이 부분은 빈칸으로 남겨뒀습니다.

이른바 안종범 수첩, 캐비닛 문건 등에 합병을 도와야한다는 내용이 있지만 복지부와 국민연금이 삼성합병을 위해 조직적으로 움직인 이유에 대해서는 판단하지 않았습니다.

관건은 박 전 대통령을 삼성 합병의 '윗선'으로 볼 수 있냐는 것인데 이는 박 전 대통령 본인의 재판에서야 결론이 날 것으로 보입니다.

재판부는 이번주 문 전 장관을 비롯해 합병에 관여한 인사들을 증인으로 불러 신문할 방침입니다.

연합뉴스TV 이소영입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41(기사문의·제보)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