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ㆍ18재단, '발포명령' 군기록 입수 첫공개…진실 드러나나

[뉴스리뷰]

[앵커]

5·18기념재단이 5·18 당시 '발포 명령'이 적힌 군사 기록을 처음으로 공개했습니다.

이 문건은 5·18 당시 진압작전이 전군 차원에서 입체적으로 이뤄졌을 가능성까지 보여줍니다.

어떤 내용을 담고 있는지 김경인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5·18기념재단이 공개한 '광주 소요 사태 21-57'이라는 제목의 군사 문건입니다.

'23시 15분 전교사 및 전남대 주둔 병력에게 실탄 장전 및 유사시 발포 명령하달'이라는 문구가 적혀 있습니다.

또 1인당 20발의 총알이 지급됐음을 알려주는 내용도 담겨 있습니다.

이 문건은 1980년 5월 21일 오전 0시 20분께 당시 광주 화정동에 주둔했던 505보안부대가 작성했습니다.

80년 5월 21일은 계엄군이 전남도청 앞에서 시민군을 향해 집단발포를 감행했던 날입니다.

<김양래 / 5·18 기념재단 상임이사> "발포 명령이라고 하는 용어가 구체적으로 드러나고 있는 문서는 사실 제가 보는 거로는 처음입니다."

이 문건에는 '마산주둔 해병 1사단 1개 대대를 목포로 이동 예정'이라는 문구도 포함하고 있습니다.

<김양래 / 5·18 기념재단 상임이사> "5·18 당시에 육군뿐만 아니라 공군, 그리고 해군, 해병까지 포함하는 입체 작전이 준비돼 있지 않았나, 그런 것을 유추하게 하는 문서라고 생각합니다. (명령권자가) 저희는 전두환이라고 생각하죠. 본인은 아니라고 하니까 규명이 필요한 거죠."

하지만 해병대사령부는 언론에 배포한 입장 자료에서 "해병대는 광주 민주화운동 기간 목포 지역으로 출동 명령을 받은 바 없으며 출동한 사실도 없다"고 반박했습니다.

연합뉴스TV 김경인입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41(기사문의·제보)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