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 자주국방 강조…청와대 "한반도위기설 동의안해"
[뉴스리뷰]
[앵커]
문재인 대통령은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을 당면 과제로 꼽으며 자주국방의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청와대는 일각의 '한반도 위기설'에 대해 "동의하지 않는다"고 일축했습니다.
성승환 기자입니다.
[기자]
문재인 대통령은 고도화하는 북한의 위협에 대응할 수 있는 전력 확보를 강조했습니다.
미사일 탄두 중량 확대 등 우리의 독자적인 대응 능력 확보를 통한 '강한 안보'를 강조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문재인 / 대통령> "북한의 핵과 미사일 도발에 대해서 우리가 대응할 수 있는 전력을 확보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인 것 같습니다. 역시 자주국방으로 나아가야겠습니다."
이런 가운데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한반도 위기설에 동의하지 않는다"며 일각의 안보위기 우려를 일축했습니다.
"안보상황이 매우 엄중한 것은 맞지만 위기로까지 발전하지는 않았다"며 "오히려 기회로 활용할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이 관계자는 이른바 '코리아패싱' 지적에도 한미 정상의 통화외교, 안보당국간 긴밀한 협조를 들며 "사실이 아니다"라고 말했습니다.
특히 중국, 러시아와도 긴밀히 소통하고 있는 만큼 "주요 4강이 한국을 패싱한다는 건 상상할 수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북한의 '괌 포위사격' 발언에 대해서는 '내부결속용'이자 '한국 내 안보 불안감 조성' 등을 그 목적으로 분석했습니다.
이어 "점점 상황이 북한에 불리하게 진전되고 있다"면서 "북한은 빨리 우리가 제시한 합리적 제의에 응하라"고 촉구했습니다.
연합뉴스TV 성승환입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41(기사문의·제보) 카톡/라인 jebo23
(끝)
[뉴스리뷰]
[앵커]
문재인 대통령은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을 당면 과제로 꼽으며 자주국방의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청와대는 일각의 '한반도 위기설'에 대해 "동의하지 않는다"고 일축했습니다.
성승환 기자입니다.
[기자]
문재인 대통령은 고도화하는 북한의 위협에 대응할 수 있는 전력 확보를 강조했습니다.
미사일 탄두 중량 확대 등 우리의 독자적인 대응 능력 확보를 통한 '강한 안보'를 강조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문재인 / 대통령> "북한의 핵과 미사일 도발에 대해서 우리가 대응할 수 있는 전력을 확보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인 것 같습니다. 역시 자주국방으로 나아가야겠습니다."
이런 가운데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한반도 위기설에 동의하지 않는다"며 일각의 안보위기 우려를 일축했습니다.
"안보상황이 매우 엄중한 것은 맞지만 위기로까지 발전하지는 않았다"며 "오히려 기회로 활용할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이 관계자는 이른바 '코리아패싱' 지적에도 한미 정상의 통화외교, 안보당국간 긴밀한 협조를 들며 "사실이 아니다"라고 말했습니다.
특히 중국, 러시아와도 긴밀히 소통하고 있는 만큼 "주요 4강이 한국을 패싱한다는 건 상상할 수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북한의 '괌 포위사격' 발언에 대해서는 '내부결속용'이자 '한국 내 안보 불안감 조성' 등을 그 목적으로 분석했습니다.
이어 "점점 상황이 북한에 불리하게 진전되고 있다"면서 "북한은 빨리 우리가 제시한 합리적 제의에 응하라"고 촉구했습니다.
연합뉴스TV 성승환입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41(기사문의·제보)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