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고강도 대북제재 검토…기로에 선 베를린 구상

[뉴스리뷰]

[앵커]

북한의 미사일 도발 이후 문재인 대통령은 강경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문 대통령은 북한에 대한 독자적인 제재까지 검토하라고 지시한 상황인데요.

베를린 구상으로 대표되는 북한에 대한 유화적인 노선이 강경책으로 선회하는 것이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고일환 기자입니다.

[기자]

사드 추가배치와 탄두 중량을 늘리는 한미 미사일 지침 개정 협상.

북한뿐 아니라 중국까지 자극할 수 있는 사안입니다.

그러나 문재인 대통령은 북한의 미사일 도발 후 잇따라 강력한 조치를 취하고 있습니다.

<윤영찬 / 국민소통수석> "단호한 대응이 말에 그치지 않고 북한 정권도 실감할 수 있도록 강력하고 실질적인 조치들을 다각적으로 검토해…"

또 문 대통령은 추가적으로 우리 정부의 독자적인 대북 제재 필요성까지 언급했습니다.

이 같은 발언은 단순히 정치적인 제스처가 아니라는게 청와대의 설명입니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별다른 독자제재 안이 없는 것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 "곳간을 샅샅이 뒤져서라도 독자제재안을 찾아낼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현재 준비 중인 8·15 광복절 축사에도 이 같은 분위기가 반영될 것으로 보입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광복절 축사와 관련해 "북한과의 대화에 대해선 이미 독일 쾨르버재단 초청연설 때 구상을 밝혔다"고 말했습니다.

쾨르버재단 연설 당시 문 대통령은 한반도 평화를 실현하기 위한 베를린 구상을 발표했습니다.

광복절 축사는 베를린 구상 때 밝힌 대화 제안보다는 북한에 대한 경고에 무게가 실릴 수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이 같은 정부의 강경한 분위기 속에서 문 대통령이 대북정책을 수정하는 것이 아니냐는 관측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윤영찬 / 국민소통수석> "단호하게 대응하면서 베를린 구상의 동력이 상실되지 않도록 관리하는 지혜가 필요합니다."

물론 문 대통령은 아직까지 북한을 제재하면서도 대화의 노력을 계속한다는 투트랙 전략을 유지한다는 방침입니다.

그러나 북한의 도발이 계속될 경우 대북정책의 궤도가 수정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전망입니다.

연합뉴스TV 고일환입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41(기사문의·제보)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