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 "사드 임시배치 적절"…야 '사드-대북 정책 기조' 공세

[뉴스리뷰]

[앵커]

정치권은 북한의 기습적인 미사일 도발을 연일 규탄했습니다.

동시에 야권은 문재인 정부의 대북 정책 기조에 문제가 있다며, 사드 추가 배치 등 더욱 강력한 대응을 촉구했습니다.

강은나래 기자입니다.

[기자]

여야 정치권은 북한의 미사일 발사를 연일 한목소리로 규탄했습니다.

<우원식 /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국제사회의 단호한 응징만을 불러올…"

<박주선 / 국민의당 비대위원장> "도저히 묵과할수 없는 북한 정권의 정신나간…"

<정용기 / 자유한국당 원내수석대변인> "무력 도발을 강력히 규탄합니다."

하지만 정부 대응을 놓고는 평가가가 엇갈렸습니다.

사드 발사대 추가 배치는 '정책 뒤집기'라며 야권은 공세를 폈습니다.

<김학용 / 자유한국당 의원> "오락가락 정책 결정에 따른 책임소재를 반드시 따져야할 것입니다."

동시에 여전히 '임시 배치'라는 단서를 단데 대해 '안보 줄타기'라고 비판했습니다.

정부의 '대화 병행' 대북 정책 기조를 본격 도마 위에 올리며, 더욱 강경한 대응을 촉구했습니다.

<김영우 / 바른정당 의원> "'베를린 구상'은 재검토 해야합니다. 임시 배치를 넘어 2개 내지 3개 포대의 사드 추가 배치를 미국에게 강력히 촉구해야…"

<박주선 / 국민의당 비대위원장> "대북정책은 새로운 제3의 길을 찾아야한다고 생각합니다. '베를린 구상'은 그 실체를 국민 앞에 허상으로 보이고 있다."

반면, 여당은 정부의 대화 병행 대북 정책 기조는 여전히 유효하며, 사드 포대 임시 배치 역시 현 상황에서 시의적절한 조치라고 강조했습니다.

<우원식 /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안보 위협이 매우 심각해지는 상황임을 감안해야합니다. 어떤 경우에도 대화를 계속한다고 하는 그 원칙은 그대로 살아…"

정부의 사드 임시 배치에 엇갈린 여야 입장이 정국의 또다른 뇌관으로 떠오르는 모양새입니다.

연합뉴스TV 강은나래입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41(기사문의·제보)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