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기구 대북 지원 재개 요청"…'우회 지원' 활성화 되나
[뉴스리뷰]
[앵커]
유니세프 등 국제기구가 우리 정부에 대북 인도지원을 위한 공여 재개를 요청해온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남북 간 경색 국면이 장기화되는 가운데 국제기구와 민간단체 등을 통한 이른바 '대북 우회 지원'이 활성화 될지 주목됩니다.
이승국 기자입니다.
[기자]
통일부는 북한의 영유아와 임산부 등 취약 계층을 대상으로 한 보건의료사업 지원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지난해 1월 북한의 4차 핵실험 이후 중단된 국제기구를 통한 대북 지원을 검토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덕행 / 통일부 대변인> "현재 유니세프와 WFP(세계식량계획) 등에서 공여 재개 요청을 해서 투명성이라든지 모니터링 등을 조건으로 검토 중에 있습니다."
앞서 문재인 대통령은 독일에서 열린 G20 정상회의에서 "북한의 영유아 영양실조 문제에 주목하고 있다"며 "보건·의료 분야 인도적 지원은 정치적 상황과 연계하지 않아야 한다"고 강조한 바 있습니다.
남북 간 공식·비공식 대화 채널이 모두 막힌 상황에서 국제기구를 통한 이른바 '우회 지원' 가능성을 시사한 것으로 해석됩니다.
최근 문재인 정부가 인도적 지원을 위한 민간단체들의 대북 접촉 신청을 잇따라 승인하고 있지만 북한은 방북을 거부하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인도적 지원과 함께 대북 대화 채널 복원이 시급하다고 강조합니다.
<양무진 /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 "불신의 골이 깊고 현안 문제에 대한 입장 차가 워낙 크기 때문에 먼저 당국 간 물밑 접촉을 통해 남북 연락 채널 복원과 관계 정상화 조치가 시급하다고 생각합니다."
정부는 다만 북한의 탄도미사일 도발로 강화된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 공조 범위를 벗어나는 지원은 하지 않겠다는 입장입니다.
연합뉴스TV 이승국입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41(기사문의·제보) 카톡/라인 jebo23
(끝)
[뉴스리뷰]
[앵커]
유니세프 등 국제기구가 우리 정부에 대북 인도지원을 위한 공여 재개를 요청해온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남북 간 경색 국면이 장기화되는 가운데 국제기구와 민간단체 등을 통한 이른바 '대북 우회 지원'이 활성화 될지 주목됩니다.
이승국 기자입니다.
[기자]
통일부는 북한의 영유아와 임산부 등 취약 계층을 대상으로 한 보건의료사업 지원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지난해 1월 북한의 4차 핵실험 이후 중단된 국제기구를 통한 대북 지원을 검토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덕행 / 통일부 대변인> "현재 유니세프와 WFP(세계식량계획) 등에서 공여 재개 요청을 해서 투명성이라든지 모니터링 등을 조건으로 검토 중에 있습니다."
앞서 문재인 대통령은 독일에서 열린 G20 정상회의에서 "북한의 영유아 영양실조 문제에 주목하고 있다"며 "보건·의료 분야 인도적 지원은 정치적 상황과 연계하지 않아야 한다"고 강조한 바 있습니다.
남북 간 공식·비공식 대화 채널이 모두 막힌 상황에서 국제기구를 통한 이른바 '우회 지원' 가능성을 시사한 것으로 해석됩니다.
최근 문재인 정부가 인도적 지원을 위한 민간단체들의 대북 접촉 신청을 잇따라 승인하고 있지만 북한은 방북을 거부하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인도적 지원과 함께 대북 대화 채널 복원이 시급하다고 강조합니다.
<양무진 /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 "불신의 골이 깊고 현안 문제에 대한 입장 차가 워낙 크기 때문에 먼저 당국 간 물밑 접촉을 통해 남북 연락 채널 복원과 관계 정상화 조치가 시급하다고 생각합니다."
정부는 다만 북한의 탄도미사일 도발로 강화된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 공조 범위를 벗어나는 지원은 하지 않겠다는 입장입니다.
연합뉴스TV 이승국입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41(기사문의·제보)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