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무일 체제 검찰 개혁…'제살 깎기' 어디까지

[뉴스리뷰]

[앵커]

검찰이 문무일 검찰총장 체제로 정비되면, 곧바로 검찰 개혁 드라이브가 걸릴 전망입니다.

고위공직자비리수사처 신설 등 문재인 정부의 검찰 개혁 과제에 어떻게 대처할지 관심이 모아집니다.

차병섭 기자입니다.

[기자]

문무일 검찰총장 후보자의 앞 길에는 만만치 않은 개혁 과제가 기다리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외부로 칼 끝을 겨누는 데 익숙했던 검찰이, 이제 외부로부터 피할 수 없는 개혁 요구에 직면해 있기 때문입니다.

새 정부는 내년 지방 선거 전까지 검찰 개혁을 완수하겠다는 의지를 다지고 있습니다.

우선 법무장관 후보자와 함께 문 총장후보가 정식 취임하면 대규모 물갈이 인사와 몰아치기식 개혁이 전망됩니다.

제 살을 도려내는 수준의 아픔을 감내하면서 조직 전체의 안정을 위해 절충점을 찾아야 할 숙제를 떠안은 셈입니다.

문 후보자는 이전 김수남 총장 체제에서 검찰 개혁의 토대가 될 제도를 마련하는 TF를 이끈 경험이 있습니다.

하지만 더 큰 문제는 권한 조정 문제로, 고위공직자 비리 수사 기능을 떼주는 공수처 신설이 눈앞에 닥쳤습니다.

게다가 수사권과 기소권을 독점해온 검찰이 경찰에 수사권을 어느 정도 경찰에 넘겨줄지, 검경 수사권 조정 역시 어느 때보다 실현 가능성이 높은 상황입니다.

검찰총장은 조직 논리를 일정부분 대변하며 조직 안정을 꾀할 수 밖에 없는 자리입니다.

그러나 새 정부가 총장 인선에서 '개혁 의지'를 어느 때보다 강조한 만큼 문 총장 후보가 어떻게 검찰 안팎의 목소리를 조화시키며 개혁에 나설지 관심이 모아집니다.

연합뉴스TV 차병섭입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41(기사문의) 4409(제보),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