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ㆍ18 위상 높아졌다"…손잡고 부른 '님을 위한 행진곡'
[뉴스리뷰]
[앵커]
올해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은 37년 만에 역대 최대규모로 거행되면서, 달라진 위상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과 5·18 가족 등 1만여 명의 참석자들은 '님을 위한 행진곡'을 9년 만에 제창하며 화합을 다짐했습니다.
김경인 기자입니다.
[기자]
<'님을 위한 행진곡' 中> "한평생 나가자던 뜨거운 맹세"
참석자들이 손을 잡고 '님을 위한 행진곡'을 힘차게 제창합니다.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에서 '님을 위한 행진곡'이 모두가 함께 부르는 제창 방식으로 불린 건 9년 만입니다.
5·18 37주년 기념식은 예년과는 확연히 달랐습니다.
올해는 4·19 혁명 등 민주화운동 유공자와 단체, 세월호 희생자 가족들이 대거 초청됐고, 누구나 참석할 수 있는 '열린 기념식'으로 치러졌습니다.
올해 5·18 기념식에는 역대 최대규모인 1만여 명이 참석하면서 달라진 5·18의 위상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기념식이 1시간 가까이 진행되고, 5·18 단체가 경과보고를 직접 한 것도 예년 기념식과 달라진 모습입니다.
<유봉순 / 故 박관현 열사 가족> "오늘이 바로 민주주의구나! 그걸 깨달았습니다. (그동안) 5·18은 완전히 죄인취급을 받았잖아요."
17개 시·도 대표 합창단은 '그대와 꽃피운다'를 부르며 모두의 화합을 다짐했습니다.
현직 대통령으로는 4년 만에 참석한 문재인 대통령은 참석자를 안아주기도 했습니다.
<김소형 / 故 김재평 씨 딸·5·18둥이> "저를 안아주실 때는 아, 그냥 아빠가 어디선가 나타난 거 같은 느낌이 들었어요."
독재에 맞서 민주주의를 수호하다 쓰러진 5월 영령.
5·18의 진상 규명도 멀지 않았습니다.
연합뉴스TV 김경인입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41(기사문의) 4409(제보), 카톡/라인 jebo23
(끝)
[뉴스리뷰]
[앵커]
올해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은 37년 만에 역대 최대규모로 거행되면서, 달라진 위상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과 5·18 가족 등 1만여 명의 참석자들은 '님을 위한 행진곡'을 9년 만에 제창하며 화합을 다짐했습니다.
김경인 기자입니다.
[기자]
<'님을 위한 행진곡' 中> "한평생 나가자던 뜨거운 맹세"
참석자들이 손을 잡고 '님을 위한 행진곡'을 힘차게 제창합니다.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에서 '님을 위한 행진곡'이 모두가 함께 부르는 제창 방식으로 불린 건 9년 만입니다.
5·18 37주년 기념식은 예년과는 확연히 달랐습니다.
올해는 4·19 혁명 등 민주화운동 유공자와 단체, 세월호 희생자 가족들이 대거 초청됐고, 누구나 참석할 수 있는 '열린 기념식'으로 치러졌습니다.
올해 5·18 기념식에는 역대 최대규모인 1만여 명이 참석하면서 달라진 5·18의 위상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기념식이 1시간 가까이 진행되고, 5·18 단체가 경과보고를 직접 한 것도 예년 기념식과 달라진 모습입니다.
<유봉순 / 故 박관현 열사 가족> "오늘이 바로 민주주의구나! 그걸 깨달았습니다. (그동안) 5·18은 완전히 죄인취급을 받았잖아요."
17개 시·도 대표 합창단은 '그대와 꽃피운다'를 부르며 모두의 화합을 다짐했습니다.
현직 대통령으로는 4년 만에 참석한 문재인 대통령은 참석자를 안아주기도 했습니다.
<김소형 / 故 김재평 씨 딸·5·18둥이> "저를 안아주실 때는 아, 그냥 아빠가 어디선가 나타난 거 같은 느낌이 들었어요."
독재에 맞서 민주주의를 수호하다 쓰러진 5월 영령.
5·18의 진상 규명도 멀지 않았습니다.
연합뉴스TV 김경인입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41(기사문의) 4409(제보),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