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국무부 "북한 비핵화 신호 보여야 협상 가능"
[뉴스리뷰]
[앵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북한과의 협상 가능성을 담은 대북정책 기조를 확정했죠?
다만 협상이 이뤄지기 위해서는 북한의 명확한 비핵화 의지가 전제돼야 한다는 게 미국 정부의 공식 입장입니다.
워싱턴에서 김범현 특파원입니다.
[기자]
도널드 트럼프 정부의 대북정책 성명에는 '북한과 협상의 문이 열려있다'는 대목이 포함됐습니다.
북한에 대한 압박 와중에 대화할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수전 손턴 미 국무부 동아태담당 차관보 대행은 한 토론회에서 북한과의 대화와 관련한 부연 설명을 내놨습니다.
<수전 손턴 / 미국 국무부 동아태담당 차관보 대행> "우리는 협상에 어떤 대가도 지불하지 않을 것입니다. 북한이 비핵화에 노력하겠다는 진지한 신호를 보내는 것이 우리의 관심입니다."
즉 북한의 진정한 비핵화 의지가 협상 재개의 전제임을 못박은 것입니다.
그리고 북한을 비핵화 대화의 길로 이끌기 위한 최고의 압박과 관여, 즉 압박 작전이 진행중이라고 밝혔습니다.
<수전 손턴 / 미국 국무부 동아태담당 차관보 대행> "트럼프 정부는 단기간에 최고의 효과를 내는 '압박의 폭발'을 만들어내기 위해 국제 공조와 모든 수단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동시에 이런 '최고의 압박과 관여'는 버락 오바마 정부의 '전략적 인내'와는 분명히 다르다고 강조했습니다.
북핵 문제를 국가안보의 최우선 순위로 꼽은 점, 그리고 타이밍과 쏟아붓는 자원에 있어 큰 차이가 있다는 겁니다.
워싱턴에서 연합뉴스TV 김범현입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41(기사문의) 4409(제보), 카톡/라인 jebo23
(끝)
[뉴스리뷰]
[앵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북한과의 협상 가능성을 담은 대북정책 기조를 확정했죠?
다만 협상이 이뤄지기 위해서는 북한의 명확한 비핵화 의지가 전제돼야 한다는 게 미국 정부의 공식 입장입니다.
워싱턴에서 김범현 특파원입니다.
[기자]
도널드 트럼프 정부의 대북정책 성명에는 '북한과 협상의 문이 열려있다'는 대목이 포함됐습니다.
북한에 대한 압박 와중에 대화할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수전 손턴 미 국무부 동아태담당 차관보 대행은 한 토론회에서 북한과의 대화와 관련한 부연 설명을 내놨습니다.
<수전 손턴 / 미국 국무부 동아태담당 차관보 대행> "우리는 협상에 어떤 대가도 지불하지 않을 것입니다. 북한이 비핵화에 노력하겠다는 진지한 신호를 보내는 것이 우리의 관심입니다."
즉 북한의 진정한 비핵화 의지가 협상 재개의 전제임을 못박은 것입니다.
그리고 북한을 비핵화 대화의 길로 이끌기 위한 최고의 압박과 관여, 즉 압박 작전이 진행중이라고 밝혔습니다.
<수전 손턴 / 미국 국무부 동아태담당 차관보 대행> "트럼프 정부는 단기간에 최고의 효과를 내는 '압박의 폭발'을 만들어내기 위해 국제 공조와 모든 수단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동시에 이런 '최고의 압박과 관여'는 버락 오바마 정부의 '전략적 인내'와는 분명히 다르다고 강조했습니다.
북핵 문제를 국가안보의 최우선 순위로 꼽은 점, 그리고 타이밍과 쏟아붓는 자원에 있어 큰 차이가 있다는 겁니다.
워싱턴에서 연합뉴스TV 김범현입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41(기사문의) 4409(제보),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