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사드비용은 미국 부담"…트럼프발언 반박
[뉴스리뷰]
[앵커]
정부는 트럼프 대통령의 사드비용 발언에 대해, 관련 비용은 미국이 부담한다는 입장을 재확인했습니다.
하지만 예상치 못한 트럼프 대통령의 폭탄발언에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는 표정입니다.
이준삼 기자입니다.
[기자]
정부는 트럼프 대통령의 사드비용과 한미FTA 종료 관련 발언 보도가 나온 뒤 즉각 반박입장을 발표했습니다.
국방부는 주한미군지위협정 소파 규정에 따라 우리측이 부지ㆍ기반시설 등을 제공하고, 사드체계의 전개 및 운융유지 비용은 미국이 부담한다는 기본입장에 변함이 없다고 밝혔습니다.
정부의 한 고위소식통은 사드비용의 미국부담 원칙은 지난해 한미 공동실무단이 체결한 약정서에도 나와 있다며 양측이 모두 여기에 서명했다고 말했습니다.
정부는 특히 사드비용을 내는 게 적절하단 점을 한국에도 통보했다는 트럼프 대통령으로 더욱 곤혹스러워하는 분위깁니다.
하지만, 우리 외교부는 사드비용 문제와 관련해 미국으로부터 관련 사실을 통보받은 바 없다며 부인했습니다.
정부는 현재 외교채널 등을 통해 관련 발언이 나온 배경을 파악 중인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일각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10억 달러 사드비용 발언이 최근 사드 기습배치 논란과 맞물려 반대여론을 재점화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습니다.
그동안 반대론자들은 사드배치로 우리의 방위비 부담이 더욱 무거워질 거라는 주장을 펴왔지만 국방부는 이에 대해 사드 비용은 전액 미국부담이라는 점을 강조해왔습니다.
연합뉴스TV 이준삼입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41(기사문의) 4409(제보), 카톡/라인 jebo23
(끝)
[뉴스리뷰]
[앵커]
정부는 트럼프 대통령의 사드비용 발언에 대해, 관련 비용은 미국이 부담한다는 입장을 재확인했습니다.
하지만 예상치 못한 트럼프 대통령의 폭탄발언에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는 표정입니다.
이준삼 기자입니다.
[기자]
정부는 트럼프 대통령의 사드비용과 한미FTA 종료 관련 발언 보도가 나온 뒤 즉각 반박입장을 발표했습니다.
국방부는 주한미군지위협정 소파 규정에 따라 우리측이 부지ㆍ기반시설 등을 제공하고, 사드체계의 전개 및 운융유지 비용은 미국이 부담한다는 기본입장에 변함이 없다고 밝혔습니다.
정부의 한 고위소식통은 사드비용의 미국부담 원칙은 지난해 한미 공동실무단이 체결한 약정서에도 나와 있다며 양측이 모두 여기에 서명했다고 말했습니다.
정부는 특히 사드비용을 내는 게 적절하단 점을 한국에도 통보했다는 트럼프 대통령으로 더욱 곤혹스러워하는 분위깁니다.
하지만, 우리 외교부는 사드비용 문제와 관련해 미국으로부터 관련 사실을 통보받은 바 없다며 부인했습니다.
정부는 현재 외교채널 등을 통해 관련 발언이 나온 배경을 파악 중인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일각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10억 달러 사드비용 발언이 최근 사드 기습배치 논란과 맞물려 반대여론을 재점화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습니다.
그동안 반대론자들은 사드배치로 우리의 방위비 부담이 더욱 무거워질 거라는 주장을 펴왔지만 국방부는 이에 대해 사드 비용은 전액 미국부담이라는 점을 강조해왔습니다.
연합뉴스TV 이준삼입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41(기사문의) 4409(제보),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